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여지도

박점규 | 알마 | 2015년 05월 01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6,800원

전자책 정가 10,080원

판매가 10,080원

도서소개

숫자와 구호 뒤에 존재하는, 살아 숨 쉬는 노동의 맨얼굴
1997년 구제금융 사태 이후 한국의 노동지도는 크게 달라졌다.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해고자들이 낙엽처럼 쓸려 나갔다. 그러나 기업들은 외환위기를 넘기고 사정이 나아져도 고용을 전과 같이 늘리지 않았다. 남은 노동자들의 일자리도 안전하지 않다.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는 ‘앞으로 다가올 위기에 대비’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법원은 해석했다. 이제 노동자는 아직 닥치지 않은 위기 앞에서도 해고될 수 있다. 지난 15년간 진행된 ‘노동 유연화’의 실상이다.
사람을 ‘쉽게 쓰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사회, 좋은 일자리를 얻기 힘들 뿐 아니라 나쁜 일자리마저 ‘갑질’ 앞에 무릎을 꿇고 지켜야 하는 사회, 이것이 한국의 평범한 일상이다. 경쟁과 도태에 익숙해진 한국 사회 구성원들은 삶을 옥죄는 막연한 불안에 일상적으로 영혼을 잠식당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 사회는 이런 곪은 상처를 표피적으로 관리하려고만 해왔을 뿐, 정작 당사자 처지에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면서 근본적인 해법을 찾는 일은 도외시해왔다. 환부를 직시하고 정밀하게 진단해야 가장 유효한 치료법을 찾을 수 있다. 다시 현장으로 돌아가 문제를 살피고, 그곳에서 답을 찾아야 할 때다. 정책과 통계치, 구호와 숫자 뒤에서 살아 숨 쉬는 사람들의 얼굴을 마주할 때, 비로소 사회문제는 삶의 문제로 바로 설 수 있다. 《노동여지도》는 바로 그런 얼굴들, 오늘 이 땅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맨얼굴을 찾아나섰다.

당신이 사는 도시의 노동은 안녕하십니까?
《노동여지도》는 21세기 한국 사회의 실제를 보여주는 한 편의 르포르타주이자 역사서다. 20여 년을 현장에서 노동자와 함께해온 저자가 2014년 3월 ‘삼성의 도시’ 수원에서 시작해 2015년 4월 ‘책의 도시’ 파주까지, 1년 2개월 동안 전국 28개 지역을 발로 뛰어 ‘오늘 이 땅의 노동여지도’를 그려냈다.
모아 펼친 풍경은 신산하다. ‘1800만 노동자들과 그 가족, 서민들에게는 일상이 세월호의 선실과 다를 바 없’었다(송경동 시인, 추천사 중). ‘사람장사’가 기승을 부리는 안산의 하청노동자들은 세월호 침몰로 희생된 단원고등학교 아이들의 부모였다. “직영이세요?”라는 맞선 자리 질문에 모멸감을 곱씹어야 하고, 청춘을 바친 공장을 지키기 위해 고공의 굴뚝에 올라야 하고, 열차에서 일하지만 사고 시 승객을 구조하는 것이 ‘불법’이다.
그럼에도 좌절하지 않고 저자의 여정을 이어가게 한 것은 곳곳에서 싹 트고 있는 희망들이었다. 부도난 회사를 인수해 노동자 자주관리회사로 전환하고 흑자로 돌아선 시내버스회사, 노조와 병원장이 함께 일궈낸 행복한 공공병원, 성과급을 받는 대신 후배들을 정규직으로 만든 선배 노동자들…. 21세기 한국 노동 현장에서 발견한 희망은 아직 작지만 분명 또렷하다.
세밀한 희망을 발굴해 기록한 행간에는 골목을 뒤지며 분투한 저자의 땀이 뜨겁게 배어 있다. 자동차 부품사, 조선소, 시멘트회사, 의료기기 제조사, 음료 제조사, 연구소, 병원, 증권사, 출판사, 공항, 호텔, 식물원, 패스트푸드점 등, 다종다양한 일터에서 삶을 꾸려가는 사람들이 기꺼이 육성을 들려줬다. 그곳에 정직한 땀의 대가를 찾는 사람들, 거대한 골리앗에 맞서는 용기 있는 사람들, 상처를 보듬고 연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노동여지도》가 만난 ‘보통의 노동자’들은 고단함을 나누고 힘을 더할 때 비로소 희망이 있음을 보여준다. ‘말’이 아닌 ‘삶’이 실증하는 21세기 노동사의 한 장면이다.

