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 여행 고독 인문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1장. 2015년 가을, 도시 여행자 9
2장. 고독하기 55
3장. 상상하기 79
4장. 여행하기 99
1. 여행자 ‘김시습(金時習)’ 101
2. 상상적 우화(羽化) 103
3. ‘고흐’의 시간 111
4. 여행자의 서재 123
5장. 고독의 미학
1. 고독이라는 것 199
2. 시 종교 고독 213
3. 함께이면서 홀로되기 225

구매가격 : 3,000 원

서경 홍범구주의 정치철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書經 洪範九疇의 정치철학





‘書經’은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정치철학의 始原이며 源流다. ‘서경’ 안에서도 ‘洪範’은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동아시아 문명권’의 ‘哲學的 原象’은 종교철학과 정치철학이다. ‘祭政一致’라는 개념은 이를 대변한다. ‘홍범’은 ‘제정일치’로부터 ‘祭政分離’로 정치체제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구성되었다. 즉, 종교철학에 대하여 정치철학이 새로이 부각되는 시기에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정치철학적인 관점에서 ‘홍범’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적절한 연구방법의 선택인 것으로 판단된다.
모름지기 ‘조선왕조실록’은 그 유례가 없을 만큼 구체적으로 상세히 기술된 ‘政治史’다. 그리고 ‘조선왕조의 정치철학’으로서 대표되는 것은 ‘箕子의 홍범’이다. ‘기자의 홍범’은 ‘書經의 홍범’과는 정치철학적인 의미와 가치에서 차이를 갖는다. 곧 ‘조선왕조’만의 고유한 ‘홍범의 정치철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내용이 가장 잘 드러난 텍스트가 바로 ‘조선왕조실록’이다. 그런데 ‘기자의 홍범’과 ‘조선왕조실록’을 交互的으로 고찰하는 선행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다. 때문에 정치철학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것이다.
정치철학은 현실정치에 대한 철학이다. 현실정치는 과거에 기반하여 미래를 지향함으로써 實在할 수 있다. 따라서 정치철학은 과거로부터 배우고, 미래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현실정치에 대한 정치철학적 指針을 도출해 내는 작업이다. 예컨대, 과거는 물론이며 현대사회의 先進列强들은, 대부분 ‘國民國家’로서 대표되지만 실제로는 ‘民族國家’의 구조로써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온갖 종류의 ‘세계주의’를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민족주의’와 ‘세계주의’가 竝存하는 ‘민족국가’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왕조’에서 ‘홍범의 정치철학’은 ‘세계주의’와 ‘민족주의’가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은 현대사회의 현실정치에 마땅한 ‘정치철학적 지침’으로써 제시될 수 있다.
인간존재의 삶은 지극히 정치적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social animal)’이라는 ‘Aristoteles’의 선언은, 인간은 ‘정치적 동물(zoon politikon)’이라는 의미와 다르지 않다. 이에, ‘삶은 政治다.’고 해도 그릇되지 않으며, 인류문명의 시작은 정치의 시작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에게 정치는 부득이하다. 정치를 삭제한다면 인류의 역사도 삭제되어버릴 것이다. 이것이 ‘동아시아 문명권’의 대표적 古典의 대부분이 정치철학을 논변하는 까닭이며,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정치철학을 고심해야 하는 이유다.

구매가격 : 4,000 원

미셸 푸코의 철학사상 푸코철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1. 현대철학과 푸코철학 9
광기의 역사, 벤담, 파놉티콘, 고대 그리스, 계몽주의, 보들레르, 하이데거,
하버마스, 진단학, 칸트, 마르크스, 신자유주의, 헤겔, 생체권력, 데카르트,
콩트, 에피스테메, 휴머니즘, 실존주의, 사르트르, 바슐라르, 고고학, 단절,
문턱, 보르헤스, 말과 사물,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파농, 윌리엄스, 그람시,
헤게모니, 담론, 권력, 아렌트, 니체, 자유주의, 사회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데리다, 정신질환자, 재소자, 동성애자, 주변인, 동일자, 타자, 이성, 광기,
들뢰즈, 노마드 주체, 로티, 진리의 계보학, 객관적 진리, 절대적 진리,
사유의 역사, 담론 형성의 분석, 진리의 역사, 감옥의 역사, 감시와 처벌,
임상의학의 탄생, 지식의 고고학, 진리 놀이, 지식-권력-윤리, 문제화,
헤테로토피아, 인식론적 장, 지층, 아카이브, 위치, 배치, 중첩, 담론 공간,
근대, 근대성, 산업혁명, 프랑스 혁명, 칸트철학, 퀴비에 생물학, 보편성,
리카르도 경제학, 광기, 심리학, 의학, 지식, 권력, 주체, 성(섹슈얼리티).

