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서장 ‘호토토기스’란 무엇인가
제1절 ‘호토토기스’를 둘러싼 담론-‘통속’이란 무엇인가
제2절 『호토토기스[不如歸]』 담론의 변화-순문학과 통속문학의 분기
1) 『호토토기스[不如歸]』의 동시대평 / 2) 메이지 40년대-여성 독자층의 전유 / 3) 문제의 소재
제3절 『호토토기스[不如歸]』의 ‘번역’ 양상
1) ‘번역’이란 무엇인가 / 2) ‘번역서’와 ‘속서’
제1부 일본의 ‘호토토기스’의 변용
제1장 『호토토기스[不如歸]』의 탄생
제1절 ‘직분’ 우위의 구조
1) 『호토토기스』 의 성립 / 2) 메이지의 ‘직분’ 담론 / 3) 서사의 ‘직분’의 함의
제2절 ‘사랑’과 ‘직분’의 역학
1) 부부애의 강박 / 2) 「비연애(非戀愛)」론의 역설-‘연애의 정’ / ‘공명의 지[功名の志]’ / 3) ‘러브신’과 낭만적 상상력-‘직분’과 ‘사랑’의 이중 구속 / 4) 분열된 자아 표상
제3절 이에[家]-‘부모의 직분’
1) 화족의 두 가지 존재 방식-‘간상(奸商)’과 ‘천상인(天上人)’ / 2) ‘이에[家]’의 논리 / 3) ‘이에[家]’의 수사학 / 4) ‘처냐 부모냐’-국가의 대립 은폐의 장치
제4절 국가-‘이 직분의 길’
1) 전장·경계·무상감 / 2) 투신모티프-신주[心中]에서 전사(戰死)로 / 3) 구원 모티프-군인칙유의 교차 / 4) “남자에서 남자에게로”-남성의 정체성 형성
제2장 문자에서 소리[聲]로-『가정신시 호토토기스의 노래』
제1절 신문연재소설에서 서적으로-『소설 호토토기스』의 매체 전환
1) ‘신소설’에서 ‘소설’로-문자·삽화의 재구성 / 2) 동정의 표상-권두화의 성립 / 3) 『호토토기스』와 『자연과 인생』-숭고·자연
제2절 소설에서 시로-『가정신시 호토토기스의 노래』의 성립
1) “협의의 호토토기스의 시대” / 2) 서적 『가정신시 호토토기스의 노래』-‘음송’의 독서 / 3) ‘가정신시’의 등장
제3절 단란한 가정의 독서 풍경
1) 가정과 전쟁 / 2) 구연의 상상력-공동체의 기억 / 3) “피를 토하는 상념의 호토토기스”-부부상화(夫婦相和)
제4절 ‘국민의 소리[聲]’
1) 다케오의 변용-군신(軍神) 히로세 다케오의 이미지 교차 / 2) ‘소리[聲]’의 <호토토기스>-공동체의 노래 / 3) 전쟁의 서사시에서 哀歌로-‘기러기 소리[雁の聲]’
제3장 소설에서 각본으로-『각본 호토토기스』
제1절 신파 <호토토기스>
1) 『각본 호토토기스[脚本 不如歸]』의 성립
제2절 부부애의 변용
1) 부부애의 형해화-<(서막)이카호[伊香保] 교외의 고사리캐기> / 2) ‘영원한 아내’의 욕망의 배제-<(삼막)즈시[逗子] 해안>
제3절 면죄의 구조
1) ‘이에[家]’논리의 변화-<(이막)가와시마[川島]댁 객실> / 2) 결핵의 이미지 변화-<(육막) 그 하나, 야마나시[山梨] 정거장> / 3) 전투 후의 변화-<육막 그 이, 사세호[佐世保]해군병원>
제4절 눈물의 공동체-<(대단원) 아오야마[靑山] 묘지>
1) 미망인의 부각 / 2) 유서·낭송·목소리 / 3) 개인의 ‘눈물’에서 공동체의 ‘눈물’로
제2부 식민지 조선의 ‘호토토기스’의 변용
제4장 연극 <불여귀>-‘웃음’에서 ‘눈물’로
제1절 연극 <불여귀> 수용의 전야
제2절 광고의 수사학-‘모방’의 가치 전도
제3절 ‘정극’/‘원조’-‘내지’의 권위 쟁탈
제4절 ‘취미’의 변화-‘가정비극’에서 ‘신성연애’로
1) 연애와 고부간 갈등의 병치-‘천연묘사’의 ‘필법’ / 2) 『불여귀』에서 『쌍옥루』로-‘신성연애’에서 ‘육욕연애’로
제5장 번역 『불여귀』의 탄생
제1절 『불여귀』 이전
1) 번안/번역의 역사 / 2) 『불여귀』의 선행 연구
제2절 『불여귀』의 성립
1) 서적으로서의 『불여귀』 / 2) 주체·법제·작용-번역 / 번안의 분절과 저작권 / 3) 지적재산의 소유와 저작자의 권리-번역/번안의 위치 / 4) 표지·삽화·의장-활자와 삽화의 역학
제3절 부부애 표상의 두 가지 방식
1) 『호토토기스』와 『두견성』 사이 / 2) 해변의 러브신-정사(情死)의 회피 / 3) 평양 대동강의 지정학적 상상력-육친애에서 부부애로 / 4) 모자의 대결 장면의 변주-고부간 갈등의 서사 / 5) ‘일장춘몽’의 상상력-죽음을 향한 신체 구성의 변용 / 6) 구원 모티프의 재구성-‘충’과 ‘효’의 재배치
제4절 번역의 중절-『불여귀』에서 『장한몽』으로
1) 원작의 재배치-중역의 회로 / 2) ‘조선것’으로의 전유 / 3) 서사의 편폭의 확장-메이지 ‘가정소설’과 서사의 변용 / 4) ‘새로운 감정’으로-『불여귀』에서 『무정』으로
제6장 근대 서사의 분기-『두견성』과 『불여귀』
제1절 언어의 전환과 서사의 분기
제2절 문체·표기·독자층
1) 언어의 편차와 구연성과 문자성의 역학 / 2) ‘아속절충체’의 번역-아속의 재배치
제3절 애정의 서사, 전쟁의 서사-哀歌의 표상과 전유
제4절 근대 서사의 향방-리얼리즘의 서사와 번안소설
결론 ‘호토토기스’란 무엇인가
부록 1-참고문헌 / 부록 2-구성 대조표 / 부록 3-호토토기스[不如歸]의 ‘속서’ 목록 / 부록 4-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