다시 현장에서, 노동자의 연대를 생각한다
한국 사회는 노동조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대다수 한국인이 노동자일진데 노동자의 입장을 대변한다는 노조는 어째서 신뢰를 얻지 못하는가? 한국의 노동조합 조직률은 OECD 최하위권 수준이고 단체협약 적용률은 꼴찌다. 노조가 성과를 내더라도 그것이 극히 일부에게만 돌아간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한국 노동자는 노동조합을 자기 삶에 가까운 것으로 여기지 못한다. 《노동여지도》의 여정에서도 대공장 정규직 노조에 대한 서운함과 원망의 목소리가 가감 없이 전해진다.
노동조합 일반을 불신의 대상으로 낙인찍고, 일부의 이익만을 위해 복무하는 집단으로 매도해버리는 것은 과연 타당한가? 《노동여지도》가 현장에서 만난 ‘작은 노조’ 조합원들의 목소리는 이 질문을 다시 무겁게 생각하도록 한다. 더 나은 일터를 함께 만들어간다는 자긍심, 일터 밖의 사회와도 연대하는 정의로운 삶에 관한 성찰이 그들의 목소리에 배어 있다. 그래서 다시, 현장을 보고 판단할 일이다.

저자소개

지은이 박점규는
전국의 노동현장을 온몸으로 경험했고,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현장에 함께해온 노동운동가다. 1971년 태어나 인천 연안부두와 송림동, 서울 용산중앙시장에서 살며 노동자 어른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성장했다. 이는 자연스럽게 민주노조 활동으로 이어졌다. 1998년부터 민주노총에서 홍보와 투쟁을 담당했고, 2003년 금속노조로 옮겨 2011년까지 선전홍보, 단체교섭, 비정규직 사업을 했다.
그는 기륭전자, 쌍용자동차, 현대자동차, 삼성전자서비스 등 시급하고 절박한 노동자들의 투쟁 현장에 적극 참여해왔다. 특히 2010년 11월 15일부터 25일간 진행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점거파업에 함께했는데, 파업이 끝난 후 체포영장이 발부돼 7개월 동안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수배 기간 중 현대차 비정규직 점거파업의 생생한 내용을 기록해 《25일》을 펴냈다. 그후 노동운동을 계속 이어가며 2011년 한진중공업, 2013년 현대자동차, 밀양 희망버스 등의 기획단으로 활동했다.
또한 노동 ‘투쟁’만이 아니라 ‘기록’의 중요성에 눈떠 2015년 현직 언론사 노동기자들과 함께 [굴뚝신문]을 만들었다. 여러 인터넷신문에 ‘박점규의 현장편지’를 연재했고, 언론협동조합 [프레시안]에 ‘박점규의 동행’을 연재하고 있다. 지금은 ‘비정규직없는세상만들기’ ‘장그래살리기운동본부’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도 비정규직과 함께 부딪치고 투쟁하며 현장을 기록하는 삶을 살아갈 것이다.

목차소개

? 들어가며 당신이 사는 도시의 노동은 안녕하십니까?
01 수원_삼성의 도시에서 노동자의 권리를 묻다
02 울산_소득 1등 ‘노동자 도시’의 세 계급
03 인천_세계 1위 비정규직 공항
04 군산_가난한 항구도시는 부유한 노동자의 도시가 될 수 있을까?
05 평택_‘쌍용호’는 해고자를 배에 태울까
06 부산_돌아와요 부산항에, 그리운 정규직이여
07 전주·익산_시내버스의 아슬아슬한 질주
08 구미_민주노조도, 웃음도 사라진 박정희의 도시
09 안양·군포·의왕_비정규직 없애는 노조, 늘리는 지방정부
10 광주_5·18 정신이 무색한 광주의 일터 풍경
11 천안·아산_살맛 나는 중소기업 일터
12 서울 구로_첨단 공단의 피로한 노동자들
13 대전_과학도시 ‘떠돌이 박사들’의 한숨
14 안산_세월호를 빼닮은 ‘노동재난구역’
15 창원_직영 아빠와 하청 아들, 서글픈 부자도시
16 화성_캠핑 열풍, 떠나는 노동자와 소외된 노동자
17 광양·순천_태백산맥을 닮은 사람들
18 경주_노동자와 함께 깊어가는 ‘신라의 달밤’
19 서울 여의도_낙엽보다 위태로운 증권 노동자
20 당진·서산·태안_발전소의 토마토, 사과, 배
21 대구_노사평화선언보다 달구벌에 필요한 것은
22 동해·삼척_향토기업의 비정규직 부려먹기 천태만상
23 청주_행복버스와 노동인권이 달리는 무심천
24 목포_‘선상님’ 고향에서 흘리는 하청의 눈물
25 서울 신촌_청춘, 아프니까 노조를 만든다
26 원주·춘천_협동조합 1번지, 노동자도 행복할까?
27 제주_관광 노동자들의 미소 뒤에 숨은 것
28 파주_책의 도시가 품은 명암
? 나가며 친절한 그래 씨에게
? 참고문헌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