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 연구의 전제 1. 문제제기 2. 전후비평의 타자화와 새로운 매체의 창간 3. 4·19세대 비평의 제도화와 비평사의 단절 제2장 4월혁명의 시대정신과 『한양』 1. 『한양』의 창간배경과 성격 2. 『한양』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1) 순수문학 비판과 참여문학의 논리 ⑴ ‘순수’의 정치성과 기만의 수사학 ⑵ 비판적 현실인식과 고발의 저항정신 ⑶ 현대시의 난해성과 언어적 기교주의 비판 2) 리얼리즘의 정신과 전통의 주체적 인식 ⑴ 생활현실의 재창조와 리얼리즘의 본질 ⑵ ‘한국적인 것’의 탐색과 주체의식 ⑶ 비평정신의 빈곤과 한국문학의 방향성 제3장 지식인의 현실참여와 『청맥』 1. 『청맥』의 창간배경과 성격 2. 『청맥』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1) 한국문학의 주체성과 근대성의 방향 ⑴ 서구추수의 사대주의와 식민지 작가의식 비판 ⑵ 민족주체성의 확립과 근대시의 비판적 성찰 2) 참여문학론의 진정성과 민족문학 지향성 ⑴ 현실도피적 복고주의와 사이비 참여문학론의 극복 ⑵ 참여문학론의 성격과 민족문학으로서의 리얼리즘 제4장 시민의식의 성장과 『창작과비평』 1. 『창작과비평』의 창간배경과 성격 2. 『창작과비평』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1) 참여문학론의 새로운 방향과 근대성의 실현 ⑴ 참여문학의 방법론적 성찰과 순수문학의 전근대성 비판 ⑵ 전통의 주체적 인식과 한국적 근대성의 방향 2) 시민문학론의 본질과 민족문학에 대한 인식 ⑴ 분단현실의 모순과 시민의식의 형성 ⑵ 민족문학으로서의 시민문학론 제5장 민족주의의 비평적 실천과 『상황』 1. 『상황』의 창간배경과 성격 2. 『상황』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1) 참여문학론의 계승과 리얼리즘론의 심화 ⑴ 역사적 현실인식과 민중의식의 실천 ⑵ 리얼리즘의 본질과 논쟁에 대한 비판적 성찰 2) 분단현실의 극복과 민족문학론의 정립 ⑴ 민족주의의 성격과 민족문학론의 이원화 ⑵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전통과 연대의식 제6장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사의 정립 참고문헌 부록 『한양』 문학비평 목록 『청맥』 문학비평 목록 『상황』 문학비평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