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다시 `사람의 무늬`를 읽기 위하여 제1부 근대계몽기 민족.국민 서사의 정치적 시학 - `대한매일신보` 논설을 중심으로 1. 홍수의 세계, 노아의 방주 2. `신성한 민족`이라는 역사적 기억의 창안 3. 국민적 영웅 또는 영웅적 국민 3. `이십세기 신국민`의 창출 5. 민족.국민 서사 비판을 위하여 ""독립신문""의 `교육입국`론과 `국민` 생산 기획 1. 교육 또는 `문명세계`에 이르는 길 2. 조선교육의 현실 3.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라 4. 교육, `국민 만들기` 프로젝트 5. `학도`, 문명개화의 초석 모방과 배제, 그 이율배반의 정치심리학 - 근대계몽기 `일본(인)`이라는 타자의 표상 1. 문제설정 2. `새로운 오랑캐`또는 소중화사상이 빛은 일본상 3. 메이지 일본의 근대적 풍경과 흔들리는 시선 4. 문명론적 시선이 포착한 일본(인)의 표상 5. 적대감과 우월감의 이중변주 6. 마무리 - 이율배반의 접점에서 제2부 민족/국민의 발견에서 아나키즘으로 - 단재 사상의 향방 1. `푸르른 칼날`의 정체를 찾아서 2. 단재의 문학과 역사 - `민족/국민`발견의 시금석 3. ""꿈하늘"", `민족`을 향한 미완의 노래 4. ""용과 용의 대격전""과 허무의 수사학 5. 단재 사상의 딜레마 - 결론을 대신하여 `번역`을 타고 바다를 건넌 걸리버, `계몽의 품`에 안기다 - 걸리버여행기`의 한국적 수용에 관한 단상 1. 바다를 향하여, 문명을 향하여 2. 해상 모혐의 상상과 ""로빈슨 크루소"" 3. 바다를 건넌 ""걸리버여행기"" 번역이 몰고 온 공포와 전율 - ""월남망국사""의 번역과 `말년/망국`의 상상 1. 월남의 `망국`과 기억의 재생산 2. ""월남망국사""의 발간 의도와 문체의 특징 3. ""월남망국사""와 `망국/말년`이 몰고 온 공포 4. `망국`을 바라보는 제국의 시선 5. 에필로그 번역 또는 식민주의를 `애도`하는 방법 1. 번역과 `애도의 작업` 2. 1930년대 번역론의 수준 3. `중역`이라는 그물 4. 번역된 근대와 식민지주의 5. 번역의 윤리, 번역의 미래 종군문학이 그린 `전쟁의 얼굴` - ""보리와 병정""과 """"전선기행"" 1. `사변`의 소용돌이 2. 전쟁의 시대, 문학의 방향 3. `준비된 사건`으로서의 ""보리와 병정""번역 4. ""전선기행""에 이르는 길 5. `새로운 문학`의 모색과 ""전선기행""의 관념성 6. 마무리 표준어의 점령, 지역어의 내부식민지화 - 현기영의 `순이삼촌`을 시점으로 1. `표준어`라는 일상의 상징폭력 2. 어느 `내부식민지인`의 분열증 3. 학살의 기억, 유배당한 언어 4. `사투리들`의 적대, 이양되는 억압 5. 에필로그 - `사투리들`의 연대는 가능한가 제3부 사회진화론의 빛, 그 파장과 동아시아적 굴절 1. 해석과 `제3의 시간` 2. 시공간 개념의 변화와 인식론적 위기 3. 가토 히로유키 - 고토쿠 슈스이 - 나츠메 소세키 4. 캉유웨이(량치차오) - 천두슈 - 루쉰 5. 윤치호 - (홍명희) - 신채호 6. 그림자를 거느리는 빛 개념 또는 정치의 기만을 넘어 울트라 에고이즘으로 - 고바야시 히데오의 초기 비평 화폐 - 신의 세계, 파문당한 상상력 - `문학위기론` 바판 서설 1. `눈에 보이는 신`의 세계 2. 발자크의 `지하 작업장` 3. 상상력의 빈곤과 `문학의 위기` 4. `황금시대`, 문학의 꿈 ""죄와 벌"", 선악의 경계에 선 자의 비극 1. 범죄 - 인간의 자유와 그 한계 2. 범죄의 시공간과 심리적 계기 3. 살인의 필연성과 우연성 4. 도스토예프스키적 포인과 그의 사상 5. 양심과 자기 처벌의 문제 6. 소냐의 이름으로 - 라스꼴리니꼬프의 부활은 가능한가 7. 에필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