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를 성찰해야 할 시간
적어도 젊은 세대에게는 ‘연애’가 가장 많이, 그리고 진지하게 이야기되는 화제다. 연인도, 솔로도, 썸남썸녀도 누구나 연애를 의식하며, 연애를 잘하기 위해 고민한다. 물론 예전부터 연애는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였지만, 지금처럼 사회적 압박이 될 만큼 의미 부여가 된 적은 없었다. 이러한 이상異狀 열기는 분명 2000년대 이후부터 심해진 면이 있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현재 유통되는 연애담론의 논리 구조상 공통점이다. 그것들은 하나같이 ‘누구나 연애를 원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이렇게 연애를 당연시하는 풍조를 ‘연애지상주의’라 부른다면, 그 ‘주의主義’ 곧 이데올로기가 양산해내는 특유의 현상, 또는 폭력적인 사태들이 있을 법하다. 그러나 그러한 것들은 한국사회에서 지금껏 거의 성찰되지 않고 그러려니 지나쳐왔다.
이 책의 필자 다섯 명은 우리 시대의 다양한 연애 풍경들을 짚어보면서, 관계의 미로 속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연애를 성찰해본다. 가히 ‘연애담론의 홍수’라고 할 만한 시대, 연애는 갈망되는 한편 강박되고 있다. 이러한 연애담론의 부상에는 어떤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자리하고 있을까? 그리고 이러한 조건에서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 걸까? 이 책은 오늘날 단순한 감정 이상이 되어버린 ‘연애’라는 관계의 형식을 세심하게 들여다본다. 연애지상주의가 만연하게 된 사회적 상황을 분석하며 어떻게 연애해야 할지 궁구하는가 하면(정지민), ‘썸’이나 ‘섹드립’ 현상의 내면을 살펴보며 사랑의 정체를 가늠해보기도 한다(임세화). 또 “사랑을 재발명”하고 있는 ‘오타쿠’들의 사랑에 주목해 새로운 차원의 연애가 가능한지 모색한다(신현아). 이들은 모두 오늘날 생생한 연애의 현장을 사유의 출발점으로 삼아 논의를 펼쳐나간다. 다른 한편으로 과거의 사랑들을 소환해 현재를 더욱 깊이 의미화하기도 한다. 1960, 70년대의 잡지 텍스트를 중심으로 사랑의 양상과 그 장소들이 어떤 변화를 거쳐왔는지 살피고(김만석), 식민지기 주류적 사랑의 대안이었던 ‘붉은 연애’ 개념을 전용해 오늘날 한국사회 소수자들의 연애를 옹호한다(허민).
글 한편 한편이 연애의 재발명
정지민의 글은 한국사회 연애담론의 전반적인 스케치로서 손색이 없다.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연애담론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할 때 이 글이 많은 참조가 될 것이다. 정지민은 2000년대 이후 연애담론이 폭증한 현상을 통계 수치와 유행어 양면을 통해 제시하고, 이를 ‘자기계발적 연애담론’과 ‘세대론적 연애담론’ 두 축으로 분류한다. 현재 유통되는 대부분의 연애담론은 이 두 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정지민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외국의 석학들을 인용하며 이 시대 연애의 문제적 특징과 그 해법을 모색한다. 불안정하기만 한 ‘유동성’의 세계에서 ‘소비자적 합리성’에 사로잡힌 계산적인 인간은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
임세화는 2007년 소설로, 2013년 문학평론으로 등단한 작가답게 산문의 아름다운 한 절경을 보여준다. 그의 문제의식은 ‘사랑-결혼-성’이라는 근대近代의 단단한 매듭으로부터 출발한다. 오늘날의 ‘섹드립’은 “사랑에서 성을 분리해내”는 흐름으로서, 필자는 예능 프로그램 〈마녀사냥〉을 통해 ‘섹드립’ 현상을 섬세하게 해체/분석한다. 그리고 역으로, 그렇게 성에서 분리된 사랑이 무엇일지 미셸 우엘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과 김연수의 《세계의 끝 여자친구》라는 소설을 통해 찾아나선다.
