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마다 환경이 다르니 사람들의 삶 역시 다르다.
또 환경이 같더라도 사람마다 삶의 모습은 다르다.
사회적 삶을 살기 위해서는 사회의 환경은 물론
사람의 본성, 그 무엇보다 자신의 본성을 알아야 한다!
시민은 국가와의 관계에서 부여되는 지위이고, 국가는 사회를 전제로 한다. 사회는 2인 이상의 사람이 관계를 형성한 결사이다. 시민은 국가의 다른 모든 시민과의 관계 속에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것이 시민이 되기 전에 먼저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다. 자신을 항상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 놓고 생각하는 사람, 그래서 타인 자신처럼 존중하고 다른 사람과 함께 자기 생각과 행동을 조정할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이 바로 인간이다. 인간이 되는 것이 그토록 어려운 것일까?
‘인간’은 원래 사람이 아니라 ‘사람이 사는 세상’을 뜻했다. 옛날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맺음 속에서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던 것이다. 그러나 언제부터 이 의미는 사라지고, 글자만 덩그러니 남아 그저 사람의 유의어처럼 쓰이고 있다. 현대 사회의 특징 중 하나인 개인의 원자화 현상을 그 증거로 논할 수 있다. 원자화란 사람 간의 관계가 단절되고 고립되는 현상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인간이란 말의 본뜻에 비추면 ‘비인간화의 심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안타깝게도 인간이기를 포기하는 사람, 인간으로 바로 서기를 어려워하는 이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저자 오수웅 박사는 문화와 인권, 도덕, 정치철학, 교육철학, 시민교육 등에 큰 관심을 갖고 연구와 교육을 이어왔다. 특히 오늘날 한국의 정치, 교육, 사회, 문화 전반에 깊이 스며들어 있는 루소 사상에 대해 오랜 시간 탐구해왔다. 이 책 『사회계약론 - 사회를 여는 마음의 눈』은 시민이라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사회계약론을 다루기 전에, 인간이 되는 데 꼭 필요한 내용을 전하려는 고심을 담아 집필했다. 그는 ‘인간’에서 ‘사회계약론’으로 여행하다 보면, ‘나에게로의 여행’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이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바로 그 순간 자신이 인간이 되어 있다는 것을 느끼며, 시민으로서의 자격을 획득하는 지점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니 ‘나 자신으로의 여행’을 경험한 사람은 시민이 될 준비를 마친 셈이다. 그 경험은 사람의 본성, 사회의 기원과 발달 그리고 사회계약과 국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려는 마음과 자세에 대한 느낌과 인식 역시 중요한 요소로 자리할 것이다. ‘이해’했다는 것은 사람들이 사회계약이라는 약속을 통해 서로 관계를 맺음으로 사회와 국가가 생겨난다는 것을 깨달았음을 뜻하고, ‘느낌과 인식’을 가졌다는 것은 다른 사람과 자유롭고 평등한 관계를 맺으려는 행동을 기꺼이 할 수 있음을 의미할 것이다.
이후 ‘시민’에서 ‘행복한 시민’으로 나아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주어진 권리와 의무를 다함으로써 전체가 이익을 얻게 될 때 모두 행복한 시민이 될 수 있다. 행복한 시민이 되려면 시민 전체에게 이익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판단,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 결정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조정된 것이어야 한다. 이는 권리보다 의무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뜻이다. 구성원 모두가 서로에게 인간이 되기를 원하고 그러한 관계를 유지할 때, 시민이 되는 것과 행복한 삶은 동의어가 될 것이다. ‘나’ ‘혼자’ ‘홀로’가 대두되는 현 시대와 세대에 더 유의미한 메시지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