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15회 116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15회 116회의 한문 및 한글번역 전마가 앞에 상실하여 강유가 땅위에 넘어졌다. 楊欣撥回馬來殺姜維。 양흔발회마래살강유. 양흔이 말을 되돌려 강유를 습격했다. 維躍起身,一槍刺去,正中楊欣馬腦。 유약기신 일창자거 정중양흔마뇌. 강유가 뛰어 몸을 일으켜 한 창으로 찌르니 바로 양흔의 말 두뇌를 적중했다. 背後魏兵驟至,救欣去了。 배후위병취지 구흔거료. 배후에 위나라 병사가 몰려 이르러서 양흔을 구출하고 갔다. 維騎上戰 從(좇을 종 #12091 -총11획 cong)의 원문은 戰(싸울 전 #12093 -총16획 zhan)이다. 馬,欲待追時,忽報後面鄧艾兵到。 유기상전마 욕대추시 홀보후면등애병도. 강유는 말을 타고 싸움말을 놓아서 추격을 기다리다가 갑자기 후면에서 등애 병사가 이름을 보고받았다. 維首尾不能相顧,遂收兵要奪漢中。 유수미불능상고 수수병요탈한중. 강유는 머리와 꼬리가 서로 돌아보지 못하고 곧 병사를 수습하여 한중을 빼앗으려고 했다. 哨馬報說:“雍州刺史諸葛 #32210 已斷了歸路。” 초마보설 옹주자사제갈서이단료귀로. 보초가 보고하였다. “옹주자사인 제갈서가 이미 돌아갈 길을 끊었습니다.” 維乃據山險下寨。 유내거산험하채. 강유는 산이 험함에 근거하여 영채를 세웠다. 魏兵屯於陰平橋頭。 위병둔어음평교두. 위나라 병사는 음평교의 머리에 주둔하였다. 維進退無路,長嘆曰:“天喪我 안연은 나이 서른이 채 못 되어서 공자보다 일찍 죽었고 공자는 슬픔에 못 이겨 “하늘이 나를 버렸다(天喪我)”고 울부짖었다. 也!” 유진퇴무로 장탄왈 천상아야! 강유가 진퇴할 길이 없어서 길게 탄식하여 말했다. “하늘이 나를 죽이려고 함이다!” 副將寧隨曰:“魏兵雖斷陰平橋頭,雍州必然兵少,將軍若從孔函谷 孔函谷 백수하(白水河)와 인접해 있는 계곡의 명칭이다.현재의 감숙성(甘肅省) 주곡(舟曲)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徑取雍州,諸葛 #32210 必撤陰平之兵救雍州,將軍 #21371 引兵奔劍閣守之,則漢中可復矣。” 부장영수왈 위병수단음평교두 옹주필연병소 장군약종공함곡 경취옹주 제갈서필철음평지병구옹주 장군각인병분검각수지 즉한중가복의. 부장인 영수가 말했다. “위나라 병사가 비록 음평다리의 머리를 끊어도 옹주는 반드시 병력이 작으니 장군께서 만약 공함곡을 따라서 곧장 옹주를 취하면 제갈서는 반드시 음평의 병사를 철수하여 옹주를 구하니 장군께서 병사를 인솔하고 검각을 달려가서 지키면 한중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維從之, #21363 發兵入孔函谷,詐取 詐取 = 騙(속일 편 #12218 -총19획 pian)取 남을 속여서 물건(物件)을 뺏음 雍州。 유종지 즉발병입공함곡 사취옹주. 강유가 그의 말을 따라서 병사를 출발하여 공함곡에 들어가서 거짓으로 옹주를 취하였다. 細作報知諸葛 #32210 。 세작보지제갈서. 위나라의 간첩이 제갈서에게 알렸다. #32210 大驚曰:“雍州是吾合守之地, #20504 有疏失 疏失[sh #363 sh #299 ] 1.(소홀히 하여 생긴) 실수. 2.소홀하여 실수하다. 부주의로 잘못하다. ,朝廷必然問罪。” 서대경왈 옹주시오합수지지 당유소실 조정필연문죄. 제갈서가 크게 놀라서 말했다. “옹주는 내가 지키던 땅으로 혹시 사소한 실수가 있다면 조정에서 반드시 죄를 물을 것이다. ” 急撤大兵從南路去救雍州,只留一枝兵守橋頭。 급철대병종남로거구옹주 지류일지병수교두. 제갈서는 급히 대병을 철수하여 남쪽의 길로 옹주를 구원하려고 하며 단지 한 병사만 다리의 머리를 지키게 했다. 姜維入北道,約行三十里,料知魏兵起行,乃勒回兵,後隊作前隊,徑到橋頭,果然魏兵大隊已去,只有些小兵把橋,被維一陣殺散,盡燒其寨柵。 