아니무스와 아니마, 심리적 두 경향의
대립과 공존의 드라마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나르치스는 깨어 있는 존재이고 많은 것을 알고 있다. 골드문트가 자신과 다르다는 것도 알고 있고, 자신이 해야 할 일은 골드문트를 잠에서 깨어나게 해서 스스로를 제대로 인식하게 이끄는 일이라는 것도 알고 있다. 그에 비해 골드문트는 아무것도 모르는 무지한 상태이다. 그런 골드문트를 나르치스가 깨운다. 나르치스 덕분에 골드문트는 자신과 나르치스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내가 남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떠오르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골드문트는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알 수 없다. ‘앎’은 그의 본령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 답은 살아보아야만 그 모습을 보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답은 ‘앎’의 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명확한 답이 아니라, ‘삶’의 길을 통해 깨우칠 수밖에 없는 신비이기 때문이다. 골드문트는 자신이 누구인지 ‘알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르치스와는 다른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해, 그 삶의 신비를 체험하기 위해 방랑의 길에 나선다. 잘못 들어선 ‘앎’의 길에서 벗어나 ‘삶’의 길을 택하는 것이다. ‘지성’과 ‘사랑’은 바로 ‘앎’과 ‘삶’이다.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는 바로 ‘지성’과 ‘사랑’이며 ‘앎’과 ‘삶’이다. 그리고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는 바로 인간의 운명이기도 하다. 앎과 삶 사이를 왕복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인간의 운명인 때문이다. 인간은 세상 속에서 세상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이다. 인간은 그런 존재로 살아가면서 동시에 그렇게 살아가는 자기 자신을,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우주 전체를 밖에서 바라보고 설명하고 알고 싶어 한다. 그렇게 인간은 ‘삶’과 ‘앎’ 사이를, 안과 밖을 왕복하는 존재이다. 세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이해하고 싶은 욕망으로서의 아니무스와 세상과 더불어 꿈꾸고 싶은 아니마가 인간 심리 속에 공존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헤세의 명작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를 그 심리적 두 경향의 대립과 공존의 드라마로 읽으면 훨씬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를 각각 개별적인 인물로 보지 말고 우리들 심리 깊은 곳에 존재하는 두 경향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두 인물을 내 마음속 각기 다른 두 경향으로 느끼며 다시 읽으면 작품에 더욱 빠져들 것이다.
당신은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의 삶 중 어떤 길을 택하겠는가? 삶이 앎보다 우위에 있음을 알면서도 앎을 위해 삶을 희생한 삶? 아니면 비록 정해진 길은 없고, 자신의 삶 자체로 온전히 살아내야 할 심연 같은 것이 앞에 놓여 있더라도 끝까지 살아내는 삶? 질문이 너무 거창하다. 하지만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는 그런 거창한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다. 그리고 그 질문 앞에는 대전제가 있다. 그 질문은, 그 어느 길을 택하건 결코 왜소한 존재로서 아무 의미 없는 삶을 살지는 않겠다는 큰 욕망을 지닌 존재가 던지는 질문이다. 그리고 그런 질문을 잊고 사는 우리들에게 진지하게 그런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는 것, 바로 그것이 우리가 이 소설을 정독하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