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흔들리는 사이로 언뜻 보이는 푸른빛
서문 문학의 가난을 생각하며―허우 샤오시엔과 안국동 길의 추억으로부터
1부 / 과거를 일깨우는 소설의 힘
과거를 일깨우는 소설의 힘―황석영, 김원우
현실의 귀환, 그리고―김사과 소설을 중심으로
소설의 정치성, 몇 가지 풍경들―김연수, 권여선, 공선옥
세상의 고통과 대면하는 소설의 자리―김애란, 조해진, 공선옥
"대기실"에서 본 세상―역사의 시간과 함께 머무는 문학의자리: 황석영, 복거일
"다른 세상"에 대한 물음―"창비적 독법"과 리얼리즘론
"이념의 시대"로부터 "2000년대 소설"까지―1988년 이후의 한국소설
종언의 폐허에서 문학을 사랑하다―신형철 평론집 『몰락의 에티카』
"밤의 시간"에 개시되는 문학을 위하여―권희철 평론집 『당신의 얼굴이 되어라』
2부 / 세계를 긍정하는 고독의 속도
세계를 긍정하는 고독의 속도―윤성희 소설에 대하여
비인간의 세상, 끝나지 않은 기다림―권여선의 소설에 기대어
시대의 빈곤을 응시하는 가난한 언어―황정은 소설에 대하여
이야기와 여백, 다시 태어나는 소설―이기호 소설에 대하여
확실성의 붕괴, "놀라운 회의론자들"의 세상―이승우 소설집 『신중한 사람』
느릅나무 책상에서 태어나다―조해진 소설집 『목요일에 만나요』
세상에 대한 묵묵한 응시의 시간과 "성장"―김금희 소설집 『센티멘털도 하루 이틀』
피에타, 그 영원한 귀환―신경숙 장편소설 『엄마를 부탁해』
소설의 조율과 승경의 발견―구효서 소설집 『저녁이 아름다운 집』
운명의 형식, 자화상으로서의 글쓰기―함정임 장편소설 『내 남자의 책』
"그리움"이라는 생의 송가―박완서 소설집 『그리움을 위하여』
역사의 공백과 공허를 가로지르는 진리의 정치학―이청준 장편소설 『춤추는 사제』
3부 / 한 번도 말해지지 않은 고독을 위하여
한 번도 말해지지 않은 고독을 위하여―배수아, 정미경, 김주영, 이병천, 김진규
우연의 마주침, 그리고 이야기―윤성희 장편소설 『구경꾼들』
타자는 어디에 있는가―전성태 소설집 『늑대』
우리에게는 누이가 있다―고종석 장편소설 『해피 패밀리』
당신은 들을 수 있는가―공선옥 장편소설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그들만의 고유명을 위하여―박솔뫼, 「그럼 무얼 부르지」
걷고 또 걸으며, "하나 그리고 둘"의 세계―조경란 소설집 『일요일의 철학』
신뢰할 만한 어둠들―정미경 소설집 『프랑스식 세탁소』
고해의 자리―권여선 장편소설 『레가토』
진정성, 그리고 청춘의 호명―신경숙 장편소설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기억의 육체―김소진, 「자전거 도둑」
실패하는 아버지의 운명―김원일 장편소설 『아들의 아버지』
인간 조건의 원형적 성찰―김훈 장편소설 『남한산성』
4부 / 노래는 저 너머에 있다
어떤 작가 연보의 감동―「몰개월의 새」가 숨기고 있던 시간
어떤 기억의 방식―한강 장편소설 『소년이 온다』가 우리에게 묻는 것
인간 열망의 한없는 연대기―『밤은 노래한다』가 묻는 것
자기의 이름으로 살 수 없었던 사람들―루이 말과 전성태
단순성의 힘―지금 이곳의 로제타 이야기를 기다리며
나의 80년대, 그리고 역사의 간지―[바더 마인호프]를 보고
나를 찍는 나―양영희 감독의 [가족의 나라]를 보고
밀양 할매들의 행복― 박배일 감독의 [밀양전]을 보고
성스러움의 존재 방식―빔 벤더스와 오즈 야스지로의 도쿄
그래도 등대가 필요한 이유―홍상수와 함께한 시간
노래는 저 너머에 있다―홍상수 감독의 [우리 선희]를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