강유입북도 약행삼십리 료지위병기행 내륵회병 후대작전대 경도교두 과연위병대대이거 지유사소병파교 피유일진살산 진소기채책. 강유가 북쪽 길에 들어가서 대략 30리를 가니 위나라 병사가 일어나 감을 알고 병사를 돌리고 후부대가 전부대가 되며 곧장 다리 머리에 이르니 과연 위나라 병사가 대부대가 이미 가고 단지 사소한 병사만 다리를 지키며 강유가 한바탕 습격하여 모두 영채를 불태웠다. 諸葛 #32210 聽知橋頭火起,復引兵回,姜維兵已過半日了,因此不敢追 #36245 。 제갈서청지교두화기 부인병회 강유병이과반일료 인차불감추간. 제갈서는 다리머리가 불이 일어남을 보고 다시 병사를 돌려서 강유의 병사가 이미 반일을 지나서 이로 기인하여 감히 추격하지 못했다. #21371 說姜維引兵過了橋頭,正行之間,前面一軍來到,乃左將軍張翼、右將軍廖化也。 각설강유인병과료교두 정행지간 전면일군래도 내좌장군장익 우장군요화야. 각설하고 강유는 병사를 인솔하고 다리 머리를 지나서 바로 가려는 사이에 전면에서 한 군사가 오니 좌장군인 장익 우장군인 요화였다. 維問之,翼曰:“黃皓聽信師巫 師巫 무당(巫堂) 특히 임금의 측근에 있으면서 그의 자문(咨文)에 응하는 무당을 일컫는 말 之言,不肯發兵。翼聞漢中已危,自起兵來,時陽平關已被鐘會 所取。今聞將軍受困,特來接應。” 유문지 익왈 황호청신사무지언 불긍발병. 익문한중이위 자기병래 시양평관이피종회소취. 금문장군수곤 특래접응. 강유가 물으니 장익이 말했다. “황호가 무당의 말을 믿고 병사를 출발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한중이 이미 위험함을 듣고 스스로 병사를 일으켜 오니 이 때 양평관이 이미 종회에게 탈취당했습니다. 지금 장군께서 곤란함을 받으셔서 특별히 접응하러 왔습니다.” 遂合兵一處,前赴白水關 前赴白水關은 원문에는 없다. 。 수합병일처 전부백수관. 곧 한 곳에 병사를 합쳐서 앞서 백수관에 이르렀다. 化曰:“今四面受敵,糧道不通,不如退守劍閣,再作良圖。” 화왈 금사면수적 양도불통 불여퇴수검각 재작양도. 요화가 말했다. “지금 사면에서 적을 받으니 식량길이 통하지 않으니 검각에 물러나 지키고 다시 좋은 계책을 함만 못합니다.” 維疑慮未決。 유의려미결. 강유는 의심하고 염려하여 결단하지 못했다. 忽報鐘會、鄧艾分兵十餘路殺來。 홀보종회 등애분병십여로쇄래. 갑자기 종회 등애가 병사를 나누어서 10여길로 습격해 왔다. 維欲與翼、化分兵迎之。 유욕여익 화분병영지. 강유가 장익 요화와 병사를 구분하여 맞이하였다. 化曰:“白水地狹路多,非爭戰之所,不如且退去救劍閣可也;若劍閣一失,是 #32085 路矣。” 화왈 백수지협로다 비쟁전지소 불여차퇴거구검각가야. 약검각일실 시절로의. 요화가 말했다. “백수의 땅이 좁고 길이 많아서 전쟁할 땅이 아닙니다. 또 물러나 검각을 구원함이 가능합니다. 만약 검각을 한번 잃으면 길이 끊어집니다.” 維從之,遂引兵來投劍閣。 유종지 수인병래투검각. 강유가 그의 말을 따라서 곧장 병사를 인솔하고 검각에 갔다. 將近關前,忽然鼓角齊鳴,喊聲大起,旌旗遍 #35918 ,一枝軍把住關口。 장근관전 홀연고각제명 함성대기 정기편수 일지군파주관구. 검각관 근처에서 갑자기 북과 뿔피리가 일제히 울리며 함성이 크게 일어나니 정기가 세워지며 한 군사가 관문의 입구를 지켰다. 正是:漢中險峻已無有,劍閣風波又忽生。 정시 한중험준이무유 검각풍파우홀생. 바로 이와 같다.“촉나라는 한중의 험준함이 이미 없으니 검각의 풍파가 또 갑자기 생기다.” 未知何處之兵,且看下文分解。 미지하처지병 차간하문분해. 어떤 곳의 병사인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 문장의 해설을 들어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13회 114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13회 114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예시문 一面令人扮作 扮作[banzuo] …(으)로 분장하다. 