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궁핍한 시대의 책읽기와 생각하기
1장 사유의 숲길
마비된 자아에서 빠져나오기 《탈합치》_프랑수아 줄리앙
자유주의자와 아이러니스트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_리처드 로티
죽음에 맞서는 자기수련의 의지 《너는 너의 삶을 바꿔야 한다》_페터 슬로터다이크
바보와 앵무새들의 철학에 관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악어》_미셸 옹프레
철학과 수학은 어떻게 만나는가 《수학 예찬》_알랭 바디우
진리의 주체와 해방의 정치 《철학을 위한 두 번째 선언》_알랭 바디우
포격 속에 써 내려간 철학 일기 《전쟁 일기》_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열쇠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_이승종
“찰나의 순간에 영원을 보라” 《우리와의 철학적 대화》_이승종
로고스중심주의와 해체의 철학 《그라마톨로지》_자크 데리다
사르트르와 칵테일의 현상학 《현상학 입문》_단 자하비
사랑은 왜 깨지기 쉬운가 《사랑의 현상학》_헤르만 슈미츠
신유물론, 급진 생태학적 상상력 《신유물론 입문》_문규민
신적 폭력과 신화적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_슬라보예 지젝
라캉 정신분석 최종장 《상식을 넘어선 현실계》_니콜라 플루리
2장 생각의 요새
체계이론과 주체 없는 사회학 《사회적 체계들》_니클라스 루만
건조한 정신과 시적 상상력 《아르키메데스와 우리》_니클라스 루만
유동성의 사상가 바우만 《지그문트 바우만》_이자벨라 바그너
베버 이해사회학 탄생사 《이해사회학》_막스 베버
대표제의 길, 민주주의의 길 《대표》_모니카 브리투 비에이라 ‧ 데이비드 런시먼
낭만주의와 정치의 잘못된 만남 《정치적 낭만주의》_카를 슈미트
신자유주의와 정체성 정치를 넘어 《자유주의와 그 불만》_프랜시스 후쿠야마
마르셀 모스의 하비투스 《몸 테크닉》_마르셀 모스
소모와 탕진의 경제학 《저주받은 몫》_조르주 바타유
헤게모니 투쟁과 대중문화 《문화와 사회를 읽는 키워드》_레이먼드 윌리엄스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의 탄생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자본주의 문화 논리》_프레드릭 제임슨
근대성 담론 해체하기 《단일한 근대성》_프레드릭 제임슨
백인은 어떻게 미의 표준이 되었나 《화이트》_리처드 다이어
엘렌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 《엘렌 식수》_이언 블라이스 ‧ 수전 셀러스
“철학자는 동물의 말에 응답했는가?”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_최유미
젠더와 섹스를 어떻게 볼 것인가 《상상적 신체》_모이라 게이튼스
정체성 정치에서 연대의 정치로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_주디스 버틀러
3장 사상의 기원
조로아스터와 윤리적 인간의 탄생 《조로아스터교의 역사》_메리 보이스
구약은 왜 인류의 고전이 되었나 《구약 읽기》_크리스틴 헤이스
반영웅의 구약 성서 읽기 《처음 만나는 구약성서》_장 루이 스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휴머니즘 《그리스인 이야기 1·2·3》_앙드레 보나르
다시 쓰는 세계철학사 《세계철학사 1》_이정우
민주주의자 소피스트의 재발견 《소피스트 단편 선집 1‧2》_강철웅 엮어 옮김
그리스 고전이 들려주는 정의 《아테네 팬데믹》_안재원
플루타르코스가 말하는 민주주의 《모랄리아》_플루타르코스
왕보다 더 자유로운 삶 《에픽테토스 강의 1·2》_에픽테토스
‘암흑의 유럽’ 깨운 이슬람 스페인 《스페인의 역사》_브라이언 캐틀러스
인민주권의 뿌리를 찾아서 《평화의 수호자》_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
마키아벨리의 진심 《마키아벨리의 꿈》_곽차섭
‘중용’과 계몽주의 《인토르체타의 라틴어 중용》_프로스페로 인토르체타 역주
지성사의 숨은 거인 비코 《비코 자서전》_잠바티스타 비코
야만의 형벌을 심판하라 《베카리아의 범죄와 형벌》_체사레 베카리아
전제군주와 계몽 정신의 만남 《예카테리나 서한집》_예카테리나 2세
과감히 알려고 하라! 《계몽이란 무엇인가》_이마누엘 칸트
