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180 흉복문1

저자 진몽뢰 장정석 번역자 홍성민 | 튼살흉터이미지한의원 | 2013년 05월 06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4,900원

판매가 4,900원

도서소개

論 거통론 帝曰:願聞人之五臟卒痛,何氣使然? 황제가 말하길 원컨대 사람의 오장이 갑자기 아픔은 어떤 기가 그렇게 한 것입니까? 岐伯對曰:經脈流行不止,環週不休。寒氣入經而稽遲,泣而不行,客於脈外則血少,客於脈中則氣不通,故卒然而痛。 기백이 대답하길 경맥이 유행함을 그치지 않으며 두루 쉬지 못합니다. 한기가 경락에 들어감에 늦으면 깔깔해서 운행하지 못하며 맥의 외부에 침입하여 혈이 적어지며 맥중에 침입하면 기가 통하지 못하니 그래서 졸연히 아프다. 帝曰:其痛或卒然而止者,或痛甚不休者,或痛甚不可按者,或按之而痛止者,或按之無益者,或喘動應手者,或心與背相引而痛者,或脅肋與少腹相引而痛者,或腹痛引陰股者,或痛宿昔而成積者,或卒然痛死不知人,有少間復生者,或痛而嘔者,或腹痛而後泄者,或痛而閉不通者,凡此諸痛,各不同形,別之奈何? 황제가 말하길 통증이 혹은 졸연히 멎고 혹은 통증이 심하여 쉬지 못하며 혹은 아픔이 심하여 누르지 못하며 혹은 눌러도 통증이 멎으며 혹은 누르면 무익하며 혹은 숨차고 움직이면 손을 반응하며 혹은 심장과 등이 서로 당겨서 아프며 혹은 옆구리와 갈비와 소복이 서로 당기면서 아프며 혹은 복통이 음부와 넓적다리까지 당기며 혹은 통증이 예전에 있고 적이 생성하며 혹은 졸연히 통증으로 죽어도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며 혹은 조금 쉬어도 다시 생기며 혹은 아프면서 구토하며 혹은 복통인 뒤에 설사하며 혹은 통증으로 막혀 통하지 못하며 이런 통증은 각각 형체가 같지 않으니 다른것은 무엇입니까? 岐伯曰:寒氣客於脈外則脈寒,脈寒則縮?,縮?則脈? ?(물리칠 꿰매다 출 ?-총11획 ch?) 急,?急則外引小絡,故卒然而痛。得炅則痛立止。因重中於寒,則痛久矣。 기백이 말하길 한기가 맥의 밖에 침입하며 맥이 차면 맥이 차면 수축해 오그리며 오그리면 맥이 물리치며 급하니 맥이 물리치며 급하면 밖에 소락을 당기며 그래서 갑자기 아프다. 밝음을 얻으면 통증이 곧 멎으며 한기에 거듭 적중되며 통증이 오래된다. [ 註 莫子晉曰:太陽,日中之火也。 주석에 막자진이 말하길 태양은 해 속의 불이다. 太陽主諸陽之氣,陽熱之甚者也,此受天之寒邪,得吾身之陽氣以化熱,故痛立止。] 태양은 여러 양의 기를 주관하니 양열이 심한 것이니 이는 하늘의 한사를 받음이며 내 몸의 양기를 얻어서 열로 변화하니 그래서 통증이 곧 멎는다. 寒氣客於經脈之中,與炅氣相薄則脈滿,滿則痛而不可按也。 한기가 경맥중에 침입하며 밝은 기가 서로 엷고 맥이 그득하니 그득하면 통증으로 누를 수 없다. 寒氣稽留,炅氣從上,則脈充大而氣血亂,故痛甚不可按也。 한기가 넘어가니 밝은 기가 위로부터 맥이 충만해 커지며 기와 혈이 혼란하므로 통증이 심하여 누를 수 없다. [ 註 榮血行於脈中,陽氣行於脈外,寒邪在脈,與陽氣相搏,則血氣? ?(진흙 젖다 뇨{요} ?-총11획 n?o chu?) 澤而脈滿矣,脈滿故痛而不可按也。 주석 영혈이 맥 속을 운행하며 양기가 맥의 외에 운행하며 한사가 맥에 있으니 양기가 서로 치며 혈기가 윤택하며 젖으며 맥이 그득하니 맥이 그득하면 그래서 아프며 누를 수 없다. 寒氣稽留於脈中,陽氣惟升而從上,血氣不能相將而循行,則亂矣。] 한기가 맥 속에 머무르면 양기가 상승하여 위를 따르며 혈기가 서로 장차 순행하지 못하니 혼란스럽게 된다. 