가장하다. 魏軍往魏營下書; 일면령인분작위군왕위영하서. 강유는 한편으로 사람을 시켜 위나라 군사로 변장하여 위나라 군영에 편지를 가지고 가게 했다. 一面令人將現有糧車數百輛 #21368 #21368 (풀 떨어지다 사 #12057 -총8획 xie) 了糧米,裝載乾柴茅草引火之物,用 #38738 布 #32617 #32617 (보쌈 가리 연기가 끼다 조 #12153 -총13획 zhao) 之,令傅僉引二千原降魏兵,執打運糧旗號。 일면령인장현유양거수백량사료양미 장재건시모초인화지물 용청포조지 령부첨인이천원항위병 집타운량기호. 한편으로 사람을 시켜 현재 식량 수레 수백대가 쌀을 가지고 가며 수레에는 땔나무와 띠풀등 인화성물건을 싣고 청색 베로 덮어서 부첨을 시켜 2천병사를 인솔하고 원래 항복한 위나라 병사로 하며 식량의 기호를 운반하게 했다. 維 #21371 與夏侯 #38712 各引一軍,去山谷中埋伏。 유각여하후패각인일군 거산곡중매복. 강유는 하후패와 각자 한 군사를 인솔하고 산골짜기에 가서 매복하였다. 令蔣舒出斜谷,廖化、張翼俱各進兵,來取祁山。 령장서출사곡 요화 장익구각진병 래취기산. 강유는 장서를 시켜 사곡을 나오게 하며 요화 장익이 각자 병사를 진격하고 기산을 취하게 했다. #21371 說鄧艾得了王瓘書信,大喜,急寫回書 回書 ①회답(回答)하는 편지(便紙) ②또는 편지(便紙)로 회답(回答)함 ,今來人回報。 각설등애득료왕관서신 대희 급사회서 금래인회보. 각설하고 등애는 왕관의 서신을 얻고 크게 기뻐서 급히 회신을 쓰고 지금 온 사람에게 보고를 하라고 했다. 至八月十五日,鄧艾引五萬精兵徑往 #22748 山谷中來,遠遠使人憑高眺望 眺(바라볼 조 #12140 -총11획 tiao) 探(찾을 탐 #12095 -총11획 tan)의 원문은 望(바랄 망 #12105 -총11획 wang)이다. 眺望 ①널리 바라봄 ②또는 바라다 보이는 경치(景致) ,只見無數糧車,接連不斷,從山凹中而行。 지팔월십오일 등애인오만정병경왕담산곡중래 원원사인빙고조망 지견무수양거 연접부단 종산요중이행. 8월 15일에 이르러서 등애는 5만명의 정병을 인솔하고 산골짜기에 가서 멀리 높은 곳에 의지하여 탐지하니 단지 무수한 식량 수레가 연접함이 끊이지 않으니 산의 오목한 곳으로 감을 보았다. 艾勒馬望之,果然皆是魏兵。 애늑마망지 과연개시위병. 등애가 말을 멈추고 보니 과연 모두 위나라 병사였다. 左右曰:“天已昏暮 昏暮 해가 진 뒤로 껌껌하기 전까지의 어둑어둑 하여지는 어둠. 늙어가는 판. 늙을 무렵 ,可速接應王瓘出谷口。” 좌우왈 천이혼모 가속접응왕관출곡구. 좌우에서 말했다. “날이 이미 저물어 어두우니 빨리 왕관과 연접하게 골짜기를 나올만 합니다.” 艾曰:“前面山勢掩映 掩(가릴 엄 #12095 -총11획 y #462 n)映(비출 영 #12103 -총9획 ying)[y #462 nying] 두 사물이 서로 어울려 돋보이다. 막아 가리거나 그늘지게 함 , #20504 有伏兵,急難退步;只可在此等候。” 애왈 전면산세엄영 당유복병 급난퇴보. 지가재차등후. 등애가 말했다. “전면에 산세가 그림자가 있고 혹시 복병이 있으면 급히 물러나기 어렵다. 단지 이곳에서 살펴보자.” 正言間,忽兩騎馬驟至,報曰:“王將軍因將糧草過界,背後人馬 #36245 來,望早救應。” 정언간 홀양기마취지 보왈 왕장군인장량초과계 배후인마간래 망조구응. 바로 말하는 사이에 갑자기 두 기마가 급히 와서 보고하였다. “왕관 장군은 식량과 풀을 싣고 경계를 지나다 배후의 인마가 추격하여 일찍 구원을 응하길 바랍니다.” 艾大驚,急催兵前進。 애대경 급최병전진. 등애가 크게 놀라서 급히 병사를 전진하게 재촉하였다. 時値初更,月明如晝,只聽得山後 #21558 喊,艾只道王瓘在山後 #24285 殺。 시치초경 월명여주 지청득산후눌함 애지도왕관재산후시살. 