진리를 향한 정신의 모험 《정신현상학 1‧2》_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내가 어떻게 교회를 믿을 수 있겠는가?” 《교리신학 연구》_레프 톨스토이
경제 성장엔 권위주의 정부가 낫다? 《정념과 이해관계》_앨버트 허시먼
4장 회통에서 개벽으로
한국사상사의 저류, 영성의 힘 《조선사상사》_오구라 기조
걸림 없는 회통의 사상가 원효 《원효의 발견》_남동신
실존의 한계에서 하늘에 묻기 《도올 주역 강해》_김용옥
인과법칙 너머, 주역의 원리 《주역, 인간의 법칙》_이창일
‘도덕경’의 비밀 푸는 독법 《‘도덕경’의 철학》_한스-게오르크 묄러
‘서’, 타인의 마음에 이르는 길 《서, 인간의 징검다리》_이향준
공자 철학으로 기독교 문명에 맞서다 《공자와 세계 1~5》_황태연
우화로 전하는 도의 형이상학 《장담의 열자주》_장담
환상에서 깨어나라, 무아의 불교론 《붓다의 치명적 농담》 ‧ 《허접한 꽃들의 축제》_한형조
타인의 눈에 비친 내 안의 ‘부처’ 《18~19세기 한국 문학, 차이의 근대성》_이도흠
하이데거와 불교가 만날 때 《불안과 괴로움》_권순홍
퇴계냐 율곡이냐 《퇴계 vs 율곡, 누가 진정한 정치가인가》_김영두
척사파와 개화파 사이 개벽사상가들 《개벽의 사상사》_백영서 외
실크로드, 한반도 문명의 젖줄 《우리 안의 실크로드》_정수일
근대 사상의 개척자, 정치의 발견자 《논어징 1·2·3》_오규 소라이
동아시아 근대 개념어의 뿌리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_야마모토 다카미쓰
일본 마르크스주의자의 ‘일본 정신’ 비판 《일본 이데올로기론》_도사카 준
국가와 종교의 불행한 만남 《국가와 종교》_난바라 시게루
마루야마 사상의 건축 현장 《전중과 전후 사이 1936~1957》_마루야마 마사오
5장 마음과 우주
계시록에서 찾은 새로운 문명 비전 《아포칼립스》_데이비드 허버트 로런스
로런스에게서 찾은 개벽사상 《서양의 개벽사상가 D. H. 로런스》_백낙청
정치적 텍스트로 다시 읽는 ‘율리시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입문》_숀 시핸
절대자의 커다란 책 속에서 우리는 각자의 책을 쓴다 《질문의 책》_에드몽 자베스
고통이 있는 한 비극은 계속된다 《비극》_테리 이글턴
치유와 구원의 동무공동체를 찾아서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_김영민
롤랑의 노래, 역사와 상상력의 직조물 《롤랑의 노래》_김준한 옮김
파우스트는 구원을 얻었을까 《불멸의 파우스트》_안진태
융 심리학으로 본 파우스트의 무의식 《괴테와 융》_이부영
광기 속에 피워 올린 창조의 불꽃 《횔덜린 서한집》_프리드리히 횔덜린
토마스 만의 바그너 경탄 《바그너와 우리 시대》_토마스 만
근대에 맞선 동아시아 문학가들 《동아시아 서사와 한국소설사론》_임형택
새로운 문명의 아침을 꿈꾼 모더니즘 시인 《김기림 연구》_김유중
자력, 근대 과학혁명의 비밀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1‧2》_야마모토 요시타카
중력 법칙을 탄생시킨 과학의 성서 《프린키피아》_아이작 뉴턴
우주는 팽창하고 다시 수축하는가 《빅뱅의 질문들》_토니 로스먼
우주는 의식체인가 《당신이 우주다》_디팩 초프라‧미나스 카파토스
6장 지혜의 시대
지혜가 다스리는 세상을 향해 《문명의 대전환을 공부하다》_백낙청 ‧ 창비담론 아카데미
4·3, 마음의 분단이 낳은 비극 《인문학, 정의와 윤리를 묻다》_전병준 외
민주공화국이라는 시대정신 《다음 국가를 말하다》_김상봉 ‧ 박명림
민중과 시민의 한반도 역사 《한국학 학술용어》_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사 만든 지식인들의 육성 《그해 봄날》_김언호
동북아시아 평화로 가는 길 《한반도와 일본의 미래》_강상중
왜 전범국 일본은 면죄받았는가 《샌프란시스코 체제를 넘어서》_김영호 외
중국 현대사 100년의 분투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가지 사건》_백영서
민족은 근대의 산물 아니다 《민족》_아자 가트‧알렉산더 야콥슨
심장지대를 장악하라 《심장지대》_해퍼드 존 매킨더
브라만 좌파와 상인 우파 《자본과 이데올로기》_토마 피케티
민주주의의 미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_고병권
도서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