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I 부 글로컬 한국 신학을 지향하며 Chapter 1 토착화 신학의 모델들에 대한 고찰 - 한국문화와 복음의 불이적 관계 Ⅰ. 파종모델 Ⅱ. 발효모델 Ⅲ. 접목모델 Ⅳ. 세 모델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토착화의 전제 2. 토착화의 주체 3. 일원론과 이원론적 모델을 넘어서 Ⅴ. 나오는 말 Chapter 2 풍류신학과 언행일치의 신학 Ⅰ. 풍류신학 1. 풍류신학이란? 2. 풍류기독론의 토대 - 우주적 그리스도 3. 풍류객 예수 Ⅱ. 언행일치의 신학 1. 서양의 종교성과 복음 해석 1) 서양의 종교성 2) 서양적 복음 해석^55 2. 동양의 종교성과 복음 해석 1) 동양의 종교성 2) 동양적 복음 해석 Ⅲ. 풍류신학과 언행일치신학 1. 복음과 서구신학-탈서구화 2. 복음과 한국 종교/문화의 관계성 3. 본질과 상황 Chapter 3 동방정교회 신학과 한국 신학 - 불이적 신학을 향하여 Ⅰ. 동방정교회의 신학 1. 테오시스 2. 절대 알려질 수 없는 하나님 3. 본질과 에너지 4. 본질과 인격 Ⅱ. 동방정교회 신학과 한국 신학 Ⅲ. 나오는 말 Chapter 4 맥페이그의 하나님 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불이적 범재신론을 향하여 - Ⅰ. 은유와 모델: 몸과 어머니, 연인, 친구 Ⅱ. 인격적 메타포에서 개념적 메타포로 Ⅲ. 일원론적 범재신론에서 불이론적 범재신론으로 Ⅳ. 나오는 말 Ⅱ부 글로컬 아시아 신학을 지향하며 Chapter 5 아시아 문화와 복음 - M. M. 토마스, 송천성, 피에리스를 중심으로 Ⅰ. 토마스의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 Ⅱ. 송천성의 전위신학 Ⅲ. 피에리스의 아시아 해방신학 Ⅳ. 21세기 아시아 신학을 향하여 1. 아시아 에토스 2. 복음과 서구신학 3. 기독교(복음)와 아시아 종교문화의 관계성 Chapter 6 레이몬 파니카와 안병무의 기독론적 관점: 아시아 기독론을 향하여 Ⅰ. 파니카의 기독론적 관점 1. 삼위일체: 유일한 중보자로서 그리스도 2. 그리스도 개념: 우주신인론적 신비의 상징 1) 우주신인론 2) 상징 3) 우주신인론적 상징으로서 그리스도 3. 그리스도와 예수: 역사적 예수에서 부활의 예수로 4. 그리스도와 이스바라: 종족적 그리스도에서 보편적 그리스도로 Ⅱ. 안병무의 기독론적 관점 1. 민중으로서의 예수 2. 집단적 존재로서의 예수 3. 메시아로서 민중 Ⅲ. 파니카와 안병무 기독론의 아시아 신학적 평가: 피에리스 입장에서 Ⅳ. 아시아 기독론을 향하여: 개체(개인)적 존재로서 예수 이해를 넘어서 Chapter 7 아시아적으로 전통적 죄론 넘어서기 - 영화 {밀양}을 중심으로 Ⅰ. 영화 {밀양} Ⅱ. 전통적 기독교의 죄와 용서의 개념 Ⅲ. 죄와 한 Ⅳ. 온전한 화해를 향하여 Chapter 8 탈식민지론과 아시아 신학 - 피에리스와 호미 바바를 중심으로 Ⅰ. 피에리스의 아시아 신학 Ⅱ. 문제 없는 주체: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Ⅲ. 이중세례와 오리엔탈리즘 Ⅳ. 흔들리는 주체: 호미 바바의 탈식민지론 Ⅴ. 아시아 신학과 혼종성 Ⅵ. 나오는 말 Ⅲ부 글로컬 에큐메니즘을 지향하며 Chapter 9 WCC의 에큐메니즘 Ⅰ. 보편교회와 지역교회의 조화 Ⅱ. 평화와 정의의 조화 Ⅲ. 자연과 인간의 조화 Ⅳ. 에큐메니컬 운동 - 조화의 운동 Ⅴ. 나오는 말 Chapter 10 존 웨슬리와 에큐메니즘 - 그리스도교 다원주의를 향하여 Ⅰ. WCC의 에큐메니즘에 대한 한국교회 보수진영의 비판 - 종교다원주의적 측면을 중심으로 - Ⅱ. WCC 에큐메니컬 운동의 비종교다원주의적 선언들: 그리스도(교) 중심성 Ⅲ. 존 웨슬리의 에큐메니즘: 종교와 의견의 분리 Ⅳ. 그리스도교 다원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