때가 마침 초경[오후 7시경에서 9시]에 해당해 달이 대낮처럼 밝고 단지 산배후에 함성이 들리니 등애는 단지 왕관이 산후에서 습격한다고 말했다. 徑奔過山後時,忽樹林後一彪軍撞出,爲首蜀將傅僉,縱馬大叫曰:“鄧艾匹夫!已中吾主將之計! 何不早早下馬受死!” 경분과산후시 홀수림후일표군당출 위수촉장부첨 종마대규왈 등애필부! 이중오주장지계 하부조조하마수사? 곧장 달려 산의 뒤를 지나가니 갑자기 숲뒤에서 한 군사가 충돌해 나오니 머리의 촉나라 장수 부첨은 말을 달려 크게 소리쳤다. “등애 필부야! 이미 내 주장의 계책에 맞으니 어찌 빨리 말에 내려 죽음을 받지 않는가?” 艾大驚,勒回馬便走。 애대경 늑회마변주. 등애가 크게 놀라서 말을 돌려 곧 달아나려고 했다. 車上火盡着,那火便是號火。 거상화진착 나화변시호화. 수레 위에 불이 모두 붙어서 이 불은 곧 신호의 불이었다. 兩勢下蜀兵盡出,殺得魏兵七斷八續 七斷八續 :q #299 duan b #257 su 【釋義】:①形容散亂,不相照應。②斷接之處甚多。形容十分破爛。 【出處】:《秦 #20006 六國平話》卷中:“應榮聖刀頭引 #33289 三軍喊殺,秦兵敗走,東 #30733 西伐,七斷八續。” ,但聞四下山上只叫:“拿住鄧艾的,賞千金,封萬戶侯!” 양세하촉병진출 살득위병칠단팔속 단문사하산상지규 나주등애적 상천금 봉만호후. 양쪽 기세로 촉나라 병사가 모두 나와서 위나라 병사는 산란되어 7은 끊기고 8은 이어져서 단지 사방의 산위에서 소리가 났다. “등애를 사로잡으면 천금을 상으로 주며 만호후에 봉한다.” #22151 得鄧艾棄甲 #19999 #19999 (갈 던저 버리다 잃다 주 #12032 -총6획 di #363 ) #30420 , #25735 #25735 (닦을 치다 때리다 별 #12095 -총15획 pi #275 pi #283 ) 了坐下馬,雜在步軍之中,爬 爬(긁을 기다 파 #12118 -총8획 pa) 山越嶺而逃。 혁득등애기갑회 별료좌하마 잡재보군지중 파산월령이도. 두려운 등애는 갑옷을 버리고 투구를 던져 버리고 앉은 말에서 내려서 잡다한 보군에 섞여서 산을 기어올라서 고개를 건너서 도망쳤다. 姜維、夏侯 #38712 只望馬上爲首的徑來擒捉,不想鄧艾步行走脫。 강유 하후패지망마상위수적경래금착 불상등애보행주탈. 강유 하후패는 단지 말위에서 머리에서 곧장 사로잡혀서 등애가 걸음으로 달아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維領得勝兵去接王瓘糧車。 유령득승병거접왕관양거. 강유는 승리한 병사를 거느리고서 왕관의 식량 수레를 접하러 갔다. #21371 說王瓘密約鄧艾,先期將糧草車仗,整備停當,專候 #33289 事。 각설왕관밀약등애 선기장양초거장 정비정당 전후거사. 각설하고 왕관은 등애와 밀약해서 먼저 식량과 풀의 수레를 정비하며 오로지 거사함을 기다렸다. 忽有心腹人報:“事已泄漏,鄧將軍大敗,不知性命如何。” 홀유심복인보 사이설누 등장군대패 뷔성명여하. 갑자기 심복 사람이 보고하여 말했다. “일이 이미 누설되어 등애 장군이 크게 패배하니 생명이 어떠한지 알지 못합니다.” 瓘大驚,令人哨探,回報三路兵圍殺將來,背後又見塵頭大起,四下無路。 관대경 령인초탐 회보삼로병위살장래 배후우견진두대기 사하무로. 왕관이 크게 놀라서 사람을 시켜 탐색하게 하며3길로 병사가 포위한다고 하니 배후에 또한 먼지가 크게 일어남을 보며 사방에 길이 없었다. 瓘叱左右令放火,盡燒糧草車輛 輛(수레 량{양} #12190 -총15획 liang) 。 관질좌우령방화 진소양초거량. 왕관이 좌우를 꾸짖어 방화하게 하며 모두 식량과 풀의 수레를 태우게 했다. 一 #38670 時,火光突起,烈 #29124 騰 火燒의 원문은 #29124 (불 댕길 염 #12117 -총16획 yan)騰(오를 등 #12218 -총20획 teng)이다. 空。 일삽시 화광돌기 열염등공. 삽시간에 불이 갑자기 일어나며 맹렬한 불이 공중을 태워 올라갔다. 瓘大叫曰:“事已急矣!汝等宜死戰!” 관대규왈 사이급의! 여등의사전. 크게 부르짖었다. “일이 이미 급하다! 