寒氣客於腸胃之間,膜原之下,血不得散,小絡急引,故痛。 한기가 위장의 사이에 침입하여 막원의 아래에 있으면 혈이 흩어지지 못하며 소락이 급하게 당겨지므로 아프게 된다. 按之則血氣散,故按之痛止。 누르면 혈기가 흩어지므로 누르면 통증이 멎는다. [ 註 寒氣客於腸胃膜原之間,則內引小絡而痛。氣爲陽,經絡爲陰。 주석 한기가 위장의 막원의 사이에 침입하며 안으로 소락을 당기면 아프다. 기는 양이 되며 경락은 음이 된다. 如邪客於脈外之氣分而迫於經絡爲痛者,或得炅,或按之而痛止,蓋寒邪得氣而易散也。 만약 사기가 맥외의 기분을 침입하여 경락을 핍박하여 통증이 되거나 혹은 밝음을 얻고 혹은 누르면 아픔이 멎으면 한사가 기를 얻어서 쉽게 흩어짐이다. 如邪入於經絡而爲痛者,甚則不可按,或雖按之無益,蓋陰分之邪難散也。 만약 사기가 경락에 들어가서 통증이 되며 심하면 누를 수 없거나 혹은 비록 눌러도 무익하면 음분의 사기가 흩어지기 어렵게 된다. 此邪在膜原之氣分,牽引小絡而痛,故按之?止。] 이는 사기가 막원의 기분에 있어서 소락을 견인하여 아프므로 누르면 중지한다. 寒氣客於俠脊之脈則深,按之不能及,故按之無益也。 한기가 협척의 맥에 침입하여 깊으며 누르면 도달하지 않으므로 누르면 무익하다. [ 註 俠脊之脈,伏衝之脈也,伏衝之脈上循背裏,邪客之則深,按之不能及,故按之無益也。] 주석 협척의 맥은 복충의 맥이니 복충의 맥은 위로 등 안을 따르니 사기가 침입하면 깊어지며 누르면 이르지 못하니 그래서 누르면 무익하게 된다. 寒氣客於衝脈,衝脈起於關元,隨腹直上,寒氣客則脈不通,脈不通則氣因之,故喘動應手矣。 한기가 충맥에 침입하면서 충맥이 관원에서 일어나며 배 곧장 위를 따르며 한기가 침입하면 맥이 통하지 않고 맥이 통하지 않으면 기가 그에 기인하므로 숨참이 움직여 손에 반응한다. [ 註 夫衝脈之循於背者,注於經,其浮而外循於腹者,至?中而散於脈外之氣分。 주석 충맥이 등에 따르며 경락에 주입되며 부맥이면서 밖으로 배에 따르니 가슴 속에 이르면 맥의 밖의 기분에 흩어진다. 故脈不通則氣因之而喘動應手,謂脈逆於?之下,而氣因病於?之上。 그래서 맥이 통하지 않고 기가 그로 기인하여 숨참이 손에 반응하니 맥이 가슴 아래에 상역하며 기가 가슴 위의 병에 기인한다. 喘動應手者,人迎氣口喘急應手也。] 숨차며 움직임이 손에 반응하면 인영맥과 기구맥의 숨참이 급하게 손에 반응한다. 寒氣客於背?之脈,則脈?,脈?則血虛,血虛則痛。 한기가 배수의 맥에 침입하며 색맥이며 색맥이면 혈이 허하니 혈허하면 아프다. 其?注於心,故相引而痛。 수혈이 심에 주입되므로 서로 당겨 아프게 된다. 按之則熱氣至,熱氣至則痛止矣。 누르면 열기가 이르니 열기가 이르면 통증이 멎는다. [ 註 背?之脈者,足太陽之脈也。 주석 배수의 맥은 족태양경맥이다. 太陽之脈循於背,而五臟六腑之?皆在太陽之經,故臟腑血氣皆注於?,故寒客之則脈?而血虛,血虛則痛矣。 태양의 경맥은 등에 순행하니 5장6부의 수혈이 모두 태양경맥에 있으므로 5장6부의 혈기가 모두 수혈에 모이니 그래서 한기가 침입하면 색맥이면서 혈허하니 혈허하면 아프게 된다. 夫心主血脈,五臟六腑之?皆注於心,故相引心而痛。 심은 혈맥을 주관하며 오장육부의 수혈이 모두 심에 모이므로 서로 심장을 당겨서 아프게 된다. 心爲陽中之太陽,與太陽之氣,標本相合,是以按之則熱氣至而痛止矣。] 심은 양중의 태양이 되며 태양의 기와 함께 표본이 서로 합하니 그래서 누르면 열기가 이르고 통증이 멎는다. 寒氣客於厥陰之脈,厥陰之脈者,絡陰器,繫於肝,寒氣客於脈中,則血?脈急,故脅肋與少腹相引痛矣。 