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신비평의 이해와 새로운 모색 1. 신비평의 세례와 그 비판 2. 신비평의 이론적 지평 3. 신비평의 한국적 적용과 비판 4. 신비평과 교육과정 5. 신비평의 새로운 가능성을 위하여 2장 문학교육의 인류학적 탐색 1. 문학교육에서 민족지 읽기의 가능성 2. 소설 ?탁류?와 민족지 요소 3. ?탁류?의 일상을 통한 주제의 이해 4. 문학교육의 문화적 이해 3장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방향과 실제 1. 구성주의 인식의 방향 2.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기본 원리 3. 구성주의 문학 수업의 방법 4. 구성주의의 현실화를 위하여 1장 시의 소통 구조와 학습자의 주체성 1. 시교육의 현실과 새로운 모색 2. 시적 주체와 대화의 의미 3. 시적 주체의 다양한 층위와 학습자의 위치 4. 담론의 내재적 발화와 학습자의 주체적 수용 5. 시교육에서 대화적 읽기의 효과 2장 대중매체의 교육적 수용과 은유 교육 1. 대중매체의 교육적 의미 2. 대중매체의 시교육적 활용 3. 대중매체를 통한 단계별 은유 교육 4. 시교육 학습전략의 모색 3장 최남선 시와 저널리즘의 문학교육적 의미 1. 서론 2. 근대 초기 저널리즘의 근대성과 [소년]지의 교육성 3. 최남선 시의 교육적 의미 4. 결론 4장 문학교육과 민족적 주체의 재인식 1. 문학교육의 이념과 민족적 주체성 2. 문학교육의 현실과 민족적 주체 3. 민족적 주체에 대한 재인식 4. 결론 5장 북한 서정시 교육의 현실적 의미 1. 북한 시의 교육적 의미 2. 서정을 통한 민족적 친화성의 고취 3. 생활체험의 서정적 순화 4. 서정적 활력과 생산력의 제고 5. 북한서정시의 문예 교양적 의미와 한계 부록1 임용고시 문학 문제에 대한 해석과 풀이 부록2 문학교육 및 문화비평 용어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