너희들은 죽게 싸우라.” 乃提兵望西殺出。 내제병망서살출. 왕관은 병사를 들어서 서쪽을 바라보고 나왔다. 背後姜維三路追 #36245 。 배후강유삼로추간. 배후에서 강유가 3길로 추격하여 왔다. 維只道王瓘捨命撞回魏國,不想反殺入漢中而去。 유지도왕관사명당회위국 불상반살입한중이거. 강유는 단지 왕관이 생명을 버려 위나라로 돌아감을 말하나 생각하지 않게 반대로 한중에 들어가 버렸다. 因兵少,只恐追兵 #36245 上,遂將棧道 棧(잔도 飛階 잔 #12106 -총12획 zhan)道 험한 산의 낭떠러지와 낭떠러지 사이에 다리를 놓듯이 하여 낸 길 #20006 各關隘盡皆燒 #29164 #27584 (헐 훼 #12110 -총13획 hu #464 )의 원문은 #29164 (불 태우다 화재 훼 #12117 -총17획 hu #464 )이다. 。 인병소 지공추병간상 수장잔도병각관애진개소훼. 왕관은 병사가 적어서 단지 쫓는 병사가 추격할까 두려워서 잔도와 각 관문을 모두 다 태우게 했다. 姜維恐漢中有失,遂不追鄧艾,提兵連夜抄小路來追殺王瓘。 강유공한중유실 수불추등애 제병연야초소로래추살왕관. 강유는 한중이 상실될까 두려워서 곧 등애를 추격하지 않고 병사를 들어 야간에 소로로 왕관을 죽이러 갔다. 瓘被四面蜀兵攻擊,投黑龍江而死。 관피사면촉병공격 트흑룡강이사. 왕관은 사면에 촉나라 병사가 공격을 받자 흑룡강에 투신하여 죽었다. 餘兵盡被姜維坑之。 여병진피강유갱지. 위나라의 나머지 병사는 모두 강유에게 매장을 당했다. 維雖然勝了鄧艾, #21371 折了許多糧車,又 #27584 了棧道,乃引兵還漢中。 유수연승료등애 각절료허다양거 우훼료잔도 내인병환한중. 강유가 비록 등애를 이겨도 허다한 식량수레를 꺽이며 또 잔도가 훼손되어 병사를 인솔하고 한중에 돌아갔다. 鄧艾引部下敗兵,逃回祁山寨內,上表請罪,自貶其職。 등애인부하패병 도회기산채내 상표청죄 자폄기직. 등애는 부하인 패잔병을 인솔하고 기산의 영채안에 도망가 돌아와서 표를 올려 죄를 청하며 스스로 직책을 폄하하였다. 司馬昭見艾數有大功,不忍貶之,復加厚賜 厚賜 ①물건(物件) 따위를 후하게 내려 줌 ②남이 자기(自己)에게 무엇을 줌을 높이어 하는 말 。 사마소견애수유대공 불인폄지 부가후사. 사마소는 등애가 자주 대공이 있음을 보고 폄하하게 하지 않고 다시 두텁게 하사하였다. 艾將原賜財物,盡分給被害將士之家。 애장원사재물 진분급피해장사지가. 등애는 원래 하사받은 재물을 모두 피해를 받은 장사의 집에 나눠주었다. 昭恐蜀兵又出,遂添兵五萬,與艾守禦。 소공촉병우출 수첨병오만 여애수어. 사마소는 촉나라 병사가 또 나올까 두려워서 곧 병사 5만을 더하여 등애와 지키게 했다. 姜維連夜修了棧道,又議出師 出師 出兵 。 강유연야수료잔도 우의출사. 강유는 연달아 밤에 잔도를 수리하고 또 군사를 냄을 논의하였다. 正是:連修棧道兵連出,不伐中原死不休。 정시 연수잔도병연출 불벌중원사불휴. 바로 이와 같다. ‘강유는 연달아 수리된 잔도로 병사를 연달아 나오고 중원을 정벌함에 죽어도 쉬지 않는다.’ 未知勝負如何,且看下文分解。 미지승부여하 차간하문분해. 승부가 어떠할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 문장 부분의 해석을 들어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의 삼국지연의 111회 112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의 삼국지연의 111회 112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예시문 붕간상거도대감 부첨투신회고 향이붕면문지일간 타득안주병출 사어마하. 이붕이 칼을 높게 들고 베려고 하는데 부첨은 몸을 훔쳐 돌아보니 이붕을 향해서 단지 한 간을 눈알이 함께 나오며 말아래서 죽었다. 王 #30495 被蜀軍亂槍刺死。 왕진피촉군난창자사. 왕진은 촉나라 군사에게 어지럽게 창을 찔려 죽었다. 