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1장 한국사의 이해방향
한국사란 무엇인가?/한국학과 국학/국학의 출현/지역학/한국학의 모색/우리 속의 오리엔탈리즘
제2장 역사학의 시각이해
네 가지 시선/이야기와 학문/주관성과 객관성/입체적 시각의 필요성/역사학적 공간의 의미/동서교류사/역사학적 시간의 의미/시차발전론/역사서술
제3장 고대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고대란 무엇인가?/고대, 어디까지인가?/삼조선의 명암/삼국은 언제 탄생했을까?/논쟁의 여정/고대국가체제 형성론
제4장 화려한 고대사와 질박한 현실
대조선주의 대 소조선주의/제국과 제국주의/연호와 국제표준/남북국의 성격/제국주의시대 쌍생아/사대주의 실체
/괴뢰만주국의 발해연구/제국주의 이론/화려한 고대사/영토 대 역사/통일신라 대 남북국시대
제5장 언제부터 중세사의 진입인가?
중세란 무엇인가?/유럽의 중세/한국의 중세/역사 속의 고려/고려세계
제6장 고려는 하나의 왕조였을까?
고려시대사구분론/백성 대 민/호족 대 왕권/귀족제 대 관료제/황제국체제론/전쟁의 시대/지역자위집단/지방분권모형
/양측적 친속관계와 여성사/대몽항쟁 대 세계체제론
제7장 이중국가체제
몽골제국/고려의 전환/이중국가체제 탄생/팍스 몽골리카나/14-15세기 유학자 경제관
제8장 고려에서 조선으로
공민왕의 위상/개혁의 연속성/잊힌 북진의 기억/신흥무장세력과 신진사류/서구의 시대사구분론/조선의 성격규정
제9장 르네상스와 조선
동서의 이상국가론/르네상스기 문물정비/중화보편/이상국가 만들기
제10장 조선정치사의 재조명
훈구와 사림/‘사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인사권 문제/당쟁사관/‘환국’을 어떻게 볼 것인가?/붕당 대 탕평
제11장 대한제국의 꿈
고종시대의 정국변화/국제법 인식/서양문물의 도입/근대 무기체계도입/신식화폐제도 준비/시민사회 조성노력/독립운동 지원
제12장 외세의 침탈방식
외세의 방해공작/운요호사건 조작/위안스카이 청군출병 강요/일본군점령하 갑오개혁/스파이 침투/고액차관의 강요/불법조약의 강제체결
제13장 식민사학의 논리구조
왜곡된 이미지/왕실격하운동/야만의 나라 만들기/왕실책임론/당파성론/임진왜란 패전론/만선사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