2. 정치, 권력, 통치성 35
제도 바깥의 정치, 마르크스와의 단절, 노동, 육체, 유물론, 막스 베버, 고백,
현상학, 비판이론, 해석학, 몸, 자연환경, 섹스, 테크놀로지, 정보, 기능체계,
구조주의, 후기구조주의, 실용주의, 신실용주의, 사르트르, 레비-스트로스,
은폐된 통제, 형이상학의 종말, 미시적 권력 관계, 역사적 주체, 아감벤, 해석,
나치의 대량학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 국가장치, 규율권력, 생명관리정치,
살게 만드는 권력, 죽게 내버려두는 권력, 사목제도, 대항품행, 국가이성,
인구-시장-자유-안전, 행위의 행위, 프레카리아트, 호모 이코노미쿠스,
생성적 권력, 권한부여, 3차원적 권력, 루크스, 빅데이터, 디지털적 감시.

3. 윤리, 자기배려 65
계몽의 약속, 허용된 것, 금지된 것, 교정, 교화, 참과 거짓을 만드는 방식,
예속적 주체화, 예술가적 실천, 파레시아, 기독교 윤리, 고대 그리스 윤리,
칸트 인간학, 숙의민주주의, 윤리정치, 소크라테스, 산파술, 성-주체,
예술작품으로서의 삶, 탈예속, 성적 유보, 자기배려, 존재윤리, 생활미학.

4. 광기, 비정상, 병원 87
고전주의 시대, 낭만주의 시대, 양면성, 이율배반, 거울, 자기모순, 붉은 꽃,
극단적 배타주의, 가르쉰, 이성, 비이성, 광기의 역사, 대감금, 비극의 탄생,
광기배제로서 코기토, 광란의 장면, 이중성, 예술가소설, 천재성, 상상력,
창조적 승화, 정신병적 광기, 의철학, 법철학, 괴물, 캉길렘, 이방인, 바깥,
금기, 위반, 에로티즘, 사드, 죽음, 쾌락, 본능, 느낌, 혼돈, 무질서, 소외,
보호감금, 라캉, 은밀한 강요, 신체, 여성, 장애, 노인, 빈민, 차별, 다양화.

5. 훈육, 감옥 109
감옥, 감시, 나보코프, 질서유지, 노동력 확보, 신체형, 자유형, 정신 개조,
권력-지식-신체, 감금, 교정, 순종적 신체, 양심, 교회, 근대 교육, 군대,
학교, 공장, 규율, 공무원, 실적평가, 감금형 한국 교육, 시험제도, 서열훈육,
감시-관리-교정, 성숙, 부득이한 권력관계 내에서의 자아 인식.

6. 언어, 담론, 문학 123
순응적 인간, 관찰, 표준화, 평가, 담론분석, 진술, 발화, 하버마스, 언어철학,
화용론, 담론의 선택과 배제, 담론의 바깥, 바흐친, 소크라테스, 카프카, 지식,
도스토예프스키, 들뢰즈, 에코의 기호학, 언표, 의미값, 죄형법정주의, 법언어,
심리강제, 말과 사물, 에피스테메, 소쉬르, 구조주의, 포르루아얄, 언표, 언설,
근대적 인간, 초월적 주체, 도덕적 주체, 근대성의 태도, 개념 놀이, 장치,
실천, 놀이, 문제화, 사상적 공백, 실존, 이상, 김수영, 진리-자유-억압-해방.

