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의도
사람의 얼굴을 보고 운명을 읽어내는 것이 관상이다!
“하늘이 내린 운명을 필연적인 것이라고 생각해도 좋을까? 아니다.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정의로운 사람이 반드시 행복해지지는 않으며, 부정을 저지른 사람이 반드시 불행해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
당나라 시인 소동파가 인간의 운명에 대해 설파한 글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운명’이라는 단어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의미가 천차만별이다. 굳이 두 가지 의미로 대별을 하자면, 하나는 우리의 삶이 타고난 천명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타고난 천명이 있지만 우리의 삶이 개인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당연히 어느 한쪽의 주장만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어떻게 생각하고 살아가야할 지는 자신의 삶의 태도에 달려 있을 뿐이다.
사람의 얼굴을 보고 운명을 읽어내는 것을 관상이나 관상학으로 표현한다. 그런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주로 인상, 혹은 인상학이라는 말을 쓴다. 그것은 관상을 보다 잘 보려면 음성을 살피는 음상(音相)과 앉은 모습, 걷는 모습, 식사의 모습까지 보는 자상(姿相)에다 머리의 골상(骨相)까지 보기 때문이다.
관상을 본다는 것은 일기예보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중국에서 관상법이 발달한 것은 인물감별법에서 비롯됐다고 보는 게 정설이다. 원래가 농경민족이었던 중국인은 다른 유목민족과는 달리 일정한 땅에 정착하는 민족이었다. 따라서 다른 지방에서 이주해온 사람을 받아들일 지 말 지에 대한 판단을 내려야 했다. 그래서 중요해진 것이 바람직한 인물을 감별하는 일이었다.
“인상학으로 알아낼 수 있는 것은 성격 정도일 뿐, 사람의 운명까지는 예측하지 못한다. 사람의 얼굴은 지나가는 세월과 함께 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운명(運命)은 상(相)을 만들고, 상은 운명을 만들기도 한다.”
지은이는 관상을 비롯한 점술이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타고난 운명이라 해도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동안 얼마든지 변하고 바뀐다는 뜻이다. 즉 누구나 자기 운명의 설계자일 수는 없지만 자기 운명의 주인공이 될 수는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관상을 본다는 것은 일기예보에 귀를 기울이는 것과 같다. 우리는 비가 언제 올 지를 예측할 뿐,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막지는 못한다. 따라서 자신에게 주어진 천명을 알고, 스스로 자기 길을 걸어가는 게 중요하다. 작은 희망이라도 있다면 살아가는 용기를 얻을 수 있지 않겠는가?
■ 책의 내용
천명을 아는 자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나를 아는 자는 남을 원망하지 않고, 명을 아는 자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知己者不怨人, 知命者不怨天).”
《순자》의 영욕편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가 관상을 보는 목적은 자기 운명의 장점을 키우고 단점을 개선하는 데 있다. 타고난 장점을 살리고 약점을 극복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천성과 천명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자기의 천명을 알면 스스로 운명을 바꿀 수 있다고 말한다. 자신이 누군지를 알아야 자신의 삶을 제대로 꾸려 갈 것이 아닌가?
1장 관상으로 운명을 읽는다
지은이는 운명이란 인지(人知)와 인력(人力)을 초월한 인간사 길흉화복의 배합이라고 말한다. 일반인에게 우연 혹은 불의에 나타나는 것을 역술가는 필연으로 여길 뿐이라는 것이다. 관상과 운명의 관계를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며 설명한다. 중국의 고전 속 위인들이 조언하는 인물감별법을 소개한다.
2장 영웅의 관상을 읽는다
공자, 조조, 유방 등 중국의 위인과 영웅의 관상과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삶의 지혜를 가르친다. 고전 속에 등장하는 영웅호걸들의 에피소드를 통해 당시의 위정자들이 관상술을 통치와 처세에 널리 활용했음을 보여준다. 당대 최고의 관상가 허자장은 조조의 관상을 보고 “태평성대에는 능신이요, 난세에는 간웅이라”라고 예언한다.
3장 이마는 관상의 중심이다
얼굴은 사회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플래카드와 같다. 얼굴은 마음을 표현하는 거울이고, 사람과 대화하고 소통하는 도구이며, 자신의 아이텐티티를 상징하는 존재이다. 얼굴을 상, 중, 하의 셋으로 나눈 삼정의 조화를 좋은 인상의 근본으로 꼽는다. 삼정 가운데 상정인 이마는 세속의 관운을 관장하고, 지식과 지혜의 창고로 사람의 품격을 상징한다.
4장 얼굴의 오관을 읽는다
관상의 오관(五官)은 귀, 눈, 입, 코, 눈썹을 일컫는다. 귀를 오관 중 맨 앞자리에 놓는다. 귀는 오관의 근본으로서 생명의 뿌리로 여긴다. 눈은 흐르는 강의 물길처럼 길고 깊어야 길상이다. 코는 자아의 상징으로 주로 중년운을 암시한다. 입은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통로의 구실을 한다. 턱은 가정운과 애정운을 나타낸다.
5장 자상으로 운명을 읽는다
관상학에서는 인상과 함께 자상을 중요하게 여긴다. 사람의 몸가짐과 몸짓 등 ‘자태의 상’ 속에 본심과 운명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의 상을 볼 때는 일상생활의 말과 행동을 관찰한 다음 골격, 혈색을 살피고 운명을 판단하는 것이 올바른 관상법이다. 앉은 자세를 살피는 좌상과 손의 모양으로 운명을 판단하는 수형학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