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된 선승, 범일국사

유네스코 무형유산 강릉단오제의 주신, 범일국사 통효의 생애와 사상

자현 | 불광출판사 | 2024년 01월 19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32,000원

전자책 정가 22,400원

판매가 22,400원

도서소개

우리나라에 선종의 뿌리를 심은 사굴산문의 개창자, 범일국사!
그는 선승인가, 신인가?

우리나라에 선종(禪宗)의 뿌리를 심은 사굴산문(闍崛山門)의 개창자, 범일국사(梵日國師). 그는 한국불교사의 중요한 위치에 놓인 선승(禪僧)이지만, 한편으론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인 강릉단오제의 주신(主神)으로 추앙되고 있다. 우리 불교사에서 생불(生佛)이나 신이승(神異僧)으로 평가받는 다른 고승(高僧)들과 달리 민간 신앙적 변형을 거친 독특한 경우이다.
불교계 전방위 지식인 자현 스님의 이번 신간은 이런 범일국사와 관련한 우리 불교사의 주요 장면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범일국사의 탄생과 출가, 입당 유학 시기는 물론 귀국 이후의 행적까지, 현존하는 옛 기록과 기존의 연구 성과, 중국의 지리적 측면 등을 다방면으로 고려해 그의 생애를 정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로써 범일의 생애에 관한 후대의 설화적 윤색, 강릉단오제의 주신과 관련된 측면을 더욱 명확히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저자는 범일국사가 강릉 지역의 대표적인 민간 신앙 제례인 강릉단오제의 주신이 된 사연을 분석한다. 범일국사는 민간의 신앙과 어떻게 결합되어 주신으로 정립되었는지, 불교의 틀을 넘어 신으로 숭배되는 독특한 이력의 고승으로 변모하게 된 이유를 밝히는 것이다.

저자소개

일우자현(一雨玆玄)
무봉 성우 대율사께 율맥 전수(2020), 여천 무비 대강백께 강맥 전수(2022), 중봉 성파 종정예하께 선맥 전수(2023).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율장)와 고려대학교 철학과(선불교), 그리고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건축)・역사교육학과(한국 고대사)・국어교육학과(불교 교육)・미술학과(고려불화)・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국대학교 강의전담교수와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와 불교학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또 월정사 교무국장, 사단법인 인문학과 명상연구소 이사장,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인도・중국・한국・일본과 관련된 180여 편의 논문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수록했으며, 『시대를 초월한 성자, 한암』,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 『성공을 쟁취하는 파워 실전 명상』, 『최강의 공부 명상법』 등 60여 권의 저서를 펴냈다. 저서 가운데 『불교미술사상사론』은 2012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찰의 상징세계(상・하)』는 2012년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붓다순례』(2014년)와 『스님의 비밀』(2016년), 『불화의 비밀』(2017년), 『스님, 기도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2019년)는 각각 세종도서, 그리고 『백곡 처능, 조선불교 철폐에 맞서다』는 2019년 불교출판문화상 붓다북학술상에 선정되었다. 이외에 제7회 영축문화대상(학술 부문)과 제1회 한암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목차소개

머리말 민중에 의해 신으로 추앙된 고승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선행 연구 검토
1. 연구의 목적
2. 선행 연구 검토
제2절 연구의 범위와 서술 방향

제2장 범일의 탄생과 입당 유학
제1절. 범일의 탄생과 붓다와의 연결 검토
1. 탄생의 신이성과 붓다와의 연결
2. 「범일전」의 신이성과 붓다화
제2절. 범일의 출가와 입당 유학
1. 범일의 출가 배경과 경주행
2. 범일의 입당 시기와 초기 행적

제3장 범일의 남종선 사법과 귀국 후 행적
제1절. 범일의 남종선 사법과 회창법난
1. 범일의 마조계와 석두계 계승
2. 수도행과 회창법난의 관련 기록 검토
제2절. 입당의 마지막 행적과 진귀조사설의 문제
1. 육조탑묘 참배와 귀국 연도 문제
2. 진귀조사설의 의미와 범일의 제창 의도
제3절. 백달산 연좌와 명주도독의 굴산사 초빙
1. 백달산 연좌 기록의 내포 의미 검토
2. 굴산사 초빙과 40여 년 주석의 강조 의미

제4장 범일의 굴산사 주석과 명주불교로의 확대
제1절. 명주도독 김공의 범일 후원과 성격
1. 명주군왕 김주원과 명주도독 김공의 관계
2. 명주도독 김공과 사굴산문의 후원 세력 변화
제2절. 범일의 정취보살상 봉안과 오대산 주석 등
1. 낙산사 정취보살상의 봉안 기록 검토
2. 범일의 오대산 주석과 사굴산문의 관계
3. 잔존하는 범일의 불사 기록과 흔적

제5장 범일의 강릉단오제 주신으로서의 확립 과정 검토
제1절. 강릉단오제의 특징과 국사성황신 성립 기록
1. 중국 단오제와 강릉단오제의 차이와 특징
2. 대관령 산신과 국사성황신의 관련 기록 정리
제2절. 이승의 존재와 범일로의 대체 가능성
1. 이승과 승・속이신의 ‘승’에 대한 판단
2. 자장에서 범일로의 변화 가능성과 타당성
제3절. 명주 지역의 범일 신격화와 민간 신앙화
1. 민간 신앙의 범일 수용과 신격화 시기
2. 범일에게서 확인되는 민간 신앙적 구조
3. 강릉단오제에서의 주신 확립과 범일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범일 연표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