7. 임상의학, 질병 145
진리, 권력, 윤리, 정신의학의 계보학, 발명되는 질병, 성욕의 역사, 이미지,
라깡, 정신분석, 시녀들, 거울, 환자의 관찰, 임상병리학, 계몽된 의사의 시선,
질병의 재구성, 잠재적 환자, 해부임상의학, 질병의 공간화, 전염병, 메르스.

8. 신체, 욕망, 성 153
현존재, 기계로서의 신체, 권력의 대상으로서 신체, 욕망하는 신체, 금지,
미래의 주체, 쾌락의 활용,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욕망과 성, 위반, 노동, 생명,
타자화된 죽음, 터부화된 죽음.

9. 미학, 예술철학 167
현대예술, 광기, 철학극장, 반플라톤주의, 마그리트, 비긍정의 긍정, 보들레르,
헤테로토피아, 플로베르, 마네, 상상력, 그림읽기, 기사화, 문자화, 피카소,
다르게 생각하기, 천재와 광인, 단절, 창의적인 발견과 발명, 경계, 중첩,
파놉티콘으로서 미술관, 관계, 윌리엄 포사이드, 모스, 팝아트, 선불교,
생존의 미학, 삶 자체로서의 예술작품.

구매가격 : 3,000 원

삶을 위한 변주곡 죽음의 미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1. 동양문화에서 죽음의 의미 7
2. 서양문화에서 죽음의 의미 43
3. 죽음을 대하는 인식과 태도 77
4. 동양의 예술작품 속 죽음의 이미지 109
5. 서양의 예술작품 속 죽음의 이미지 159
6. 미학적 승화를 통한, 죽음의 정치적 활용 173
7. 자살 현상학 201
8. 자살이라는 미학적 장치 219

구매가격 : 3,000 원

난 독서록 쓰기가 정말 신나!

도서정보 : 조영경 | 2018-07-20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책을 읽기만 하고, 독서록은 쓰기 싫어하는 어린이들은 여길 보세요~
따라 하기만 해도 나만의 ‘독서록 작품집’을 만들 수 있어요

책은 많이 읽으면서도 독서록 쓰는 건 싫어하는 친구들이 있어요. 왜 그러냐고 물으면 무엇을 써야 할지,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하지요. 그런데 독서록 쓰기는 어렵지 않아요. 찾아보면 재밌게 쓰는 방법이 굉장히 많답니다.
독서록은 처음부터 독후감 숙제처럼 길게 쓸 필요는 없어요. 그리고 꼭 글로 써야 만 하는 것도 아니에요. 만화를 그려도 되고 그림을 그려도 돼요. 친구들과 함께 퀴즈를 내보거나 멋진 광고를 만들어도 되지요. 또는 좋은 정보나 지식을 꼼꼼하게 정리해 보기도 하고, 글을 쓰는 기자도 되어본다거나 뒷이야기를 꾸며내는 작가도 되어 보세요. 이렇게 이 책에서처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독서록을 써보세요. 어느새 멋진 나만의 작품집이 완성될 거예요. 그리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글쓰기 실력도 늘고 생각의 폭도 넓어진 걸 알 수 있을 거예요.

52가지 독서록 쓰기 샘플을 따라해 보면서 사고력은 물론,
자연스럽게 풍부한 표현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어요

이 책의 주인공들도 처음에는 독서록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요. 점수를 높게 받아야 한다거나, 무조건 길게 써야 한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귀찮은 ‘숙제’같이 생각하고는 간단한 책을 읽고 대충 넘어가려는 꾀를 부리기도 한답니다. 그렇지만 차츰차츰, 줄거리를 중심으로 써보기도 하고, 퀴즈도 내보고, 책을 읽고 난 느낌을 그림으로 그리거나 동시로 표현해보기도 하고, 마인드맵이나 만화를 그려보는 등 점점 더 재미있고 기발한 독서록 쓰기 방법들을 생각해 낸답니다.
이 책의 저자는 <난 일기 쓰기가 정말 신나!>를 써서 많은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일기를 쓸 수 있도록 도와주신 분이기도 해요. 이 책을 읽어나가면서 어린이들은 독서록을 쓰면 무엇이 좋은지, 왜 써야 하는지 또 어떻게 쓰는지를 잘 알 수 있게 돼요. 또한 선생님들, 부모님들도 독서록 쓰기 지도를 하실 때 참고하면 아주 쉽고 재밌게 놀이하듯이 자연스럽게 독서 지도는 물론 독서록 쓰기 지도를 겸해서 할 수 있답니다.

