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대문호 톨스토이의 삶의 힐링숲
톨스토이의 풍부한 감수성과 재능은 기쁨과 신선한 건강미를 느끼게 한다.
러시아의 대문호이자 사상가인 톨스토이의 단편집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널리 알려진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사람에게 얼마나 많은 땅이 필요한가>,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 <바보 이반>, <두 노인> 등을 포함하여 총 열 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인생이 추구해야 할 도덕적 가치, 인간의 헛된 탐욕, 사랑의 실천, 참된 지혜를 다룬 진솔한 이야기들이 콘크리트 벽에 갇혀 있는 우리들의 영혼을 위로해줄 것이다.
■ 목차
머리말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사람에게 얼마나 많은 땅이 필요한가
예밀리얀과 빈 북
달걀만 한 씨앗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
바보 이반
작은 악마와 빵 조각
대자(代子)
두 노인
공정한 재판관
톨스토이의 생애와 작품
■ 출판사 서평
러시아 대문호 톨스토이가 전하는
삶의 힐링숲
톨스토이의 풍부한 감수성과 재능은 기쁨과 신선한 건강미를 느끼게 한다.
톨스토이의 단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비롯해 <사람에게 얼마나 많은 땅이 필요한가>,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 등 총 열 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인생이 추구해야 할 도덕적 가치, 인간의 헛된 탐욕, 사랑의 실천, 참된 지혜를 다룬 진솔한 이야기들이 콘크리트 벽에 갇혀 있는 우리들의 영혼을 위로해줄 것이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러시아의 민담에서 기인한 이야기로, 가난한 구두 수선공의 선행과 인간 세상으로 쫓겨난 천사의 세 가지의 깨우침을 통하여 ‘사람의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의 답을 알게 되는 과정을 역설하고 있다. <사람에게 얼마나 많은 땅이 필요한가>는 악마의 부추김을 받은 순박한 농부 파흠이 벌이는 땅에 대한 욕심과 그의 죽음을 통하여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욕심이 어디까지인 또한 그 결과는 무엇인지를 진솔하게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탐욕과 경계를 그려낸 작품이다.
‘아아, 실패한 게 아닐까? 땅을 너무 많이 차지한 게 아닐까? 만약 제시간에 가지 못하면 어떡하지?’
초조한 생각이 나자 파흠은 저쪽 언덕과 해를 번갈아 쳐다보았다. 언덕까지는 아직 멀었는데 지평선에 해는 얼마 남지 않았다. 그래서 파흠은 쉬지 않고 걸었다. 힘이 들었지만 계속 걸음을 재촉했다. 그러나 걸어도, 걸어도 갈 길은 멀기만 했다. 그는 달리기 시작했다. 조끼도 장화도 물통도 모자도 다 버리고 오직 삽만을 지팡이 삼아 뛰었다.
‘아아, 욕심이 너무 지나쳤구나. 이젠 다 틀렸어. 해가 지기 전에 못 갈 것 같아.’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는 구두 수선공 마르틴은 주님이 찾아오겠다는 계시를 받고 추위에 떨고 있는 청소부 어린아이를 안고 떨고 있는 헐벗은 여인 사과를 훔치는 아이를 도와준다는 내용을 통하여 소외된 이웃에 대한 사랑의 실천을 일깨우게 하는 작품이다. 또한 성지 순례를 떠나게 된 두 노인의 서로 다른 여정과 그들의 삶을 통하여 진정한 기독교인으로서의 모습을 제시한 <두 노인>은 죽는 날까지 자기의 의무를 사랑과 선행으로 다하지 않으면 안 되며 그것이 하나님의 분부라는 것을 일깨워준다.
■ 책속 한문장
대자는 방 안으로 들어가 벽난로에 곁에 앉아서 주인아주머니가 하는 일을 지켜보았다. 여자는 방 안을 깨끗하게 모두 치우고 나서 식탁을 물로 씻기 시작했다. 그런 다음에 방안을 청소하던 더러운 걸레로 닦기 시작했다.
식탁 한쪽을 닦았으나 식탁은 깨끗이 닦아지지 않았다. 더러운 걸레 때문에 식탁 위에 땟자국이 몇 줄 생겨났다. 이번에는 다른 쪽을 문질렀다. 그러자 먼저 땟자국이 없어지는 대신 새로운 땟자국이 생겨났다. 다시 문질러 보았으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더러운 걸레로 닦기 때문에 식탁은 깨끗해질 수가 없었다. 먼저 땟자국이 없어지면 다른 땟자국이 생겨나는 것이었다.
대자는 한참 동안 이것을 바라보고 있다가 마침내 입을 열었다.
“아주머니, 지금 무얼 하시는 거예요?”
“안 보여요. 축제일이어서 청소를 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이놈의 식탁은 아무리 닿아도 깨끗해지질 않네요. 이젠 힘이 다 빠졌어요.”
“그 걸레를 깨끗이 빨아 훔치면 될 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