한기가 궐음의 맥에 침입하면 궐음의 맥은 음기를 둘러싸며 간에 연계되니 한기가 맥중에 침입하니 혈이 깔깔하며 맥이 급하니 그래서 옆구리와 갈비는 소복과 서로 당기며 아프다. [ 註 肝主血,故寒氣客於厥陰之脈,則血?脈急。肝脈布脅肋,循陰器,故脅肋與少腹相引而痛。] 주석 간은 혈을 주관하므로 한기가 궐음의 맥에 침입하면 혈이 깔깔하고 맥이 급하다. 간맥은 옆구리와 갈비에 퍼져서 음기를 돌고 그래서 옆구리와 갈비는 소복과 서로 당겨서 아프게 된다. 厥氣客於陰股,寒氣上及少腹,血?在下相引,故腹痛引陰股。 궐기가 음부와 넓적다리에 침입하여 한기가 위로 소복에 이르면 혈이 깔깔하고 아래로 서로 당기니 그래서 복통과 음고를 당기게 된다. [ 註 厥陰之脈上抵少腹,下循陰股,故腹痛引陰股。蓋言經氣上下相通,故邪正相引而爲痛。] 주석 궐음의 맥이 위로 소복에 이르며 아래로 음고에 따르니 그래서 복통으로 음고가 당기게 된다. 경기가 상하로 상통하면 그래서 사기와 정기가 서로 당겨 아프게 된다. 寒氣客於小腸膜原之間,絡血之中,血?不得注於大經,血氣稽留不得行,故宿昔而成積矣。 한기가 소장의 막원의 사이에 침입하여 낙혈의 중간에 혈이 깔깔하여 대경에 주입하지 못하며 혈기가 머물러 운행하지 못하니 그래서 머지 않은 옛날에 적이 생성한다. [ 註 蓋邪在於外內之絡脈者,必轉入於大經而後乃代謝,如血氣稽留於絡脈,則宿昔而成積矣。宿昔,稽留久也。大經,臟腑之大絡也。] 주석 사기가 외부 안의 낙맥에 있으면 반드시 전변하여 대경에 들어간 이후에 대사하니 만약 혈기가 낙맥에 머무르면 머지 않은 옛날에 쌓이게 된다. 숙석은 머무름이 오래됨이다. 대경은 5장6부의 대락이다. 寒氣客於五臟,厥逆上泄,陰氣竭,陽氣未入,故卒然痛,死不知人,氣復反則生矣。 한기가 오장에 침입하면 궐역하여 위로 배설하고 음기가 고갈하면 양기가 아직 들어오지 않으므로 갑자기 아프며 죽어서 사람을 알지 못하니 기가 다시 돌아와 살게 된다. [ 註 寒氣客於五臟,臟陰之氣,厥逆於上而從上泄,則陰氣內竭,陽熱之氣未入於內,則裏氣虛傷,故卒然痛死不知人,陰陽之氣復反於內則生也。] 주석 한기가 오장에 침입하면 장음의 기는 위에 궐역하여 위를 따라서 배설되며 음기가 안에 고갈하면 양열의 기가 아직 안에 들어가지 않으며 리기가 허로 상하므로 갑자기 통증으로 죽어 사람을 알지 못하니 음양의 기가 안에 돌아와 회복되어 살게 된다. 寒氣客於腸胃,厥逆上出,故痛而嘔也。 한기가 위장에 침입하면 궐역하여 위로 나와서 그래서 아프고 구토한다. [ 註 寒氣客於腸胃之間,從胃上出,故痛而嘔。] 주석 한기가 위장 사이에 침입하면 위를 따라서 위로 나오므로 아프면서 구토한다. 寒氣客於小腸,小腸不得成聚,故後泄腹痛矣。 한기가 소장에 침입하면 소장이 모여 생성하지 못하므로 뒤에 설사와 복통이 된다. [ 註 此言寒氣客於小腸之間,轉入於腸內,故不成積聚而爲後泄腹痛也。] 주석 이는 한기가 소장 사이를 침입하여 장 안을 돌아 들어가므로 적취를 생성하지 못하고 뒤에 설사 복통이 된다. 熱氣留於小腸,腸中痛,?熱焦渴,則堅乾不得出,故痛而閉不通矣。 열기가 소장에 머무르면 장 속이 아프며 단열로 타고 갈증나며 단단하고 건조하여 나오지 못하므로 아프며 폐색하여 통하지 못한다. [ 註 熱氣者,寒氣稽留而化熱也。 주석 열기란 한기가 머물러 열로 변화함이다. 小腸爲赤腸,乃心臟之腑,故感火氣而化熱。 소장은 적장이 되어 심장의 부이므로 화기에 감하여 열로 변화한다. 小腸主液,腸中熱則液消而爲?熱矣。 소장은 액을 주관하므로 장 속의 열이 액이 소모되어 단열이 된다. 液消熱燥則受盛之物堅乾而不得出,故痛閉不通矣。] 액이 소모되고 열이 건조하여 받은 음식물이 단단하고 건조하여 나오지 못하므로 통증으로 막혀 통하지 못한다.……