구매가격 : 10,000 원

트로이 목마 36

도서정보 : 오홍국 | 2018-07-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인류 역사는 전쟁의 역사다. 기원전 1250년 경 그리스는 트로이와 10년 전쟁을 트로이 목마로 승리했다. 역사상 최초의 기만술로 이겼다. 처음에는 그리스군 아킬레우스가 트로이군 헥토르에게 수세에 몰렸다. 그리스군은 거대한 목마를 남기고 철수하는 기만전술을 폈다. 여기에 속아 넘어간 트로이군은 목마를 성 안으로 들여 놓고 승리 기쁨에 빠졌다. 새벽이 되어 목마 안에 숨어 있던 오디세우스 등이 빠져 나와 성문을 열어 주었고 그리스군은 트로이성을 함락했다. 동양에서는 36계가 기만술의 으뜸이다. 처음 두 단어는 상대 눈을 가리는 기만이며 나머지 두 단어가 노림수다. 필자는 36계가 바실 리델 하트의 『전략론』에 버금가는 동양의 간접접근전략으로 평가한다. 1계 만천과해부터 36계 주위상계까지 전장 상황에 따라 적시 적절한 전술들을 구현하고 있다. 필자는 36계가 적용된 많은 전적지를 직접 답사하면서 연결고리를 찾아냈다. 베트남전쟁과 유럽전쟁 및 중국 지역 등 발로 쓴 현장 답사 전술 연구 결과이다. 독자들의 종합 전술 능력 배양을 위해 각 부의 6개 전술을 모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모했다. 1부는 남산 2부는 우면산 6부는 북한의 도발 양상을 서로 연결했다. 각 계의 사례들도 고대 전투부터 현대 베트남전쟁에 이르기까지 동서양 주요 전투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전사연구에도 도움을 주는 전술연구 종합서이다. 장차전에서 인공지능(AI) 로봇이 군인을 대신하더라도 결국은 인간의 지혜에 따라 움직인다. 독자들은 『트로이 목마 36』에 나오는 많은 전쟁사례를 통해 더 나은 전략적 식견을 갖추고 당대(唐代) 시인 두보의 시(詩)를 접하면서 문학적 소양도 넓혀나가는 기회가 될 것이다.

구매가격 : 8,400 원

나를 찾아 행복을 주는 명상

도서정보 : 정성호 | 2018-07-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우리는 일상의 바쁜 생활 때문에 진정한 행복을 알지 못하고 바쁘게만 살아가고 있다. 행복해 지는 명상은 어느 교수의 체험을 통해 우리의 본성이 무엇이며 참 자아를 깨닫는 다는 것이 무엇이며 참 행복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자신이 극한 상황 속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참 자아를 찾는 과정에 체험하고 느낀 바를 정리하였다. 우리사회가 지향하는 행복한 사회는 어떤 것일까? 행복한 사회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진정한 성찰 없이 자신이 앞만 보고 달려왔던 상황을 성찰해본다. 2016년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하여 여론조사결과를 언론에 제공하는 과정에 여론조작으로 문제가 되어 구속되었다. 이 때문에 달리던 기차를 잠시 세워 극한 오지체험을 하였다고 토로하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삶을 반추 하고서 다시 달리게 하는 기회를 주었다고 위로하며 결과를 받아들이고 참회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사회에서 재소자에 대한 인식과 우리 삶의 방향은 어떠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이러한 극한 오지와 같은 체험을 통해 우리 삶의 이정표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성찰해 보기도 했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진정한 행복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리는 어떻게 큰마음을 가지고 참 행복을 찾을 것인가? 자신이 느끼고 경험한 바를 나름 정리하여 펼쳐 보여 주고 있다. 깨닫는 다는 것은 무엇인가? 깨달음은 순수의 영역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우리가 순수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는 수행을 어떻게 할 수 있을 것인가? 깨달음의 경지는 여러 단계를 거친다고 한다. 우리는 매일 매일 순수를 위해 영혼을 맑게 하는 방법으로 명상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대인들은 누구나가 대부분 앞만 보고 달린다. 진정 자신을 되돌아보고 스스로를 이해하고 깨달을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나 자신에게 닥친 어려움 속에 겪은 바를 토대로 자신을 극복하고 이겨내며 자아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명상을 어떻게 하며 극복하는 가를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명상은 내 자신 속에 있는 욕망과 오만을 내려놓고 행복하게 삶을 살아가는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길이다. 명상을 위해서는 자신을 알고 참 나를 발견하고 고요히 맑은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등산과 하산과 같은 과정을 겪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명상의 최고 경지인 깨달음에 이르는 것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이런 명상은 우리에게 행복의 결과를 많이 가져다 줄 것이다. 즉 자신이 처한 상황과 자신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결과가 다를 수 있지만 극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도 하고 피로 고통 공포 등의 감정이 사라지고 쾌감이 뒤따르게 해 주기도 한다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자신을 알고 삶을 매우 진지하게 살아 갈 수 있다. 자신의 온갖 탐욕과 어리석음을 알고 나면 스스로 겸손해지고 더불어 함께 사는 길을 이해할 수 있다. 흔히 우리는 아주 만족하게 해주고 충만하게 해주는 체험은 어떤 확실한 깨달음을 통해서 주어진다라고 한다. 우리가 희망하며 헌신하고자 하는 보다 좋은 세계가 어떤 세계인지에 대해서도 바로 이 체험을 통해서 깨닫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일반 독자들이 조금이라도 삶의 지혜를 얻고 참 행복을 누리시기를 바란다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구매가격 : 9,100 원

