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구인모 | 소명출판 | 2008년 11월 30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20,000원

전자책 정가 12,000원

판매가 12,000원

도서소개

이 책은 이미 한국근대문학연구의 주요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은 국민국가주의 비판 담론, 탈식민주의담론에 근간하여, 1920, 30년대 근대시 형성의 기원과 한국근대시의 불우한 운명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 그동안 1920, 30년대 국민문학론에 중심적 지위를 부여해 온 기존 한국근대시연구의 관행에 대한 반성적 인식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김억, 이광수, 주요한, 최남선 등이 전개한 조선어, 조선심, 조선시의 형식에 대한 문학론의 전개 과정에 주목한다.

저자소개

저자: 구인모 구인모(具仁謨, Ku, In mo)는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석박사과정, 그리고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비교문학비교문화과정에서 수학했다. 같은 대학의 일한문화교류기금 초빙 펠로우,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연구교수를 거쳐, 지금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단의 연구교수(HK전임연구원)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문학과 근대문학』(2002), 『동아시아 비교문학의 전망』(2003), 『문학지리·한국인의 심상공간』(2005), 『‘고향’의 창조와 재발견』(2006)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목차소개

책머리에 서론 제1장 1920년대 한국문학과 전통의 발견 1. 한국 근대문학의 분기점으로서 「朝鮮文壇」의 문학론 2. 이광수의 「文學講話」(1924) 3. 주요한의 「노래를 지으시려는 이에게」(1924) 4. 김억의 「作詩法」(1925) 5. 전통의 고안, 조선시가의 과제 제2장 국민문학론의 전개와 시조부흥론 1. 부침(浮沈)하는「朝鮮文壇」의 문학론과 최남선 2. 국민문학론의 논리와 근거 3. 시조와 국민문학론의 이상 4. 국민문학으로서 시조, 민족 이데올로기 5. 최남선과 국민문학론의 위상 제3장 1920년대 번역어 ‘文化’의 등장과 ‘朝鮮’의 발견 1. 번역어 ‘文化’의 등장과 그 의의 2. 서구문명개조론과 민족성개조론의 사정(射程) 3. ‘民衆’과 ‘民族’의 간격, 민중예술론의 등장 4. ‘조선문화의 기본조사’와 민요의 발견 5. 문화적 민족주의와 국민문학론의 불안한 동서(同棲) 제4장 조선민요의 발견, 일본 오리엔탈리즘의 한 단면 1. 조선총독부와 일본인의 조선인 민족성론, 조선 민요론 2. 이치야마 모리오[市山盛雄]와 「眞人」 동인의 「朝鮮民謠の硏究」(1927) 3. 민족성 탐구의 방법으로서의 민요 4. 오리엔탈리즘의 환상, 만요[萬葉] 세계의 발견 5. 오리엔탈리즘과의 길항(拮抗)과 제휴 제5장 「朝鮮民謠の硏究」와 그 이후, 국민문학론의 전도(顚倒) 1. 김억의 격조시형론과 국민문학론의 실상 2. 김동환과 애국문학의 논리 3. 홍사용의 ‘메나리’ 발견과 그 이후 4. 민요론의 본격적인 등장과 신민요론 5. 문학개념의 전도와 혼란, 자유시 이상의 좌절 제6장 메이지·다이쇼기 일본의 구어자유시론과 조선문학 1. 메이지기 일본의 고쿠분가쿠[國文學]와 민요연구 2. 기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의 「思ひ出」(1911)와 민요론 3. 노구치 우죠[野口雨情]의 민요론과 그 자장(磁場) 4. 가와지 류코[川路柳虹]와 구어자유시론의 전말 5. 시라토리 세이고[白鳥省吾]와 민중시론의 구어자유시론 6. 향토의 냄새[鄕土の?ひ], 흙의 냄새[土の?ひ] 제7장 국민문학론의 문학적 실천과 그 수준 1. 국민적 시가의 과제와 그 실천 2. 김억의 「봄이 오면」으로부터 「岸曙詩集」까지 3. 주요한의 「아름다운 새벽」으로부터 「봉사꼿」까지 4. 이광수의 「三人作詩歌集」과 그 외연 5. 국민문학론의 외연(外緣), 조선으로 귀향하는 다른 탕자들 6. 국민문학론의 문학적 성취와 한계 결론 참고문헌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