임세화가 사랑에 관해 다소 정통적인 재발명을 암시한다면, 신현아는 전혀 새롭게 사랑을 재발명하는 길을 이야기한다. 바로 ‘오타쿠’의 사랑이다. 신현아는 “지금까지 사랑은 인간의 문제였다”고 선언/비판하며, 인간과 재생산의 굴레를 넘어서는 사랑의 방식을 제시한다. 3차원적 현실이 아닌 4차원적 리얼을 지향하는 오타쿠들의 세계에선 어떤 물건 혹은 신체의 토막마저 사랑의 대상이 된다. 신현아는 이 기이한 사랑의 논리를 매우 설득력 있게 제시하며, 가장 미래적인 사랑을 그려낸다. 이 글을 읽고 나면 오타쿠를 더이상 변태가 아닌 사랑의 프론티어로 다시금 보게 될 것이다.
김만석은 연구적 가치가 돋보이는 글을 이 책에 수록했다. 글의 골간이 되는 ‘대지’와 ‘바다’라는 개념은 기시감이 있지만, 그가 원용하는 텍스트들은 문화사 연구의 재료를 뚜렷이 확장시켰다고 평가할 만하다. 영화와 드라마, 노래의 텍스트를 과감히 끌어오는 것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이제껏 학계에서 연구된 적이 없던 잡지 《사랑》을 책 곳곳에 펼쳐 보인다. 이를 통해 1960, 70년대, 즉 개인이 가장 억압되었다고 여겨지던 시기의 사랑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 수 있는 한편, 그것이 오늘날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어 영향을 미쳤는지 가늠해볼 수 있다.
허민의 글은 ‘소수자의 사랑’이라는 익숙한 주제를 낯설게 보게끔 환기해준다. 바로 러시아의 여성운동가 알렉산드라 콜론타이(1872~1952)의 ‘붉은 연애’라는 개념을 통해서다. 붉은 연애는 가부장적 주류 연애관에 대항하여 식민지기에 급속히 수용된 사상이다. 허민은 이 급진적인 여성-계급 해방론을 오늘날 다시 불러와 성소수자와 이주노동자, 장애인의 사랑할 권리, 성적 권리를 옹호한다.
젊은 인문학자들의 뉴웨이브
이 책은 본래 인문학협동조합이 2013년 기획한 ‘연애 in 문학’ 강의 시리즈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강연은 일상의 문제를 인문학의 눈으로 바라본다는 면에서 주목을 받았다. 사실 인문학은 사람의 삶에서 시작되었건만, 점차 전문화되면서 보통사람들과는 관계없는 것이 되어버렸다. 그것이 ‘인문학 위기’의 진정한 진원지일 것이다. ‘연애인문학’ 강연은 으레 ‘인문학적’ 주제로 여겨지던 낡은 유산에서 벗어나, ‘삶을 성찰한다’는 인문학 본연의 정신을 회복하려는 시도였다.
필진은 다섯 중 넷이 1980년대 출생으로, 젊은 인문학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만큼 연애에 대한 신선하고 재치 있는 이야기가 빼곡하다. 사실 어떤 것에 대한 관심만큼 그 대상을 잘 보이게 하는 것은 없는 법이다. 필자들 역시 ‘연애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한 ‘연애의 시대’에 속한 세대인 만큼, 주제에 대한 강렬한 관심이 글을 이끌어나가는 큰 동력이다. 글 한편 한편이 연애의 새로운 흐름을 포착해내고 이를 독특한 관점으로 분석해 들어간다.
2007년 창비신인소설상과 201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 수상자인 임세화, 신진 연애 칼럼니스트의 대표 주자 정지민, 아카데미 안팎에서 젊은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는 신현아와 허민, 200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당선자로서 깊고 진지한 통찰을 보여주는 김만석 등 쟁쟁한 실력의 필자들이 오늘날의 연애에 대해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