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게 본 중국의 주택 - 하 중국의 주거문화

손세관 | 열화당 | 2001년 09월 01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9,000원

전자책 정가 9,500원

판매가 9,500원

도서소개

<넓게 본 중국의 주택>과 <깊게 본 중국의 주택>은 동양문화권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중국 고유의 주거문화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거환경에 대해 다루고 있다. 비록 학문적 범주를 '건축'에 두고 있지만, 여기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은 건축 그 자체만이 아니다. 중국인의 철학, 종교, 사회구조, 일상생활 등을 폭넓게 다루면서 이들과 중국인의 주거공간과의 논리적 연관성에 초점을 두었다.

중국주택의 공간구조는 둘러쌈의 구성, 중층적(重層的) 구성, 축적(軸的) 구성, 위계적 구성, 기하학과 자연의 공존 등의 특징으로 요약된다. 여기에는 특히 음양오행사상, 유가사상과 도가사상, 풍수사상 등 중국인 고유의 정신세계가 결정적으로 작용했으며, 위계적 질서와 혈연적인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중국 특유의 사회구조 및 가족제도 또한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한다.

이렇게 중국의 주거문화를 살펴보는 일은 곧 우리의 주거환경이 지니는 정체성을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지은이는 중국과 우리 주거환경의 특성 사이에서 발견되는 유사성과 차별성을 알아낼 수 있다면, 중국의 주거문화가 우리의 주거문화에 미친 영향을 비교적 소상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

'중국의 주거문화'라는 주제 하에 상-하로 나눠진 이 두 책은, 그 내용에 있어서 서로 관련이 있으면서도 독립적이다. 지은이는 중국 주거문화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 넓은 탐구에서 깊은 탐구로 수렴해가는 방법을 취했는데, 상권인 <넓게 본 중국의 주택>에서는 중국 주거문화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서 정리한다. 동시에 중국 주거형식의 다양성, 주거문화의 역사적 변천, 주거문화 형성의 배경, 그리고 도시의 구조 등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하권인 <깊게 본 중국의 주택>은 중국주택의 형태와 공간구조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중국의 네 지역에 자리하면서 중국의 주거문화를 대표하는 주거형식, 즉 북경의 사합원(四合院), 휘주(徽州)의 주택, 황토 고원의 요동(窯洞), 복건성(福建省)의 토루(土樓)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다룬다. 각각의 형태와 공간구조, 집합의 방식, 구축의 방법, 그리고 그곳에서 일어나는 생활양식 등에 중점을 두었다.

저자소개

1954년 경북 대구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건축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고, 미국 버클리 대학에서 건축학 석사,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전공은 건축이론 및 주거환경에 관한 이론적 연구이다. 1986년부터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1991년 한 해 동안 영국 캠브리지 대학에서 객원 연구원을 지냈다. 2008년 현재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북경의 주택], [도시주거 형성의 역사], [깊게 본 중국의 주택],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주거로 읽는 역사도시의 기억들] 시리즈 등이 있고, 논문으로 「주거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고찰」, 「인간, 장소, 코뮤니티」, 「도시 주거지역에 있어서 장소 형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구릉지 주거지역의 공간구조에 관한 비교연구」 등이 있다.

목차소개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중국의 주거문화 상>

책 머리에

1. 서론: 중국주거문화 연구의 의미와 방법론
1. 중국 주거문화 연구의 의미
2. 중국 주거문화 연구의 내용
3. 중국 주거문화 연구의 동향
4. 중국 주거문화 연구의 방법론
5. 이책의 구성

2. 중국의 지리, 풍토 및 주택의 다양성
1. 중국의 지리와 풍토
2. 중국주택의 다양성
3. 중국주택의 여러 가지 형식

3. 중국 주거문화의 역사
1. 신석기시대의 주거와 주거지
2. 은(殷)·주(周) 및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주거문화
3. 한대(漢代)의 주거문화
4. 삼국(三國)·양진(兩晉)·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및 수(隋)·당대(唐代)의 주거문화
5. 송(宋)·원대(元代)의 주거문화
6. 명(明)·청대(淸代)의 주거문화

4. 중국의 주거문화 형성에 미친 여러 가지 요인들
1. 중국의 전통적 공간개념과 주거공간의 구성
2. 중국의 민간신앙과 주거공간의 구성
3. 중국의 풍수사상 주거공간의 구성
4. 중국의 가족제도와 주거공간의 구성

5. 중국의 도시구조
1. 고대 중국에 있어서 도시의 개념과 그성격
2. 중국 도서의 구성원리
3. 당(唐) 장안(長安)의 도시구성
4. 명, 청대 북경의 도시구성

6. 결론: 중국 주거문화의 특징과 주거환경의 구성원리
1. 중국 주거문화의 특징
2. 중국 주거환경의 구성원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중국의 주거문화 하>

책 머리에

1. 서론: 중국주택의 공간구조와 그를 읽는 방법론
1. 중국주택의 공간구조
2. 중국주택의 다양성과 이 책에서 다루는 네 종류의 주거형식
3. 중국주택의 공간구조를 읽는 방법

2. 북경의 사합원(四合院): 중국주택 사례연구 1
1. 중국주거의 원형, 사합원
2. 북경 사합원의 공간구성
3. 도시 맥락 속의 사합원
4. 부경 사합원의 일관성과 다양성

3. 휘주의 주택(徽州): 중국 주택 사례연구 2
1. 휘주와 휘주의 주택
2. 휘주 민가의 공간구조
3. 휘주 민가의 공간전 다양성
4. 중국의 이상향인 휘주 마을의 공간구조

4. 황토 고원의 요동(窯洞): 중국주택 사례연구 3
1. 황토 고원과 동구 주거 요동
2. 요동의 유형과 공간구성의 특징
3. 요동의 구축방식
4. 요동의 실내환경
5. 요동의 생활공간

5. 복건성(福建省)의 토루(土樓): 중국주택 사례연구 4
1. 복건성의 토루
2. 복건성의 풍토와 객가인(客家人)
3. 객가인의 여러가지 주거 형식
4. 토루의 공간구조
5. 토루의 구축방식
6. 토루에서의 생활공간의 전개

6. 결론: 중국 주거문화의 본질과 우리 주거문화와의 관련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