예민함이라는 무기 : 자극에 둔감해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도서정보 : 롤프 젤린 | 2018-07-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독일 최고의 관계 심리학자가 알려주는
남들보다 섬세하고 신중하고 감각적인
나만의 재능으로 살아가는 법

타인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입장을 무조건 굽히고 심지어 타인의 문제를 떠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관계의 심리학. 독일 아마존 심리학 베스트셀러 《나는 단호해지기로 했다》의 저자이기도 한 롤프 젤린은 예민한 사람에 대한 세상의 잘못된 시선으로부터 자신을 숨기기 위해 타고난 예민함을 감춰야만 했던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공감과 처방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또한 예민한 사람들이 섬세하고 신중한 자신만의 관점을 지키며 살아갈 때 더 넓은 세상, 더 풍요로운 내면을 만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자신의 예민함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상담자들의 생생한 경험을 담은 인터뷰를 통해 유용한 정보들도 함께 전한다.

구매가격 : 9,660 원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도서정보 : 니체 지음(탁양현 엮음) | 2018-07-13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차라투스트라Zarathustra는 이렇게 말했다






적잖은 시간 동안, 나의 청춘을 온통 지배했던, 고뇌와 비탄의 철학자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를 여전히 추억한다. 지금껏 여러 이유로, 너무나 많은 철학자들과 그들의 온갖 사상들을 알고서는 이미 망각해버렸지만, 아마도 내 죽음의 순간까지도, 니체의 추억만큼은 망각되지 않을 듯하다.
니체를 추억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라도, 그의 대표작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를 기억할 것이다. 그런데 제목에 드러나 있는 바처럼, 차라투스트라는 정작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나는, 차라투스트라가 말하려고 했던 최후의 발언은 ‘위대한 침묵’이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것이 지금 이 텍스트를 지어내게 된 가장 큰 이유다.

많은 이들은, 니체에 관해 이런 말들을 한다.
“비록 깊은 밤 숨죽인 도둑처럼, 니체의 고뇌와 비탄을 슬쩍 훔쳤을지라도, 니체를 읽지 않은 자와의 만남과 대화는 너무나 소모적이다.”
“결국 부득이한 생존을 핑계 삼으며, 니체의 본의本意를 짐짓 모른 체하고 외면해야만 하더라도, 니체를 알지 못 하는 자와 철학이나 문학을 논변論辯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나아가 인문학 자체에 대해서 역시 그러하다.”

