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머리에 1부 16세기 서사문학사의 지형 16세기 소설사의 지형과 위상 : 이념의 서사, 흥미의 서사, 욕망의 서사 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 인식의 의미 1. 신이 인식과 유가적 주체의 문제 2. 경연과 상소 그리고 귀신의 위치 3. 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 인식의 두 형식 4. 귀신이야기의 탈유가적 성격과 조선 전기 서사문학사의 변동 5. 신이의 문학사를 위하여 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 1. 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 2.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의 양상과 의미 3. 단편 서사류의 장르 교섭을 위한 제언 중국소설의 국내 유입과 향유 양상 1. 고전소설에서 중국소설의 영향 2. 중국소설의 유입 배경 3. 16세기 중국소설의 향유 양상과 그 의미 4. 여언-소설독자층의 형성 문제 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화 : 16세기 몽유록의 생성과 전개 1. 왜 몽유록인가? 2. 16세기의 새로운 서사 환경과 몽유록의 생성 3. 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일치 4. 16세기 몽유록의 소설사적 위상 소설 주해 작업의 현실적 기반 :의 경우 1. 와 그 주변 2. 에 관한 논란과 변증 3. 성립의 정황 4. 독서열과 그 학습의 현장 5. 보론-이본과 명칭에 대하여 표기문자 전환에 따른 16~17세기 소설 미학의 변이 양상 1. 표기문자 전환을 다루는 시각 2. 16세기 고전소설의 문학사회학적 지평과 표기문자 전환의 맥락 3. 고전소설의 표기문자 전환과 그 미적 변이 양상 4. 앞으로의 과제 2부 작품의 실재와 양상 파동과 소설 인식의 추이 1. 금서와 소설 2. 16세기 벽두에 터진 파동 3. 소설 인식의 변화와 그 향방 4. 새로운 전망 의 성격과 위상 1. 독법의 전제 2. 전기소설의 전통에서 본 의 주제화 양상 3. 작자의식의 지향과 그 소설사적 분기 4. 의 소설사적 위상 필기의 새로운 국면 :· 1. 16세기 필기의 변모 2. 의 기록적 특징 4. 필기의 전통과 16세기 필기의 기록문학적 특징 이념와 서사화, 1. 의 등장 2. 16세기 소설사의 한 경향-이념의 소설화 3. 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4. 소설 문학의 지평 확장의 계기 대중화의식의 구현체, 1. 의 존재 2.`대중화의식`의 형성 배경 3. 에 내포된 `대중화의식`의 의미 을 통해 본 인물전의 한 양상 1. 비교 연구의 미시적 접근 2. 의 서술 분절 비교 3. 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4. 전의 변모 과정에서의 구전의 역할 16세기 후반 소설사 전환의 징후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