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노후는 배움의 실천” 노년은 진정한 제2인생의 출발이며 희망이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현역에서 은퇴 후에는 힘겨웠던 삶을 내려놓고 쉬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행복한 노후생활은 배움과 실천이 전제조건이 되고 있다. 끊임없이 배우고, 적극적으로 활동할 때 이루고자 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현재 주어진 삶에서 어떻게 또 다른 인생을 준비하느냐는 고령자의 노후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실제 인생 50년 시대에서 여생을 살았던 노인과 인생 80년 나아가 100년 시대에서 삶의 후반을 평생 현역으로 살아야 될 노인들의 삶은 본질적으로 다르게 마련이다. 과거에 노인이란 경로의 형태로 대우받는 한편, '사람'으로서는 사회적 가치가 희박한 은퇴자, 비생산적 존재, 모든 면에 걸쳐 피 보호적 입장에 서는 마이너스 가치 소유자로서의 선입견과 이미지가 강했다. 노인 스스로도 암묵적으로 그러한 인식을 수용해 스스로를 위치 지웠고, 타인들도 그러한 생각을 지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수명의 연장과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는 시대를 맞이하여 지금까지 내려오는 관습적인 노인관의 기계적 답습만으로는 장기화되는 고령기를 맞이하게 된 고령자 자신이 “사람으로서 바람직한 생활의 실현”을 하기 힘들거니와, 고령자 층이 다수를 이루게 된 사회 전체의 발전적 모습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마이너스적인 노인 상을 탈피하며 '고령자', '인생에 있어서의 고령기'에서는 인간으로서 의의와 가치를 개인적ㆍ사회적으로 다시 물어 새로운 가치관, 인생관, 문화관의 전환과 창출을 도모하고, 이를 통한 새로운 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에서는 무엇보다 고령자를 사회생활에서 은퇴한 혹은 은퇴하고 있는 존재로서 인식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잘못된 것이며, 요양보호 대상인 고령자를 포함하여 그들은 어디까지나 사회의 현역이며 주권자인 시민이고, 또한 다세대와 함께 사는 생활자로서 새로운 복지문화 창조의 주체가 되는 존재라는 점을 특히 강조하려고 한다. “안락여생(安樂餘生) 그만두겠느냐 아니면 인간을 그만두겠느냐” 고령자가 인간의 존재를 위해서는 안락여생이 아닌 "평생 현역"을 실천해 나가야 하며, 평생 현역이야말로 인생의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 된다는 것을 강조한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올해 이명박 대통령은 “노인들이 평생학습하며 일하는 사회를 만들어야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 급작스럽게 다가온 고령화 사회를 준비하며 노년층과 고령자를 위한 살기 좋은 다양한 복지사회 정책이 점차적으로 개선, 추진되고 있다. 이와 함께 고령자 스스로 그동안 인생의 풍부한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 하여 무엇이든 이루려는 의욕과 패기의 정신이 더욱 요구된다. 주어진 생활의 목표와 자기실현의 의지를 지니고 보람된 노후를 보낸다면 아름다운 또 다른 인생의 행복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인생의 '완성기를 사는 사람'으로 사회생활의 현역으로서 다른 세대와 더불어 살아가는 새롭고 바람직한 문화의 형성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사람의 평균수명이 점차 길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정년 후에 20년 이상을 더 살아야한다면 그 생은 여생이 아니라 당당한 제2의 인생이다. 저자는 고령기의 적극적인 측면인 인생의 숙달자, 완성기를 사는 사람이라는 점을 중시하며, 주권자인 시민으로서, 다른 세대와 더불어 사는 생활자로서 고령자의 새롭고 바람직한 문화 형성을 제안한다. 고령자를 둘러싼 과제 중에서 생활문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