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테마수필 몸으로 쓰기
소설가와 수필가의 수필, 그 담론의 차이
수필의 상징과 은유
테마수필 몸으로 쓰기
이영도의 수필에 나타난 세 가지 미적 이미지
개별적 존재의 개성적 관계 회로
- 운정 윤재천의 『도반道伴』에서
제2부 인간, 극복해야 할 그 무엇
다원적 층위의 수필 공학적 구조
- 눈재 한상렬 『미로찾기 4막 10장』 속으로
인간, 극복해야 할 그 무엇
- 맹난자 수필선 『만목滿目의 가을』에서
자연적 생명체에 편재된 초월의지
- 박양근의 『문자도』 속으로
수필의 무늬로 나타낸 그리움의 이미지
- 최원현의 수필선집 『그리움 열기』 소고
수필, 그 소명의식에서 비롯된 실존적 풍요
- 오정순의 『울타리 안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는가』
제3부 비움과 채움, 그 존재의 거울
수필의 탈주로에서 빚은 시공의 파문
- 박양근 에세이 『길을 줍다』에 들다
시간의 지층에서 추출한 존재방식
- 조재은 『새롭고 가장 오래된 주제』 속의 언어 미학
비움과 채움, 그 존재의 거울
- 엄현옥의 네 번째 작품집 『질주』에 대하여
지성의 악기 그리고 낭만적 감성의 현絃
- 정희승의 수필세계
약자에게 보내는 갈채
- 이명진의 「가까이에서 멀어지는 이웃」외 4편에서
제4부 내적 해방감을 획득하는 文
조각예술의 환원적 링크와 철학적 사유
- 조재은 「몸의 담론자, 안토니 곰리」
존재의 피할 수 없는 불완전성과의 화해
- 오차숙의 수필 「음음음음 음음음」
내적 해방감을 획득하는 文
- 정여송의 「千字文」
색깔 그 너머, 어머니의 이데아
- 김정화의 「얼음재」
수필의 탈코드화를 통한 가족애의 코드화
- 한경화의 「& · & · &」
제5부 사유로 빚은 수필의 서정성
사유와 사색의 수필 - 되기
- [수필시대] 20호
수필의 언어로 길어 올린 욕망의 편린들
- [수필세계] 23호
수필, 그 실존의 붓질과 기호
- [수필세계] 39호
설명하는 수필과 보여주는 수필
- [에세이포레] 63호
사유로 빚은 수필의 서정성
- [현대수필] 7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