姜維驅兵大進。 강유구병대진. 강유는 병사를 몰아 크게 진격하였다. 司馬望棄寨入城,閉門不出。 사마망기채입성 폐문불출. 사마망은 영채를 버리고 성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나오지 않았다. 維下令曰:“軍士今夜且歇一宿,以養銳氣。來日須要入城。” 유하령왈 군사금야차헐일숙 이양예기. 내일수요입성. 강유는 명령을 내렸다. “군사는 지금 밤에 또 하룻밤을 쉬고 예기를 기르라. 내일 성에 들어가겠다.” 次日平明,蜀兵爭先大進,一擁至城下,用火箭火砲打入城中。 차일평명 촉병쟁선대진 일옹지성하 용화전화포타입성중. 다음날 새벽에 촉나라 병사는 선봉을 다투어 크게 진격하며 성의 아래를 한번 둘러싸니 불화살을 사용하고 화포로 성안을 들어가게 때렸다. 城上草屋一派燒着,魏兵自亂。 성상초옥일파소착 위병자란. 성위에 풀집이 태워지며 위나라 병사가 스스로 혼란하였다. 維又令人取乾柴堆滿城下,一齊放火,烈焰 #29124 (불 댕길 염 #12117 -총16획 yan)의 원문은 焰(불 댕길 염 #12117 -총12획 yan)이다. 沖天。 유우령인취건시퇴만성하 일제방화 열염충천. 강유가 또 사람을 시켜 마른 땔나무를 성아래로 가득히 쌓아서 일제히 불을 지르니 맹렬한 불기운이 하늘을 상충하였다. 城已將陷,魏兵在城內 #22158 #21845 #22158 (울부짖을 호 #12061 -총17획 hao) #21845 (수다할 울 도 #12061 -총11획 tao)[haotao] 크게[엉엉] 소리내어 울다. 痛哭,聲聞四野。 성이장함 위병재성내호도통곡 성문사야. 성이 이미 함락되려는데 위나라 병사가 안에서 통곡하며 소리가 사방의 들에서 들렸다. 正攻打之間,忽然背後喊聲大震。 정공타지간 홀연배후함성대진. 바로 공격하는 사이에 갑자기 배후에서 함성이 크게 울렸다. 維勒馬回看,只見魏兵鼓 #22122 搖旗,浩浩浩浩 1.[형용사] 성대하다. 도도하다. 浩浩江水奔流不息。 도도한 강물이 끊임없이 세차게 흐른다. 2.[형용사] 호호하다. 광대하다. 광활하다. 한없이 넓고 크다. 무한하다. 浩浩太空 가없이 넓은 우주 공간. 而來。 유륵마회간 지견위병고조요기 호호이래. 강유는 말을 멈추고 돌아보니 단지 위나라 병사가 북을 치며 기를 흔들고 호탕하게 이름을 보았다. 維遂令後隊爲前隊,自立於門旗下候之。 유수령후대위전대 자립어문기하후지. 강유는 곧 후부대를 전부대로 삼고 스스로 문기의 아래에 서서 살폈다. 只見魏陣中一小將,全裝貫帶,挺槍縱馬而出,約年二十餘歲,面如傅粉 傅粉[fuf #283 n] 분을 바르다. 화장하다. ,脣似抹 #30787 , #21426 聲大叫曰:“認得鄧將軍否!” 지견위진중일소장 전장관대 정창종마이출 약년이십여세 면여부분 순사말주 여성대규왈 인득등장군부? 단지 위나라 진영에 한 소장이 완전히 무장을 하고 띠를 하며 창을 잡고 말을 달려 나오니 대략 나이가 20여세로 얼굴에 분칠을 한듯하며 입술이 주사를 바른듯하고 사나운 소리로 크게 소리쳤다. “어찌 등장군을 알아보겠는가?” 維自思曰:“此必是鄧艾矣。” 유자사왈 차필시등애의. 강유가 스스로 생각하였다. “이는 반드시 등애일 것이다.” 挺槍縱馬來迎。 정창종마래영. 강유는 창을 잡고 말을 달려 맞이하였다. 二人 #25238 #25851 #25238 #25851 ①물건(物件)을 듦 ②정신(精神)을 차려 일어남 ③두타(頭陀) 精神,戰到三四十合,不分勝負。 이인두수정신 전도삼사십합 불분승부. 두 사람이 정신을 차리고 싸움을 30-40합을 하나 승부가 구분되지 않았다. 那小將軍槍法無半點放閒。 나소장군창법무반점방한. 이 소년장군의 창법은 한가롭지 않았다. 維心中自思:“不用此計,安得勝乎?” 유심중자사 불용차계 안득승호? 강유가 마음속으로 스스로 생각하였다. “이 계책을 사용하지 않으면 어찌 승리를 얻겠는가?” 便撥馬望左邊山路中而走。 변발마망좌변산로중이주. 강유는 곧 말을 돌려 좌측 주변의 산길을 바라보고 달아났다. 