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
1 한국 속에 세계, 180개국 139.5만 명이 살다
2 다문화가족은 누구인가?
PART 1 결혼이민자
제 1 장 국제결혼의 현대사
1 미군 기지촌 여성은 국제결혼의 시발점
2 일본으로 시집간 한국의 또순이, 기무치 탄생시켜
3 1980년대 이후 국제결혼
제 2 장 중개업체를 통한 국제결혼
1 한국의 집단맞선은 인신매매인가?
2 캄보디아, 여성의 인권과 국익 앞에서 갈등
3 캄보디아 국제결혼 절차
4 베트남, 몇 시간 만에 평생 반려자 선택
5 속성 집단맞선은 여성도 남성도 심각한 피해자
제 3 장 가족통합이 더 시급하다
1 국제결혼 부부 혼인·이혼 증가
2 부부 연령차, 캄보디아 18.6세 베트남 17.2세
3 여성 이민자 60%가 월평균 가구소득 200만 원 이하
4 가족 장애율, 평균보다 4배 높아
5 울고 있는 사람들
제 4 장 코리언 드림, 그 꿈을 위하여
1 결혼이민자, 국경을 넘는 순간 한국인의 가족으로
3 희망과 용기를 주는 다문화가족센터 종사자들
제 5 장 다문화자녀
1 다문화자녀 15만 1천 명이 살고 있다
2 이민자 여성, 출산자녀는 0.9명
3 육아시설 이용은 한국 평균과 비슷
4 자녀교육, 사교육비가 가장 힘들어
5 청소년과 아동의 1/3이 다문화자녀와 사귀기 싫다
6 다문화자녀, 한국어 구사 능력이 부족하다
7 중도입국 자녀가 급증하고 있다
8 이중언어는 엄마 뱃속에서부터 가르쳐야
9 이중언어, 가족이 싫어한다
10 ‘ 다르다’는‘ 차별’이 아니고‘ 차이’다
11 최초로 공립형 다문화 대안학교 탄생
12 전교생의 45.8%가 다문화자녀
제 6 장 문화차이
1 이민자 국가에 대한 문화 이해
2 한국문화에 대한 낯설음
PART 2 외국인 근로자·해외동포
1 외국인 고용허가제로 체불임금과 퇴직금 걱정 없애
2 외국인 근로자 인력 공급 턱 없이 모자라
3 농어촌도 외국인 근로자 없이 일 못 한다
4 외국인 근로자의 차별과 임금 실태
5 외국인 집단거주지는 새로운 문화권
6 다문화 1번지 안산시 원곡동, 65개국의 문화의 힘
7 인권·복지의 사각지대에 노출된 불법체류자와 그 자녀
8 중국과 CIS지역 동포를 대상으로 방문취업제 도입
9 외국인 근로자 코리안 드림
PART 3 유학생
1 174개국에서 9만 명의 외국인 유학생 체류
2 유학기간 길수록 만족도 떨어져
3 10명 중 1명은 가짜 유학생
4 ‘ 왕따’ 또는‘ 지나친 호의’
5 정부와 대학에서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
6 생의 최고의 선택, 한국 유학
PART 4 북한 이탈주민
1 북한 이탈주민 기본 현황
2 하나원과 하나센터에서 사회적응교육
3 유아와 청소년의 초기적응과 지원
4 통일 한국에서 주도적 역할 기대
5 정착금과 각종 장려금 지원
6 훈련 수당 및 고용 장려금으로 취업 지원
7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업
8 가족관계등록부, 질환 치료 등 생활지원
9 북한 이탈주민의 생활실태
10 북한 이탈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11 죽음을 딛고 일어선 희망
PART 5 다문화정책
제 1 장 한국의 다문화정책
1 다문화가족의 생애주기별 지원
2 다문화가족센터에서 한국생활 정착 지원
3 한국 입국 전에 한국 문화이해 교육
4 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지원
5 한국어 교재 개발과 문화 지원
6 다문화 자녀의 언어교육 지원
7 학교를 통한 다문화 자녀의 건강한 성장 지원
8 기술 및 일반 대안학교 개교
9 중도입국 자녀교육 지원 확대
10 사회통합 정책으로 더불어 살기
11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외국인 행정
12 외국인에게도 복지급여, 불법체류자에도 의료지원
13 결혼이민자를 위한 영농교육 실시
14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생활편익 제공
15 사회적기업 육성으로 경제적 활동 지원
16 지방자치단체는 ‘외국인 주민지원 표준조례’ 제정
17 외국인력지원센터를 통해 10개 언어로 상담
18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편의 제공
19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 실시
20 북한 이탈주민의 효율적 정착 지원
제 2 장 선진국의 다문화정책
1 미국의 다문화정책
2 캐나다의 다문화정책
3 호주의 다문화정책
4 독일의 다문화정책
5 프랑스의 k147.401 다문화정책
6 일본의 다문화정책
PART 6 개방성과 수용성, 관용이 필요하다
제 1 장 다문화가족의 편익과 비용
1 출산과 노동력, 다양성에 기여
2 사회비용 부담과 갈등구조로 사회통합 저해
3 선진국 다문화사회를 통해서 보는 편익과 비용
제 2 장 사회통합이 필요하다
1 사회통합이란 무엇인가?
2 사회통합의 기본은 기회균등이다
3 사회통합 모형은 자국의 이익에 따라 적용한다
4 반(反)다문화 현상이 표출되고 있다
PART 7 역사와 문화에서 배우는 다문화
제 1 장 해외로 나간 동포들의 삶
1 굶주림과 일제 탄압 피해 간도와 만주로, 조선족 형성
2 강제이주의 피해자, 러시아 고려인
3 일제 강제연행으로 재일교포 형성
4 사탕수수밭 한인과 사진 신부, 미국 이민 효시
5 멕시코 애니깽 농장의 노예같은 삶
6 한인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의류업계 50% 차지
7 독일로 간 광부와 간호사의 송금, 한국경제 초석
8 호주의 한인은 호주정부의 혜택에 감사
제 2 장 우리는 전통적으로 다문화민족
1 여성은 다문화의 촉매
2 역사와 과학으로 보는 다문화
3 전란과 재난을 피해 온 외국인, 적극 수용
4 역사에 나오는 큰 벼슬한 귀화인들
5 하멜 표류기, 서양에 조선을 알리다
6 성씨(姓氏)의 절반은 귀화 성씨
7 DNA 분석 결과, 한국인은 다민족
정책제언 미래사회의 해법
제 1 장 한국의 오바마를 키우기 프로젝트
1 일반 다문화자녀
2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