그런데 어쩌면, 이제 니체를 기억하거나 추억하는 이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21세기는 이미, 굳이 니체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고뇌와 비탄에 찬 시대인 탓이다.
이제 내게도, 청춘의 시절처럼 니체에 대한 열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의 전집은 물론이며, 독일어판 원서까지 무작정 뒤적여대던, 무모할 정도의 열정은 이제 없다. 그런데 그렇게 강렬하던 열정이 식어버린 후, 외려 니체는 아주 선명한 모습으로 내게 다가선다. 참으로 묘한 노릇이다.

누구에게나 니체를 고뇌했다는 것은, 인간존재의 삶 자체에 대해서 참으로 절실히 고뇌했다는 말과 다름 아니다. 그래서 일견 니체는 곧, 고뇌 자체다. 무릇 고뇌 자체로서의 니체다.
니체는, 삶의 마지막 순간에 이르면서, 스스로의 고뇌를 차라투스트라의 발언으로써 이야기했다. 그리고 그렇게 니체의 고뇌는, 차라투스트라의 발언으로써 마감되었다. 그런데 그러한 마감의 순간에, 정작 차라투스트라의 발언은 시작된다. 그리고 이후, 차라투스트라의 발언은 줄곧 계속 되고 있다.
차라투스트라의 발언과 차라투스트라의 침묵, 발언하는 차라투스트라와 침묵하는 차라투스트라.
이러한 차이를 안다면, 이제 차라투스트라의 발언에 대해서는 더 이상 고뇌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21세기는, 차라투스트라의 가혹한 발언 이후의 위대한 침묵을 새로이 고뇌해야 할 시절이라고 할 것이다.

구매가격 : 4,000 원

중용 주자의 중용장구

도서정보 : 자사 | 2018-07-13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中庸 : 치우침 없는 일상





‘중용’은, 모름지기 명실상부 중국문명 최상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대표적인 텍스트이다.
예컨대, 대학원에서 도가철학을 전공한 필자로서는, 자연스레 유가철학의 텍스트들을 비판적으로 살피게 된다. 그런데 ‘중용’이나 ‘논어’의 경우는 아무런 거부감이 없다. 외려 ‘노자도덕경’이나 ‘장자’를 독서하는 듯한 감명을 준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서, 가장 대립적인 철학사상을 공부하는 자마저도 감동시킬 수 있는 텍스트는, 결코 흔하지 않다. 아니 너무도 희귀하다. 그런 것이 바로 ‘중용’이다.

오늘날 전해지는 ‘중용’은,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의 ‘중용’편을 송나라 때에 단행본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그 주된 내용은, ‘주자’의 주석에서 여러 차례 거론되듯이, ‘논어(論語)’나 ‘공자가어(孔子家語)’의 가르침을 ‘자사’가 기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자사’의 조부(祖父)이면서 동시에 멘토(mentor)였던 ‘공자’는, 70세에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慾不踰矩)’를 실현했다. 이는, 자기의 의지나 욕망을 좇아서 행동하더라도, 결코 세상의 법도에 어긋나지 않는 경지를 의미한다.
그런데 ‘공자’의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도록, 세상은 쉬이 ‘종심소욕’ 자체가 애당초 그릇된 것인 양 규정해둔다. 그리고서는 현실세계의 인간존재들을 아예 ‘종심소욕’ 자체가 불가하도록 훈육하려고 한다.
그러다보니 결국에는, 정작 자기의 마음이 무얼 욕구하는지도 모르게 되어버린다. 이러한 상황은 21세기의 현대인이라고 해서 별다를 게 없으며, 인간존재로서 참으로 비극적인 내몰림이라고 할 것이다.
‘종심소욕’은 ‘공자’와 같은 성인마저도 추구한 바이다. 그래야만 삶이 풍요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것이 ‘불유구’일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못 하다면, ‘종심소욕’은 말 그대로 아비규환의 참극을 초래하고 만다.
예컨대, 세상 사람들 모두가 각자 자기 마음이 욕망하는 대로 해버린다고 상상해 보자. 아마도 그러하다면, 인류문명은 금세 종말을 고하고 말 것이다. 그러니 그렇게 ‘불유구’할 수 있다는 것은, 삶 안에서 ‘중용’을 잘 실현한다는 말과 다름 아니다.
왜냐하면, ‘불유구’한다는 것은, 나와 너, 개인과 공동체 따위의 사이에서, 치우침 없는 일상으로서의 ‘중용’을 실천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누구나 ‘공자’와 같은 삶을 살아낼 수는 없으며, 또 굳이 그러할 필요도 없다. 어차피 각 인간존재의 삶은 각자의 몫이며, 각자의 것일 따름이다. 어쨌거나 ‘공자’ 이후로 ‘공자’와 같은 삶을 살아낸 자는 전무하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만큼 ‘종심소욕불유구’는 이르기 어려운 경지인 탓이다. 어쩌면 그래서 ‘자사’는 ‘중용’을 찬술하였던 것이다.

