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존재

언어는 어떻게 우리의 생각을 만들고 처세와 정치를 결정하는가

퀴브라 귀뮈샤이 | 시프 | 2023년 12월 10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8,800원

전자책 정가 13,200원

판매가 13,200원

도서소개

퀴브라 귀뮈샤이는 이민자 여성 출신으로 독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 중 한 명이다. 그녀는 “내 언어의 한계는 내 세계의 한계를 의미한다”고 말한 비트겐슈타인의 말을 인용하면서, 언어가 우리에게 세계를 열어주는 동시에 우리를 그 안에 가둔다고 말한다. ‘누가 세상을 설명하는가? 누가 서술하고, 누가 서술되는가? 누가 이름을 붙이고, 누구에게 이름이 붙여지는가?’ 언어가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더 이상 논쟁할 필요가 없는 사실이다. 그녀는 오랜 시간 언어가 어떻게 우리의 생각을 형성하고 우리의 처세와 정치를 결정하는지 탐구해왔는데, 이런 주제를 파고든 건 부당함에, 사회가 개인에게 가하는 부조리에 익숙해지지 않기 위해서였다. 사람들은 이름 붙여지지 않은 자들에게 존재의 배경을 묻지 않는다. 증오는 의견으로 받아들여지고, 극단주의는 인터넷에서 지속적인 여론으로 나타난다.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못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정의에 저항하고 있으면서도 자신들을 보수주의자쯤으로 여긴다.

이 책은 복잡성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인간으로서 동등한 권리를 갖고 존재할 수 있고, 그 길로 가기 위한 성찰이자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우리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언어를 찾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우리의 언어, 생각, 느낌, 삶의 구조와 한계를 인식할 때 우리 모두는 동등한 권리를 갖고, 말하고, 존재할 수 있다는 퀴브라 귀뮈샤이의 주장은, 혐오가 뉴노멀이 된 오늘날 꼭 필요한 목소리가 아닐 수 없다.

저자소개

퀴브라 귀뮈샤이 (Kubra Gumusay)
1988년 함부르크에서 독일에 거주하는 튀르키예인 외국인 노동자의 손녀로 태어났다. 런던대학교의 SOAS(소아즈,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와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현재는 독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 중 한 명으로 꼽힌다.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자신의 블로그에 ‘외래어 사전’이라는 연재를 시작해 독일 사회에서 살아가는 외국인으로서 인터넷, 정치, 차별과 혐오, 페미니즘에 관한 글을 썼다. 비평과 자기 고백을 넘나드는 특유의 유려한 글은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고, 2011년 독일에서 우수한 온라인 콘텐츠에 수여하는 그림온라인어워드(Grimme Online Award) 최종 후보에 올랐다.

일상에 만연한 차별에 반대하는 캠페인으로 그녀가 공동 추진한 해시태그 운동 #ausnahmslos(‘예외 없음’이라는 뜻)은 2016년 클라라 제트킨 여성상(Clara-Zetkin-Frauenpreis)을 받았다.

테드(TED) 강의 무대에 여러 번 섰고 다수의 일간지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며 왕성한 필력을 선보이고 있다. 남편, 아들과 함께 영국 옥스퍼드에서 살다가 다시 함부르크에서 거주하고 있다.

역자소개

강영옥
덕성여자대학교 독어독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독과에서 공부한 후 여러 기관에서 통번역 활동을 했으며 수학 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했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기획자 및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물리학자의 은밀한 밤 생활』, 『자연의 비밀 네트워크』, 『과학자 갤러리』, 『웃기는 과학책』, 『손길이 닿는 순간 당신에게 일어나는 일』, 『이게 다 뇌 때문이야』, 『노화, 그 오해와 진실』, 『슈뢰딩거의 고양이』, 『교양인을 위한 화학사 강의』(공역), 『그녀는 괴테가, 그는 아인슈타인이 좋다고 말했다』, 『나는 이기적으로 살기로 했다』, 『아름답거나 혹은 위태롭거나』, 『상처 주지 않는 대화』, 『인플레이션』, 『부유한 자본주의 가난한 사회주의』, 『다윈 할아버지의 진화 이야기』 등 다수가 있다.

목차소개

1장―언어는 나와 사회라는 존재의 집이다
2장―우리에게는 다의성이, 모호성이 필요하다
3장―누가 서술하고 누가 서술되는가?
4장―개성을 빼앗긴 사람들
5장―더 이상 연대를 끊지 않기로 다짐할 때
6장―증오는 의견이 아니다
7장―우파들의 어젠다
8장―범주는 언제 새장이 되는가?
9장―내가 나로 말하길 멈추지 않을 때
10장―대화에서는 모두가 승리한다

감사의 말
미주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