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서설(序說) 불교의 눈으로 보는 『기타』
Ⅰ. 『기타』와 불교의 차이
1. 『기타』, 비폭력인가 폭력인가?
2. 회의, 비폭력, 그리고 붓다
Ⅱ. 『기타』와 불교의 상통성(相通性)
1. 지혜와 행위의 조화
2. 세 가지 길의 조화
제1부 전쟁과 회의(懷疑)의 문제
『기타』의 윤리적 입장에 대한 불교적 비판
- 아르주나의 회의 vs 크리쉬나의 응답
Ⅰ. 크리쉬나의 응답, 과연 보편적인가
1. 크리쉬나의 논리와 불교적 읽기
2.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구분
Ⅱ. 아르주나의 회의와 그 의미
1. 회의의 이유
2. 회의의 의미
Ⅲ. 크리쉬나의 응답과 그에 대한 비판
1. 형이상학적 윤리 비판
2. 현실주의 윤리 비판
3. 무집착의 윤리 비판
Ⅳ. 비판적 수용이 필요한 특수윤리
아르주나의 회의와 그 불교적 의미
Ⅰ. ‘현대 한국 불교’의 『기타』 읽기
Ⅱ. 다시 읽는 아르주나의 회의
1. ‘아르주나의 회의’를 설하는 부분
2. 회의의 이유와 의미 재고
(1) 회의의 이유
(2) 회의의 의미
Ⅲ. 의미의 현재성과 불교
Ⅳ. 아르주나의 회의, 평화의 길
제2부 폭력/전쟁과 권력의 문제
『기타』와 『대승열반경』에서의 폭력/전쟁의 정당화 문제
- ‘정의의 전쟁’론을 중심으로
Ⅰ. 폭력의 종식은 가능한가
1. 폭력과 종교의 친연(親緣)
2. 힌두교와 불교의 정당방위론
Ⅱ. 힌두교에 나타난 ‘정의의 전쟁’론
1. 아르주나 vs 크리쉬나 = 비폭력 지향 vs 폭력의 정당화
2. ‘정의의 전쟁’론과 카르마 요가
3. 폭력/전쟁의 종교적 정당화
Ⅲ. 불교에 나타난 ‘호법(護法)’론
1. 대승불교에서 불살생계(不殺生戒)의 강화
2. 불수오계(不守五戒)의 허용과 그 이유
3. 폭력/전쟁의 정당화와 불성(佛性)사상
Ⅳ. 평화, 종교와 폭력의 결별
힌두교와 불교에서의 권력과 탈(脫)권력의 문제
- 『기타』와 『붓다차리타』를 중심으로
Ⅰ. 정교일치인가, 정교분리인가
1. 종교와 정당정치의 참여 문제
2. 연구의 방법
Ⅱ. 힌두교적 출가 vs 불교적 출가
1. 『기타』에 나타난 힌두교적 출가
(1) 아르주나의 회의와 그 심층의미
(2) 왕법과 해탈법을 둘러싼 회의와 출가의 문제
1) 유디스티라의 회의에 비춰본 아르주나의 회의
2) 아르주나의 회의에 숨겨진 출가주의
3) 크리쉬나의 설득에 나타난 재가주의
2. 『붓다차리타』에 나타난 불교적 출가
(1) 힌두 다르마에 대한 부정
(2) 재가주의에 대한 반론
Ⅲ. 불교적 출가의 반례(反例)에 대한 비판
1. 일본불교에 나타난 왕불일체(王佛一體)론
2. 불교계 정당의 반(反)불교
Ⅳ. 종교와 현실 정치의 분리
후설(後說) 『기타』의 행위의 길(karma-yoga)과 불교
- 『바가바드기타의 철학적 이해』 자평(自評)을 중심으로
Ⅰ. 『불교평론』에 서평이 실리다
Ⅱ. 『바가바드기타의 철학적 이해』와 불교
Ⅲ. 아직 남아 있는 문제
⊙ 참고문헌
⊙ 부록 ; 힌두교(내지 인도철학)와 불교 관련 저자의 논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