‘중용’의 치우침 없는 일상을 실현한다는 것은, 곧 ‘종심소욕불유구’를 실천한다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예컨대, 그렇게 ‘종심소욕불유구’에 근접하는 ‘중용’의 가장 극단적인 실현으로서, 삶의 욕망과 죽음의 욕망 사이의 ‘중용’을 말할 수 있다. 서양의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트’는, 이를 에로스(Eros)와 타나토스(Thanatos) 사이의 중화(中和)라고 했다.
자기보존적인 본능과 성적 본능을 합한 삶의 본능이, 곧 에로스다. 그리고 공격적인 본능들로서 구성된 죽음의 본능이, 곧 타나토스다.
삶의 본능에서 성격발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성 본능이고, 이것에 내재하는 정신적 에너지가 바로 리비도(libodo)다. 이러한 삶의 본능은 생명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며,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고 종족의 번창을 가져오도록 한다.
반면에, 죽음의 본능은 파괴의 본능이라고도 한다. 이는 생물체가 무생물로 환원하려는 본능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러한 파괴적 에너지가 바로 모르티도(mortido)다.
그래서 인간은 스스로 사멸하고, 살아있는 동안에도 쉼 없이 자신을 파괴하고 처벌하며, 타인이나 환경마저도 파괴시키려고 서로 싸우며 공격하는 행동을 한다. 대표적인 것은, 말할 나위 없이 전쟁일 것이다.
삶의 과정 안에서, 이러한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은 서로 중화를 이루기도 하고, 서로 대체되기도 한다. 그러할 때, 서로 중화를 이룬다는 것은, 곧 ‘중용’을 실현한다는 의미와 별반 다르지 않다.

우리는 쉬이 삶은 무작정 좋은 것이고, 죽음은 무조건 나쁜 것이라는 식으로 단정해버리고는 한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지금 여기’의 현실세계에서 인간존재가 실현할 수 있는 가장 궁극한 ‘중용’은, 모름지기 삶과 죽음의 ‘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삶도 무작정 좋은 것만은 아니며, 죽음도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할 때, 삶은 더욱 삶다워지고, 죽음은 더욱 죽음다워질 수 있을 것이다. 삶이란 무작정 좋다고 하기엔 너무나 예술적이고, 죽음이란 무조건 나쁘다고 하기엔 지극히 미학적이다. 그래서 ‘중용’이 요구되는 것이다. 삶과 죽음의 ‘중용’ 말이다.

