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화제도 연구총서`를 간행하며 책머리에 제1부 작가의 탄생과 제도화 식민지 조선에서 작가가 된다는 것 : 근대 미디어와 지식인, 문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헌호 1. 문제의 제한 2. 식민지 지식인의 존재양태와 미디어 3. 작가라는 이름의 사회적 주체 4. 맺으며 아동의 발견과 작가의 탄생 : 방정환의 초기 활동 연구 / 박현수 1. 논의의 초점 2. 문학에 대한 열망과 매체에의 관심 3. 천도교도로서의 활동과 소년운동에의 열의 4. 東京에서의 행적과 독서 경험 5. 남은 문제 동인지에서 신춘문예로 : 등단제도의 권력적 변환 / 박헌호 1. 시작하며 2. 초기 현상문예와 동인지 시대 3. 20년대 중반의 잡지와 프로문학 4. 신문과 신춘문예 5. 나오는 말 『개벽』의 `현상문예`와 `신경향파문학` / 최수일 1. 머리말 2. 『개벽』현상문예의 현황과 특징 3. 『개벽』문학의 지향과 ‘신경향파문학’의 탄생 4. 종합지와 ‘문학’ 그리고 ‘현상문예’ 5. 맺음말 식민지 시기『조선일보』신춘문예의 제도화 양상 연구 / 김석봉 1. 문제 제기 및 논의의 범위 2. 현상 공모와의 분화 및 신춘문예의 정착 과정 3. 핵심적 문인 재생산 구조로서의 신춘문예의 의의 4. 결론 제2부 문학 `장`의 구축과 문화제도 근대시 형성과 변역의 상관성 : 김억(金億)을 중심으로 / 심선옥 1. 머리말 2. 번역활동의 배경 3. 근대시론과 번역의식의 관계 4. 번역문체의 특징과 수용 양상 5. 맺음말 동인지『창조』와 소설이라는 글쓰기 : 재생산 제도로서의 번역 / 박현수 1. 논의의 초점 2. 독서 경험과 번역이라는 매개 3. 『창조』, 동인지, 그리고 또 하나의 번역 4. 과거시제와 3인칭 대명사가 지닌 의미와 역할 5. 맺음말 1920년대 `책광고`를 통해서 본 베스트셀러의 운명 : 미적 취향의 계열화와 문학사의 배제 / 박지영 1. 들어가는 말- 책광고 연구의 필요성 2. ‘낭만적 사랑’에의 열정과 ‘센티멘탈리즘’의 젠더화- 『사랑의 불꽃』을 중심으로 3. ‘동심주의’의 계몽성과 아동문학의 퇴조- 『사랑의 선물』을 중심으로 4. 결론- 문단권력가 장르의 위계화 근대문학의 재생산 회로와 검열 :『개벽』을 중심으로 / 최수일 1. 들어가며 2. 검열의 전체상과 의미 3. 문학 검열의 양상과 그 의미 4. 근대문학, 재생산 회로의 식민성 5. 나오며 근대시의 초기 정전화 과정 : 1920~30년대 시인선집을 중심으로 / 심선옥 1. 머리말 2. 시인선집의 편집체계와 정전화 양상 3. 시인선집의 이념적 기반 4. 맺음말- 정전 목록의 구성과 문학사적 의미 김동인 소설의 정전화 과정 : `회고(回顧)`에서 교육장(敎育場)으로의 진입까지 / 문영진 1. 정전 논의와 김동인 문학 2. 해방 전 김동인 문학의 정전화- 국가의 적극적 매개가 없는 정전화 3. 해방 후- 정전으로 소설의 교육장으로의 진입 4. 맺음말 제3부 문학이 향유, 재생산의 기틀 근대문학 재생산 제도와 방정환 : 미디어 주체와 독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현수 1. 논의의 초점 2. 『청춘』현상문예에의 투고와 당선 3. 『신청년』의 창간과 운영 4. 『어린이』의 간행과 독자 견인 5. 독자와 주체의 조우,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 과정 『개벽』유통망의 현황과 담당층 / 최수일 1. 머리말 2. 『개벽』유통망의 형성과 전개 3. 지?분사의 유형과 담당층 4. 『개벽』유통망의역할과 위상 잡지『학생계』와 문학 : 1920년대 초반 중등학교 학생들의 `교양주의`와 문학적 욕망의 본질 / 박지영 1. 서론- 잡지『학생계』의 위치 2. 잡지 『학생계』의 서지적 고찰과 의식적 지향 분석 3. 『학생계』‘현상문예란’의 성격과 의미 4. 결론-『학생계』현상문예란의 문학사적 위상 『신여성』지의 `독자투고`문을 통해서 본 `여성적 글쓰기`의 형성과정 : 만들어지는 글쓰기, 배제된 글쓰기의 욕망 / 박지영 1. 들어가는 말-『신여성』독자투고란의 중요성 2. 연구 대상의 설정-『신여성』‘독자투고’란의 양상과 ‘독자투고’의 신빙성 3. 만들어지는 글쓰기=『신여성』독자투고란에 실린 글쓰기 양상 4. 『신여성』의 독자투고란의 의미 식민지 시대 교지『이화』연구 : 지식인 여성의 자기 표상과 지식 체계의 수용 양상 / 박지영 1. 머리말 2. 교지 『이화』에 대한 실증적 고찰 3. 교지 『이화』의 정신적 기반과 ‘여성’으로서의 자기 표상 4. 교지 『이화』에 나타난 지식과 이념의 형상 5. 결론- 의의와 한계 근대문학의 향유와 창조 :『연희(延禧)』의 경우 / 박헌호 1. 들어서며 2. ‘교지’로서의 성격과 문학의 위상 3. ‘감정자연유로설(感情自然流露說)’과 질서화에의 의지 4. ‘윤리’와 ‘제도’, 기독교와 사회주의 5.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