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소설적 전쟁과 영화적 전쟁 1. 뇌의 영역에서의 전투 - 영화와 전쟁 2. `눈`의 전쟁과 `자동기계`의 전쟁 3. 이미지와 뇌의 회로 4. 뇌의 회로와 인격의 회로 5. 소설적 전쟁과 영화적 전쟁 제2장 `시각의 역사`와 서사의 역사 1. `인간의 눈`에서 `자동기계의 시각`으로 2. 메타적인 정신의 눈과 카메라 옵스큐라 3. 탈중심화된 육체적 시각과 생리학적 테크놀로지 4. 원근법과메타레벨을 해체하는 두 가지 방식 - 19세기 광학기구와 사진 5. 사진·19세기 광학기구와 내적 초점화 6. 자동기계의 시각과 영화의 이미지 7. 시뮬라크르의 시대와 외부의 발견 제3장 소설의 시점과 시각의 역사 1. 인식과 서사의 변증법 - 서사의 접힘과 펼쳐짐 2. 작가적 화자 소설의 `인식과 서사의 변증법` 3. 작가적 화자 소설의 이층집 4. 작가적 화자와 위층의 미학적 모나드 5. 모더니즘과 아래층의 미학적 모나드 6. 의층으로의 복귀와 메타픽션의 미학적 모나드 7. 시각중심성을 넘어선 서사와 울림의 소설 8. 구어체소설의 유형과 마을사람으로서의 전지적 화자 9. 라이프니츠의 조하로운 울림과 바흐친의 대화적 울림 10. 다성적인 대화적 소설 11. 내적 초점화와 이야기 내부의 시점 - 리얼리즘에서 모더니즘과 누보로망으로 12. 내적 초점화와 불확정적인 세계의 양가성 13. 1인칭 시점 서술과 존재론적 `서사의 충동` 14.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점과 서술 - 이미지와 환상 제4장 소설과 영화의 시점과 중개성 1. 서사물의 중개자와 시각 주체, 그리고 현실의 삶 2. 시점의 복합적인 두 가지 축 - 인격의 회로에서 뇌의 회로로 제5장 영화의 시점과 이미지 1. 영화의 시점과 소설의 시점 차이 2. 소설과 영화의 `사이` - 시각적 시점화와 주관성의 표현 3. `제3의 중개성`으로서 영화의 시점과 서술 4. 기호학적 영화 서사학과 들뢰즈의 영화이론 5. 영화서사의 미결정적인 문법 6. 이미지 기호학의 두 가지 축과 영화서사의 다양한 양식 7. 홍상수와 김기덕의 모더니즘 제6장 사유의 영화와 시간-이미지 1. 베르그송의 운동-이미지와 선택·결합작용 2.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와 선택·결합작용의 새로운 차원 3. 다양한 영화양식에서 나타나는 시간-이미지 4. 시간-이미지와 크리스털적 영화 5. 사유의 영화와 뇌의 회로 6. 몸의 영화와 연극적인 게스투스 7. 뇌의 영화와 정신적인 자동기계 8. 과 에 나타난 시간-이미지 제7장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와 환상 1. 포스트모더니즘의 환상과 복수 코드화된 현실 2. 혼성성의 연출과 `인류의 기억`으로서의 시간-이미지 3. 억압된 공동체의귀환과 탈식민주의적 혼성성 - 4. 미지의 규율권력과 무의식 속의 괴물 - 제8장 영화의 시대와 스펙터클적 권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