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현대시의 공간과 매체
1장 1920년대 시와 매개자적 통로
1. 서론 / 2. 매개자의 역할과 「거화」, 「금성」 / 3. 출판 미디어와 「신지식」, 「조선시인선집」 / 4. 출판 미디어에 실린 시와 그 의미 / 5. 결론
2장 이용악 시의 공간적 특성
1. 서론 / 2. 이용악 시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 1) 부재와 상실의 공간-‘집’과 ‘고향’ 2) 퇴행과 각성의 장소-‘방’과 ‘거리’ / 3. 결론
3장 이호우 시조의 공간과 매체
1. 서론 / 2. 이호우 시조의 공간과 매체 1) 「문장」과 원형적 공간 2) 「죽순」과 갈등의 공간 3) 전선 매체와 의지의 공간 / 3. 결론
제2부 시문학 매체의 구성담론과 이념
1장 / 해방기 시문학 매체에 나타난 시적 담론의 특성 서, 발, 후기를 중심으로
1. 서론 / 2. 해방기 출판계의 상황과 시문학 매체 / 3. 서, 발, 후기에 나타난 시적 담론의 특성 1) 자기 고백의 언술과 시적 실천 2) 헌사(獻詞), 혹은 타자를 통한 자기 응시 / 4. 결론
2장 한국전쟁 전후(前後) 문학 매체의 현황과 성격
1. 서론 / 2. 한국전쟁 전후의 문학 매체 / 3. 전선 매체의 기획과 구성담론 1) ‘전시판’ 문학 매체로의 이동 2) 숭고의 시선과 국가주의 전략 / 4. 결론
3장 한국전쟁기 팔봉 김기진의 문학 활동과 전선 매체
1. 서론 / 2. ‘인민재판’ 체험과 종군작가단 가입 / 3. 「전선문학」과 반공주의 이념의 유포 / 4. 종군시와 낙관적 전망의 제시 / 5. 결론
제3부 현대시의 교재화와 정전
1장 문학교과서와 정전(正典)의 문제
1. 서론 / 2. 정전 논의의 양상 / 3. 문학교과서와 정전의 문제 / 4. 결론
2장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正典化) 과정
1. 서론 / 2.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 과정 1) 첨언(添言)을 통한 타자 적대화의 기획 2) 반공주의와 애국주의 담론의 결합 / 3. 결론
3장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1. 서론 / 2. 해방기의 시조 담론 / 3. 해방기 시조문학 교재의 구성 양상 1) 시조 보급형 교재의 출판과 ‘독본’의 구성 2) 시조 텍스트의 수용과정과 국어교재 / 4. 결론
제4부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과 정전
1장 교실에서의 시 읽기 단계와 그 확장
1. 서론 / 2. 시 교육의 문제와 반성 / 3. 시 읽기의 모형과 단계 / 4. 확장의 다양한 방법들 / 5. 결론
2장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시교육의 방법
1. 서론 / 2. 텍스트의 상호 연계성을 통한 시 교육 1) 통과제의의 아픔과 세계와의 충돌-「바다와 나비」(김기림)와 확장된 텍스트 2) 황폐한 삶의 포착과 고향상실-「여승」(백석)과 확장된 텍스트 3) 문화론적 맥락과 정신주의-「장수산 1」(정지용)과 확장된 텍스트 / 3.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