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1) 연구 대상 선정 2) 연구사 정리 3. 연구 방법 제2장/ 글쓰기의 본질과 환경 1. 글쓰기 교육에서 고전 자료의 위상 2. 글쓰기의 본질-문자 언어의 외현(外現) 1) 글쓰기 이해의 역사적 시각 2) 동?서양의 쓰기 관념 비교 3. 쓰기 환경의 구성 요소 1) 쓰기 주체의 교육 상황 2) 선행 텍스트와 문장 모델 3) 문장 조직의 질서와 세계 인식 제3장/ 글쓰기 환경의 근대적 전환 1. 동아시아의 한문 문체 개혁 운동 1) 한문 해체와 새로운 문장 모델 형성 2) 문장 분류론과 ‘문체(文體)’의 개념 변화 3) 문어체의 형성과 구어체의 분화 2. 글쓰기에 대한 인식과 환경의 전환 1) 글쓰기 활동에 대한 근대적 인식 2) 음성중심주의적 단어 관념 도입 3) 추상어 글쓰기의 문장 모델 구성 3. 글쓰기 이론의 근대적 전환 1) 근대 초기의 글쓰기 논의와 ‘작문법’의 발견 2) 글쓰기 이론에서 ‘설명’과 ‘주장’의 분화 제4장/ 근대적 글쓰기의 성립과 발전-185신문 논설문을 중심으로 1. 근대적 논설문의 발생 계기 1) 초기 정론지 사설의 한문해체 문체 채용 2) 연설문의 등장과 인위적 설득구조의 발생 3) 평론문의 인과적 논리와 내용 전개의 자유 2. 성립기(1896~1910) 신문 논설문의 양상 1) 문장 모델과 문체의 특성 2) 내용 구성과 전개 방식의 특성 3. 정착기(1910~1924) 신문 논설문의 양상 1) 문장 모델과 문체의 특성 2) 내용 구성과 전개 방식의 특성 제5장/ 근대적 글쓰기 형성과 쓰기 교육의 방향 1. 광복 이후의 논설문 교육 양상과 문제점 1) 교과서에 수록된 논설문 제재의 개관 2) 논설문 내용의 변천과 제재 선정 방향 2. 논설문 쓰기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 1) 현황에 대한 반성적 검토-순국문체 수용의 요인 2) ‘쓰기 환경’과 ‘문화적 조건’의 중요성 부각 3) ‘문장 모델’ 도입을 통한 ‘내용 표현’의 구체화 3. 근대 이후 글쓰기 교육의 전망 1) 글쓰기에 대한 관점의 전환-‘행위 중심’에서 ‘양식 중심’으로 2) ‘개인적 행위’와 ‘문화적 관습’ 요인의 통합교육 설계 제6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