저자소개

강희제 ( 康熙帝 ) 때의 진몽뢰 ( 陳夢雷 ) 가 시작한 것을 옹정제 ( 雍正帝 ) 때의 장정석 ( 蔣廷錫 ) 이 이어받아 1725 년에 완성 진몽뢰 (陳夢雷)는 중국 청나라 때 사람. 자(字)는 칙하(則霞) 또는 성재(省齋)이며 복건성(福建省) 민후(?侯) 태생. 강희(康熙) 연간에 진사가 되어 편수(編修) 등의 관직을 역임하다가 나중에 무고를 당해 하옥(下獄)되고 유배되었다. 10여 년 후에 풀려났는데 옹정(雍正) 초년(初年)에 다시 귀양을 갔으며 귀양지에서 죽었다. 『도서집성·의부전록(圖書集成·醫部全錄)』 등의 편수를 주재하였다. 번역자 튼살 흉터를 치료하는 하루 두끼식사 창안자 이미지한의원 www.imagediet.co.kr 02-336-7100원장 홍성민

목차소개

판권 페이지
황제소문
금궤진언론
음양별론
자열편
복중론
거통론
궐론
기병론
표본병전론
맥해편
기교변대론
오상정대론
육원정기대론
지진요대론
기궐론
병능론
영추경
사기장부병형편
壽夭剛柔篇 수요강유편
師傳篇 사부론
脹論 창론
寒熱病篇 한열병편
玉版篇 옥판편
經脈篇 경맥편
經筋篇 경근편
營氣篇 영기편
衛氣篇 위기편
百病始生篇 백병시생편
骨度篇 골도편
熱病篇 열병편
四時氣篇 사시기편
癲狂篇 전광편
厥論 궐론
백병시생편
癰疽篇 옹저편
扁鵲難經 편작난경    腹痛 복통
金?要略 [ 漢 張機] 금궤요략 한나라 장기
?中諸病 가슴의 여러 병
腹中諸病 배 속에 여러 병
少腹諸病 소복의 여러 병
제계 배꼽동계
腸癰 장옹
中藏經 [ 漢 華?] 중장경 한나라 화타
滿痛諸證 그득한 통증과 여러 증상
腸鳴 장명
臍突 배꼽 돌출
臍下重 배꼽 아래가 무거움
脈訣 [ 晉 王叔和] 맥결 진나라 왕숙화
千金方 [ 唐 孫思邈] 천금방 당나라 손사막
?腹諸病 가슴과 복부의 여러 병
試?內生癰法 흉부 안의 옹이 생김을 시험하는 방법
腸癰
仁齋直指方 [ 宋 楊士瀛] 인재직지방 송나라 양사영
복통
복피통
瘡瘍全書 [ 金 竇漢卿] 창양전서 금나라 두한경
井疽發 정저발
穿心冷瘻 천심냉루
蜂窩發? 봉와발흉
發?毒 발두독
?癰 두옹
肋?癰 늑두옹
臍癰 배꼽옹
九發 구발
小腸癰 소장옹
盤腸癰 반장옹
胃脘癰 위완옹
心肝癰 심간옹
濟生方 [ 宋 嚴用和] 제생방 송나라 엄용화    心痛 심통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