인간존재의 삶이란, 제아무리 제 멋에 겨워 떠들어대며 으스댄들, 유학자이면서도 ‘공자’와 ‘맹자’를 조롱하며 비판했던 이지(李贄, 卓吾, 1527~1602)의 표현처럼, 결국은 고작 ‘한 마리 길들여진 개’의 신세에 불과한 듯하다.
‘이탁오(李卓吾)’는 자기가 쓴 책의 제목을, ‘불살라버려야 할 책(焚書)’이라고 지은 인물이다. 그러한 사실만으로도, 그의 삶이 얼마나 치열한 것이었는지 능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분서’에서 ‘이탁오’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어릴 적부터 성인의 가르침을 배웠지만, 정작 그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 한다. 그리고 ‘공자’를 존경하지만, 정작 ‘공자’의 어떤 면이 존경할 만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이는 난쟁이가 사람들 틈에 섞여 연극을 구경하면서, 앞의 사람들이 잘 한다며 소리를 지르면 덩달아 소리를 지르는 것과 같다.”
또 이런 말도 한다.
“그림자를 보고서 개가 짖어대기 시작하니, 곁에 있는 개들도 아무런 전후사정을 알지 못 한 채 무작정 짖어대기 시작한다. 그림자에 놀라서 짖어대는 개를 따라 짖어대는 개들과 나는 전혀 다를 바가 없다.”
중국문명 안에서 ‘이탁오’는, 유학자로서 ‘공자’를 조롱하고 또한 ‘맹자’를 공격하고 나아가 ‘주자’마저도 철저히 비판했던, 거의 유일한 사상가이다.
그런데 그런 ‘이탁오’야말로, ‘공자’ 이후 독존유술(獨存儒術)쯤을 내세우며, 유가철학을 한갓 통치적 이데올로기로서나 이용하려는 집단권력에 의해 줄곧 왜곡되고 오염되어 가는, 유학(儒學) 자체의 ‘중용’을 처절하게 실천하려고 했던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철학을 통치적 이데올로기로 삼아서 독재하게 될 때, 서민대중들의 고통은 실로 극심한 것이다. 예컨대, 그러한 방식으로 500여 년을 통치했던 역사가 바로 ‘조선왕조’다.
그런데 엄밀히 말한다면, ‘조선왕조’의 왕정(王政)은 대체로 사대부(士大夫)들이 주도하는 권력체제였다. 대표적인 사대부 세력으로서 17세기 말엽, ‘숙종’ 초기에 부각되기 시작한 ‘노론(老論)’을 특별히 거론할 수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근대사는 물론이며, 현대사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세력이기 때문이다.
특히, ‘노론’의 마지막 당수가 ‘이완용(李完用)’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왕조 말기에 나라를 팔아먹은 매국노가 그 세력의 당수였다는 것은, 조선의 사대부라는 세력집단의 정체성을 엿보게 하는 지극히 자극적인 사례라고 할 것이다.
물론 사대부들 전부가 그러했던 것은 아니다. ‘이완용’이 나라를 팔아먹는 순간에, 지역에서 의병항쟁을 하거나, 먼 이국에서 목숨을 걸고 독립운동을 한 사대부도 분명히 존재했기 때문이다.

21세기 민주정(民主政)의 시대를 살아내는 현대인인 탓에, ‘조선왕조’라는 체제 내에서 서민대중에게 가해지는 고통이 잘 감각되지 않는다면, 아마도 현재에 이르도록 북한에서 자행되고 있는 현대식 세습왕조의 상황을 상상해 본다면, 다소 근접하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굳이 필자가, ‘조선왕조’를 북한과 비유하는 까닭은, 현재 북한의 국호가 ‘조선 인민 민주주의공화국(朝鮮 人民 民主主義共和國)’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한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남한의 국호인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대한’은 과거의 ‘대한제국(大韓帝國)’에서 취했고, ‘민국’은 ‘중화민국(中華民國)’에서 취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 것처럼, 북한은 국호를 ‘조선왕조’에서 취한 것이다.
그런데 남한이나 북한의 국호 모두 그다지 그럴 듯한 것은 되지 못 한다. ‘조선’이라는 국호는 말할 나위 없으며, ‘대한’이나 ‘민국’이라는 것도 그 이면에 얽힌 역사는, 우리 것이므로 무작정 자랑스럽다고만 하기엔 너무도 깊은 치욕과 회한이 서려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하튼, ‘이탁오’는 그렇게 한갓 통치적 이데올로기로나 일그러져버린 유학사상을 비판했던 것이다.
‘종심소욕불유구’는 물론이며 ‘중용’ 또한, ‘이탁오’처럼 자기의 원초적인 생존적 토대마저도 부정하고 거부해버리는 치열함이 없고서는, 결코 그 실제적인 실현을 기대할 수 없는 것임이 자명하다.
하지만 설령 ‘공자’나 ‘자사’처럼 살아 내거나 ‘이탁오’처럼 살아낼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삶의 끝 날까지 ‘중용’을 지향하며 최선을 다하려는 마음이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현실세계의 서민대중으로서 그나마 이룰 수 있는 참으로 진솔하고 소중한 ‘중용’일 것이다.

구매가격 : 3,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