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론/『토지』와 한국 근대 미시문화사 /최유찬 1. 역사와 문학 2. 『토지』의 소설적 특성과 연구방법론 3. 미시문화사의 방법과 한계 1부/ 한국 근대문화와 제도의 서사화 일제강점기 교육의 양상과 서사적 구현 /김성수 1. 『토지』의 서사와 ‘교육’의 모티프 2. 『토지』와 일제강점기의 ‘교육’의 문제 3. 간도와 민족교육의 양상 4. 동화주의 정책과 식민교육의 전개 5. 일제강점기 ‘교육’ 담론의 서사적 복원 가족 문제와 모성성, 그리고 생명 /이상진 1. 역사 밖의 어머니, 서사 속의 어머니 2. 가정성(domesticity)과 모성환원론 3. 가족 지키기와 희생적 모성성 4. 가족으로부터의 일탈과 황폐화된 모성성 1) 도덕성의 결핍, 모성성의 부재 2) 정절의 훼손, 모성성의 포기 3) 여성성의 회복, 모성성의 거부 5. 가족원 되기와 매개적 모성성 6. 모성성과 생명 결혼제도의 위반과 그 의미 /조윤아 1. 결혼문화의 중요성 1) 이례적인 결혼의 의미 2) 전통적 결혼제도의 모순 2. 일반적 특성과 제도의 위반 1) 결혼 사례의 일반적 특성 2) 제도의 극단적 일탈 3. 양반의 낙혼과 민족외혼 1) 낙혼에 대한 의식의 변화 2) 민족외혼에 따른 갈등 4. 천민의 사랑과 결혼 1) 무녀의 사랑 2) 백정 가족의 결혼 5. 결혼제도의 변화와 의식의 변화 식민지 경성의 문화와 근대성의 경험 /이승윤 1. 『토지』 연구의 궤적과 공간연구 2. 서술 방식의 특징과 경성의 역할 3. 경성에서의 도시 경험과 식민지적 근대성 4. 민족자본 형성의 기대와 절망 5. 확장과 응축-경성 공간의 이중성 2부/ 인물 형상화와 한국근대사 미시사적 관점에서 본 지식인 유형 /이승하 1. 실마리 1) 『토지』는 역사소설인가 아닌가 2) 『토지』에서 지식인은 왜 중요한가 3) 지식인이란 누구인가 2. 유형별로 본 『토지』의 지식인-몇 가지 전제조건 1) 방황하는 지식인과 구시대적 지식인 2) 독립운동가와 동학 잔당 3) 점진적 개량론자와 급진적 현실론자 4) 공산(사회)주의자 5) 속물적 지식인 6) 신여성 그룹 3. 마무리 여성인물의 일과 직업 /최유희 1. 여성의 일과 직업 2. 익명적 노동-대한제국 수립에서 한일합방까지(1897~1910) 1) 최씨가의 시종, 윤씨 부인 2) 부도(婦道)의 신봉자, 함안댁 3) 가문의식과 익명노동 3. 자본의 욕망-한일합방에서 3.1운동 전까지(1911~1918) 1) 가문과 자본의 수호자, 서희 2) 탐욕의 아귀, 임이네 3) 자본인식과 인간성의 굴종 4. 전통과 근대의 착종-3.1운동에서 8.15 광복까지(1919~1945) 1) 모던 걸에서 직업혁명가까지, 신여성 2) 생존과 타락의 경계, 기생과 카페 여급 3) 정신대와 취업의 기로에서, 여학생 4) 전통과 근대, 저항과 동화 5. 미시적 프리즘과 소설 읽기 작품 구조와 인물을 통해 본 일본론 /박상민 1. 들어가며 2. 인물을 통해 본 일본론 3. 일본론의 다양한 층위 1) 1부-농민들의 반일감정과 서술자의 일본론 2) 2부-서울 지식인들과 해외의 독립운동 세력 3) 3부-국내 운동세력의 활로 모색과 서술자의 일제만행 분석 4) 4부-일본론의 새로운 계보 5) 5부-한 코스모폴리탄의 정체성 찾기 4. 일본론의 계보와 『토지』의 작품 구조 1) 조선 민중 전체의 일본론 2) 서울 지식인들의 일본론 3) 독립운동 세력의 일본론 4) 서술자의 일본론 5) 오가다 지로 일행의 일본론 6) 일본론적 서사들 5. 맺음말 텍스트의 구도와 단역인물의 의미 /김원규 1. 단역인물-부분과 전체 2. 단역인물의 기능 1) 묘사 기능 2) 평가 기능 3) 실행 기능 3. 단역인물의 의미 1) 단역인물과 담화의 층위 2) 단역인물과 비단역인물의 관계 맺기 3) 조선 거주 일본인 단역인물의 의미-식민자, 그리고 그에 맞서는 방식 4. 텍스트의 구도와 단역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