那小將驟馬追來,維 #25346 掛(걸 괘 #12095 -총11획 gua)의 원문은 #25346 (그림족자 괘 #12095 -총9획 gua)이다. 住了鋼槍,暗取雕弓羽箭射之。 나소장취마추래 유괘주료강창 암취조궁우전사지. 이 소장은 말을 달려 추격해 오니 강유는 강창을 걸어 두고 몰래 조각한 활에 깃털화살로 쏘았다. 那小將眼乖 眼乖(y #462 n #609 u #257 i) 1.眼力好。眼力好。《水滸傳》第七三回:“數內一個莊客相了一回,認出道: 有些像東村頭會粘雀兒的王小二。 ,早已見了,弓弦響處,把身望前一倒,放過羽箭。 나소장안괴 조이견료 궁현향처 파신망전일도 방과우전. 이 소장은 시력이 좋아 일찍 보고 활소리가 울리는 곳에서 몸이 한번 넘어지며 화살을 쏘았다. 維回頭看時,小將已到,挺槍來刺; 유회두간시 소장이도 정창래자. 강유가 머리를 돌려서 보니 소장이 이미 도달하여 창을 잡고 찌르러 왔다. 維一閃,那槍從肋傍邊過,被維挾住。 유일섬 나창종늑방변과 피유협주. 강유가 돌아보니 이 창이 늑골을 따라서 주변을 지나니 강유를 찔렀다. 那小將棄槍,望本陣而走。 나소장기창 망본진이주. 이 소장은 창을 버리고 본부의 진영을 바라보고 달아났다. 維嗟嘆曰:“可惜!可惜 可惜 몹시 아까움 !” 유차탄왈 가석 가석. 강유가 탄식하였다. “애석하다. 몹시 아깝다!” 再撥馬 #36245 來。 재발마간래. 강유는 다시 말을 돌려 추격하였다. 追至陣門前,一將提刀而出曰:“姜維匹夫,勿 #36245 吾兒!鄧艾在此!” 추지진문전 일장제도이출왈 강유필부 물간오아! 등애재차! 추격이 진문앞에 이르니 한 장수가 칼을 잡고 나왔다. “강유 필부야 내 아들을 추격하지 말라! 등애가 이에 있다.” 維大驚。 유대경. 강유는 크게 놀랐다. 原來小將乃艾之子鄧忠也。 원래소장내애지자등충야. 원래 소장은 등애의 아들인 등충이었다. 維暗暗稱奇 稱奇 신기하다고 칭찬함 ; 유암암칭기. 강유는 몰래 기이하다고 칭했다. 欲戰鄧艾,又恐馬乏,乃虛指艾曰:“吾今日識汝父子也。各且收兵,來日決戰。” 욕전등애 우공마핍 내허지애왈 오금일식여부자야. 각차수병 내일결전. 등애와 싸우려다가 또 말이 피곤할까 두려워서 헛손가락질로 등애를 지칭하여 말했다. “나는 금일 네 부자를 인식하였다. 각자 병사를 거두고 내일 결전하자.” 艾見戰場不利,亦勒馬應曰:“ #26082 如此,各自收兵,暗算 暗算 남을 해칠 흉계를 꾸미다. 者非丈夫也。” 애견전장불리 역늑마응왈 기여차 가자수병 암산자비장부야. 등애가 전장이 불리함을 보고 또 말을 멈추고 반응하였다. “이미 이와 같다면 각자 병사를 거두고 몰래 계산하는 자는 장부가 아니다.” 於是兩軍皆退。 어시양군개퇴. 이에 양쪽 군사가 모두 물러났다. 鄧艾據渭水下寨,姜維跨兩山安營。 등애거위수하채 강유과양산안영. 등애는 위수에 근거하여 영채를 세우고 강유는 양족 산을 걸터앉고 영채를 세웠다. 艾見了蜀兵地理,乃作書與司馬望曰:“我等切不可戰,只宜固守。待關中兵至時,蜀兵糧草皆盡,三面攻之,無不勝也。今遣長子鄧忠相助守城。” 애견료촉병지리 내작서여사마망왈 아등절불가전 지의고수. 대관중병지시 촉병양초개진 삼면공지 무불승야. 금견장자등충상조수성. 등애는 촉나라 병사의 지리를 보고 편지글을 사마망에게 썼다. “저희들은 절대 싸우지 않고 단지 지켜야 합니다. 관중의 병사가 이르길 기다려서 촉나라 병사의 식량과 풀이 모두 다함을 기다려서 삼면으로 공격하면 승리하지 않음이 없습니다. 지금 장자인 등충을 보내서 서로 도와 성을 지키십시오.” 一面差人於司馬昭處求救。 일면차인어사마소처구구. 등애는 한편으로 사람을 사마소에게 보내 구원을 요청하였다. #21371 說姜維令人於艾寨中下戰書,約來日大戰,艾佯應 佯應 건성으로 응답함 之。 각설강유령인어애채중하전서 약래일대전 애양응지. 각설하고 강유는 등애의 영채아래에 전쟁편지를 보내서 대략 내일 대전하자고 하니 등애가 거짓으로 반응하였다. 次日五更,維令三軍造飯,平明 평명 ①아침해가 뜨는 시각(時刻). 해가 돋아 밝아올 무렵 ②평이(平易)하고 명석(明晳)함 布陣等候。 