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계몽의 윤리|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자열서」읽기
1. 비윤리의 윤리성
2. 성자-바보돠 현자-속물: 이광수와 최남선
3.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학병 권유의 논리
4. 논리와 이념 사이의 간극: 최남선의 시라토리
5. 역사의 '외밀한' 진리로서의 신화: 불함문화와 만몽문화
6. 속지 않는 자의 분안
민족 없는 민족주의 이광수와 유머로서의 대동아공영권
1. 이광수와 칸트
2. 민족 없는 민족주의의 역설: 윤리와 정치
3. 급진화된 칸트로서의 이광수
4. 민족주의의 완성태로서의 민족 배신
5. 유머로서의 대동아공영권
기원의 신화를 향해 가는 길 최남선의『백두산근참기』
1. 왜 기행문인가
2. 외부를 통해 조우하게 되는 민족
3. 기원을 통해 존재하게 되는 민족
4. 신화의 역사화, 역사의 신화화
5. 단군론의 역설과 민족주의의 윤리
합리성과 숭고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
1. 그들은 왜 금상산에 올랐나
2. 금강산 관광의 탄생
3. 관광 경험과 진정성의 형식
4.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
5. 두 개의 자연과 진정성의 변증법
계몽과 포에지 최남선의 신체시 읽기
1. 신체시의 문제성
2. 개화기 시가에서의 최남선의 위상
3. 최남선의 문필활동에서의 시가의 위상
4. 격조의식과 그 의미
5. 독백과 도청의 포에지
6. 계몽의 이중성과 두 개의 근대성
7. 최남선의 역설
|제2부『무정』과 한국소설의 근대성|
왜『무정』인가
1. 문제 제기
2. 전제와 시각
『무정』의 서사 구성 원리
1. 삼각관계의 내적 형식과 그 의미
2. 성리학적 세계상과 소설의 문법
3.『무정』의 서사구조와 근대의 이율배반
『무정』의 이데올로기
1. 두 개의 금욕주의
2. 전통과 근대의 화해: 황주와 삼랑진의 의미
3. 민족계몽주의와 '불행한 의식'
『무정』의 소설미학과 근대성
1. 근대성의 원리로서의 주체성
2.『무정』의 미학과 소설의 인식지평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