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한자들의 상형은 한글을 분해해서 철자(綴字)로 보여 주듯이 한자를 부수(部首)로 분해해서 상형을 설명하였으며 그 훈(訓)과 사용방법은 국어사전 등에서 의미(?) 있는 한자 숙어를 대략 만(萬)여 개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급수별 한자” 각급에서 해당한자로 만들어지고 남은 한자숙어를 “상급 3500자”로 설명함으로써 대신하였다. 선발된 한자숙어는 출처(出處)가 다양하여 사서삼경(四書三經)을 망라하였고 또 우리의 삼국유사와 “제사와 축문” 새로운 동몽선습(童蒙先習) 댓구 명심보감(對句 明心寶鑑) 지나(支那)의 사기(史記) 장자(莊子) 등이 있다. 그러므로 많은 이들이 보다 쉽게 한자(漢字)를 익히고 보다 많은 어휘(語彙)들을 저도 모르는 사이에 익히게 되어 그 삶이 여러 가지로 여유(餘裕)로워져서 윤택해지길 고대(苦待)하고 아울러 진작에 공부하지 못했다는 때늦은 후회도 없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