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해제 제7편 원대(1271~1368) 제20장 개관 제21장 민가·소곡·예술가곡과 설창음악 1. 민가·소곡과 예술가곡 민가 소곡 예술가곡 2. 설창음악 제궁조 화랑아 도진 사화 제22장 잡극 1. 잡극과 산곡 잡극과 산곡의 구별과 관계 종사성의 『녹귀부』 세 시기 2. 잡극의 발전 잡극의 발생, 발전의 정점 및 쇠퇴의 문제 원잡극의 발전 양상 잡극의 극목·극본과 곡조의 보존 현황 3. 잡극의 주요 작가와 작품 관한경과 그의 작품 『두아원』 『단도회』 왕실보와 그의 작품 『서상기』 4. 잡극의 내용과 형식 원잡극 제재의 광범성과 현실성 통치자들의 잡극 이용과 박해 잡극의 외국 전파 잡극의 예술 형식 잡극의 구조 잡극의 연출 형식 제23장 잡극의 음악 1. 곡조의 근원 2. 투수 3. 궁조 이론 4. 선율의 특징 5. 절주의 특징 6. 무두 7. 곡패의 변화 8. 반주 악기 제24장 산곡 원 산곡 악보의 보존 현황 산곡의 내용과 형식 산곡은 잡극에서 나왔다 원대 산곡의 용도 제25장 남희 원대 남희의 성행 역경 속의 발전 원대 남희 악보의 보존 현황 풍부하고 진보적인 남희의 제재 『형채기』·『백토기』·『배월정』·『살구기』 『비파기』 『배월정』과 『비파기』에 대한 전인들의 비평 비판과 애호의 계급성 「배월」과 「겨를 먹다」 남회의 두터운 민간음악 기초 남북합투 제26장 악기와 기악 악기 삼현 화불사 칠십이현 비파 흥륭생 운오 어고와 간자 공후 호곡 기악곡 백령작 「해동청이 백조를 잡다」 제27장 『창론』과 『중원음운』 『창론』 『중원음운』 結.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1. 그림 목록 2. 곡례 목록 3. 곡례 저자 후기 1) 차이 2) 특수한 모순 3) 이론의 기초는 실천이다 4) 우월한 조건, 유치한 단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