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추천사 - 이수웅
추천사 - 왕샤오둔
제1장 들어가며
제1절_ 문제 의식
제2절_ 선행 연구의 검토
제3절_ 강창문학의 개념과 범주
1) 변문통칭론 : 변문이란 용어로 통칭할 것을 주장
2) 변문통칭 비판론 : 변문이란 용어로 통칭하는 것에 반대
3) 협의의 변문과 광의의 변문을 구별하여 사용하자는 주장
4) 구미와 일본 학계의 사례
5) 필자의 입장 : 강창문학이란 용어를 사용
6) ‘돈황 강창문학’ 개념의 한계와 범주의 확장 가능성
제4절_ 연구 범위와 논술 방법
제2장 돈황 강창문학의 형성 경로
제1절_ 불경 한역漢譯의 활성화
제2절_ 포교 방식의 토착화
제3절_ 속강 의식의 통속화
제3장 돈황 강창문학의 서사 체계
제1절_ 제재와 형태
1) 불교고사계佛敎故事系 강창講唱
(1) 압좌문押座文
(2) 강경문講經文
(3) 변變/변문變文/인연因緣/연緣/연기緣起/기記/화話/음吟
2) 중국고사계中國故事系 강창講唱
(1) 변문變文
(2) 화본話本
(3) 사문詞文
(4) 민간부民間賦
제2절_ 주제 유형
1) 제1유형 : 지배이념형支配理念型
2) 제2유형 : 현실비판형現實批判型
3) 제3유형 : 절충화해형折衷和解型
제3절_ 서술 유형
1) 의식지향형儀式指向型
2) 서사지향형敍事指向型
3) 연희지향형演戱指向型
제4장 돈황 강창문학의 연행양상
제1절_ 연행 원리
1) 서사 시점의 운용
2) 삽입시가揷入詩歌(=창唱)의 기능
3) 구비연행口碑演行의 근거
제2절_ 생산자와 향유자
1) 생산자生産者
(1) 작가와 연행자
(2) 기록자記錄者
2) 향유자享有者
(1) 승려층僧侶層
(2) 상류층上流層
(3) 중류층中流層
(4) 하류층下流層
제3절_ 돈황敦煌 강창문학의 연행演行 장소
1) 사원寺院
2) 궁정宮庭
3) 시정市井
(1) 변장變場
(2) 가장歌場
(3) 공연장:희장戱場
제5장 돈황 강창문학의 소설사적 의의
1. 돈황 강창문학이 기원부동론[독자발전론]에 던지는 몇 가지 문제점
2. 돈황 강창문학이 기원동일론(필기영향론)에 던지는 몇 가지 문제점
제6장 나가면서
참고문헌
부록
1. 중국 민간문학의 문학사적 자리 | 전홍철
2. 國內 敦煌 關聯 單行本?論文 目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