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머리에
A Summary
제1장 한국 도시경관의 변천
1. 한국의 유토피아
유토피아의 의미
한국 유토피아의 발상과 기원
길지사상과 십승지지
무릉도원사상과 청학동
미륵정토사상
한국의 유토피아들
한국의 유토피아가 보여주는 것
2. 조선 후기 서울의 도시경관―그 원형과 변형
과거의 도시경관 들여다보기
원형경관의 형성
원형경관의 특성
원형경관의 변화
새로운 한국적 도시경관의 싹
3. 일제시대의 왜곡된 도시경관
왜곡의 요인과 그에 따른 도시의 변화
도시경관의 왜곡 현상
일제 잔재를 탈피하기 위하여
4. 해방 후 반세기 서울의 경관
오늘날의 도시경관 들여다보기
해방 후 사회문화적 상황과 그에 따른 도시의 변화
도시경관의 변천과 그 요인
한국 도시경관의 한국성 찾기―정체성과 보편성
제2장 한국 도시의 이미지와 장소성
1. 도시경관을 보는 틀
도시를 본다는 것
도시경관 이해의 기초
도시경관을 보는 네 가지 틀
우리 도시경관을 들여다보는 틀 찾기
2. 두 도시 이야기―경주와 전주
두 도시 들여다보기
두 도시경관의 역사적 변천
설문 분석으로 본 두 도시의 이미지와 장소성
두 도시의 경관 특성
3. 이미지 창출과 장소 만들기로 본 우리 도시경관 가꾸기
도시경관 가꾸기
이미지 창출과 장소 만들기
우리 도시경관 가꾸기를 위한 몇 가지 제언
제3장 한국 도시경관을 보는 패러다임 찾기
1. 우리 건축과 배치에 보이는 상보적 이원성
우리 건축 들여다보기
서양건축의 본질은 매스이고 한국건축의 본질은 공간인가
서양과 동양의 이원론의 차이
상보적 이원론으로 본 우리 건축과 마을 구성
상보적 이원성의 현대적 의미
2. 우리 도시경관의 이원성 찾기―일곱 개의 듀엣
도시의 양면성과 이원성
지방문화와 중앙문화
길과 광장
큰길과 뒷길
상업적인 것과 전통적인 것
근대적인 것과 전근대적인 것
모방과 창조
외래 이식문화와 국내 고유문화
우리 도시경관의 이원성
3. 기철학과 우리 도시경관
서양의 접근태도에 대한 방법론적 회의
총체적 접근과 동양학의 가능성
만물의 근원은 기이다
티끌 속에도 우주가 있다
기철학으로 본 우리 도시경관―이원적 일원성
4. 21세기 우리 도시경관의 패러다임
변화 진단의 기초
21세기의 화두―두 개의 패러다임
온고창신 패러다임
관계론적 패러다임
패러다임의 실천적 과제
수록문 출처
인용 및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