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x
베타리더 후기 xiii
머리말 xv
이 책에 대하여 xvii
CHAPTER 1 관측 가능성의 개념과 방향성 1
1.1 관측 가능성의 세 가지 요소 2
__1.1.1 모니터링과 차이점 2
__1.1.2 관측 가능성 구성 요소 51.2 메트릭 6
__1.2.1 가용성 6
__1.2.2 구글의 골든 시그널 7
__1.2.3 메트릭 유형 12
__1.2.4 시계열 데이터 13
__1.2.5 프로메테우스의 히스토그램 16
__1.2.6 메트릭 관리 방안 21
1.3 추적 25
__1.3.1 추적 구성 요소 25
__1.3.2 추적 데모 29
1.4 로그 37
__1.4.1 로그 관리 37
__1.4.2 로그 표준화 40
1.5 상관관계 44
__1.5.1 상관관계의 필요성 44
__1.5.2 상관관계 구현 방안 46
1.6 관측 가능성 데모 52
__1.6.1 데모의 방향성 52
__1.6.2 관측 가능성 데모 목록 54
1.7 관측 가능성 목표 59
__1.7.1 레퍼런스 아키텍처 59
__1.7.2 핵심 목표 60
1.8 관측 가능성 오픈소스 64
1.9 관측 가능성 방향성 65
CHAPTER 2 관측 가능성 기반 기술 69
2.1 트래픽 관리 69
__2.1.1 단일 장애점 69
__2.1.2 로드 밸런서 70
__2.1.3 복원성 패턴 73
__2.1.4 가시성 78
__2.1.5 서비스 메시 79
2.2 쿠버네티스 오토스케일링 81
__2.2.1 오토스케일링 오픈소스 85
__2.2.2 메트릭 측정 90
__2.2.3 메트릭 선정 91
2.3 관측 가능성 프로세스 96
__2.3.1 관측 가능성 운영 프로세스 96
__2.3.2 관측 가능성 장애 프로세스 97
2.4 수평 샤딩 99
2.5 마이크로서비스 102
__2.5.1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흐름 103
__2.5.2 관측 가능성의 마이크로서비스 105
__2.5.3 읽기와 쓰기를 분리하기 106
2.6 일관된 해시 108
2.7 관측 가능성 시각화 113
2.8 키-값 저장소 119
2.9 객체 스토리지 120
2.10 안정적 데이터 관리 121
2.11 시계열 데이터 집계 128
CHAPTER 3 관측 가능성의 시작, 프로메테우스 131
3.1 프로메테우스 바이너리 구성 131
3.2 프로메테우스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138
__3.2.1 데이터 형식 138
__3.2.2 데이터 관리 139
__3.2.3 블록 관리 141
3.3 프로메테우스 쿠버네티스 구성 144
3.4 프로메테우스 오퍼레이터 146
3.5 프로메테우스 오토스케일링 154
__3.5.1 프로메테우스 어댑터 154
__3.5.2 KEDA 오토스케일 159
3.6 프로메테우스 알람 162
3.7 프로메테우스 운영 아키텍처 170
__3.7.1 샤딩 아키텍처 170
__3.7.2 페더레이션 아키텍처 173
3.8 타노스 운영 175
__3.8.1 타노스 아키텍처 175
__3.8.2 타노스 사이드카 방식 178
__3.8.3 타노스 리시버 방식 181
__3.8.4 타노스 구성 183
__3.8.5 타노스 테스트 186
CHAPTER 4 오픈소스 관측 가능성, 그라파나 189
4.1 그라파나 관측 가능성 190
__4.1.1 목적과 범위 190
__4.1.2 인프라 구성 191
__4.1.3 애플리케이션 구성 193
4.2 로키 로그 관리 202
__4.2.1 로키 기능 202
__4.2.2 로키 바이너리 구성 213
__4.2.3 프롬테일 쿠버네티스 구성 214
__4.2.4 로키 쿠버네티스 구성 215
__4.2.5 로키 테스트 221
4.3 미미르 메트릭 관리 224
__4.3.1 미미르 기능 224
__4.3.2 미미르 구성 232
__4.3.3 미미르 쿠버네티스 구성 236
__4.3.4 미미르 업무 규칙 238
4.4 템포 추적 관리 245
__4.4.1 템포 기능 245
__4.4.2 템포 바이너리 구성 249
__4.4.3 템포 쿠버네티스 구성 250
__4.4.4 템포 쿠버네티스 테스트 252
4.5 예거 추적 관리 254
__4.5.1 예거 쿠버네티스 구성 254
__4.5.2 예거 데이터 모델 257
CHAPTER 5 그라파나 관측 가능성 데모 259
5.1 상관관계 261
__5.1.1 메트릭에서 추적으로 262
__5.1.2 추적에서 메트릭으로 263
__5.1.3 로그에서 추적으로 270
__5.1.4 추적에서 로그로 271
__5.1.5 메트릭에서 로그로 272
5.2 뉴 스택 278
__5.2.1 뉴 스택 소개 279
__5.2.2 뉴 스택 구성 284
__5.2.3 뉴 스택 상관관계 287
5.3 라이드 온디맨드 294
__5.3.1 시스템 설정 296
__5.3.2 소스 설명 309
__5.3.3 HotROD 개선 방향 328
5.4 그라파나 관측 가능성 330
__5.4.1 시스템 개요 330
__5.4.2 소스 설명 333
__5.4.3 시스템 구성 336
__5.4.4 그라파나 데이터 소스 설정 341
CHAPTER 6 관측 가능성의 표준, 오픈텔레메트리 343
6.1 오픈텔레메트리 소개 344
6.2 오픈텔레메트리 컴포넌트 345
__6.2.1 신호의 구성 요소 347
__6.2.2 콘텍스트 전파 358
__6.2.3 파이프라인 359
6.3 추적 361
__6.3.1 오픈텔레메트리 추적 소개 361
__6.3.2 추적 파이프라인 구성 367
6.4 메트릭 374
__6.4.1 오픈텔레메트리 메트릭 소개 374
__6.4.2 메트릭 파이프라인 구성 378
6.5 로그 384
__6.5.1 오픈텔레메트리 로그 소개 384
__6.5.2 로그 파이프라인 구성 391
6.6 컬렉터 397
__6.6.1 오픈텔레메트리 컬렉터 소개 397
__6.6.2 컬렉터 파이프라인 구성 400
6.7 오픈텔레메트리 데모 404
CHAPTER 7 관측 가능성을 넘어 자동화로 425
7.1 IT 운영 자동화 425
7.2 AIOps의 발전 단계 427
__7.2.1 지능형 경고 429
__7.2.2 상관관계 429
__7.2.3 이상 탐지 430
7.3 AIOps의 기술들 431
7.4 앞으로 더 배울 내용 433
__7.4.1 다섯 가지 텔레메트리 433
__7.4.2 이상 탐지 434
__7.4.3 근본 원인 분석 435
__7.4.4 데이터 파이프라인 436
__7.4.5 오픈서치 관측 가능성 436
__7.4.6 멀티 클러스터와 멀티 테넌트 437
__7.4.7 자동 계측 439
__7.4.8 SLO 규칙과 시각화 439
용어 설명 440
찾아보기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