차일오경 유령삼군조반 평명포진등후. 다음날 5경[새벽 3시-5시]에 강유는 3군을 시켜 밥을 짓게 하며 새벽에 포진하고 기다렸다. 艾營中偃旗息鼓, #21371 如無人之狀。 애영중언기식고 각여무인지상. 등애의 군영은 기를 눕히고 북을 쉬고 마치 사람이 없는 모습이었다. 維至 #26202 方回。 유지만방회. 강유는 늦게 바로 돌아갔다. 次日又令人下戰書,責以失期之罪。 차일우령인하전서 책이실기지죄. 다음날에 또 사람을 시켜 싸우자는 편지를 보내서 약속을 잃은 죄를 꾸짖었다. 艾以酒食待使,答曰:“微軀 微軀(몸 구 #12189 -총18획 q #363 ) 1. 보잘것없이 천한 몸. 2. 자기의 몸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小疾,有誤相持,明日會戰。” 애이주식대사 답왈 미구소질 유오상지 명일회전. 등애는 술과 음식을 사신에게 대우하고 대답하였다. “제 몸에 약간의 질병이 있어서 잘못 상대할까 염려해 내일 싸웁시다.” 次日,維又引兵來,艾仍前不出。 차일 유우인병래 애잉전불출. 다음날 강유가 또 병사를 인솔하고 오니 등애는 앞에 나오지 않았다. 如此五六番。 여차오육번. 이와 같이 5 6번 했다. 傅僉謂維曰:“此必有謀也,宜防之。” 부첨위유알 차필유모야 의방지. 부첨이 강유에게 말했다. “이는 반드시 음모가 있음이니 그것을 방비해야 합니다.” 維曰:“此必 #25457 #25457 (막을 받다 애 #12095 -총11획 ai) 關中兵到,三面擊我耳。吾今令人持書與東吳孫 #32157 ,使 #20006 力攻之。” 유왈 차필애관중병도 삼면격아이. 오금령인지서여동오손침 사병력공지. 강유가 말했다. “이는 반드시 관중의 병사가 이름을 받아서 3면으로 우리를 공격하려고 함이다. 내가 지금 사람을 시켜 편지를 지니고 동오의 손침을 만나서 힘을 합쳐 공격하게 할 것이다.” 忽探馬報說:“司馬昭攻打壽春,殺了諸葛誕,吳兵皆降。昭班師回洛陽。便欲引兵來救長城。” 홀탐마보설 사마소공타수춘 살료제갈탄 오병개항. 소반사회낙양 변욕인병래구장성. 갑자기 탐지마가 보고하였다. “사마소가 수춘을 공격하고 제갈탄을 죽이고 오나라 병사가 모두 항복했습니다. 사마소는 병사를 돌려 낙양에 돌아갔습니다. 곧 병사를 인솔하여 장성을 구원하려고 온다고 합니다.” 維大驚曰:“今番伐魏,又成 #30059 #39173 矣,不如且回。” 유대경왈 금번벌위 우성획병의 불여차회. 강유가 크게 놀라서 말했다. “금번에 위나라를 정벌함이 또 그림속의 떡이다. 또 돌아감만 못하다.” 正是:已嘆四番難奏績,又嗟五度未成功。 정시 이탄사번난주적 우탄오도미성공. 바로 이와 같았다. ‘이미 한탄하길 4번에 공적을 상주하기 어려우니 또 5번에도 성공을 아직 거두지 못함을 탄식하였다.’ 未知如何退兵,且看下文分解。 미지여하퇴병 차간하문분해. 위나라가 어떻게 병사를 물릴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문장 부분의 해석을 들어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9회 110회
도서정보 : 나관중 번역 튼살 흉터 이미한의원원장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9회 110회 원문 한문 및 한글번역 예시문 각설하고 옹주의 정서장군인 진태는 바로 병사를 일으켜 왕경과 패잔병의 원수를 갚으려다가 곧 연주자사의 등애의 병사가 이르게 되었다. 泰接着,禮畢,艾曰:“今奉大將軍之命,特來助將軍破敵。” 태접착 예필 애왈 금봉대장군지명 특래조장군파적. 진태가 접하고 예의를 끝내자 등애가 말했다. “지금 대장군의 명령을 받들어서 특별히 장군을 도와 적을 깨려고 왔습니다.” 泰問計於鄧艾,艾曰:“ #27950 水得勝,若招羌人之衆,東爭關 #38580 關 #38580 ) 중국 서북변방인 섬서성과 감숙성의 위수(渭水) 연변지역 중심지는 내몽골의 무천진(武川鎭) ,傳檄四郡:此吾兵之大患也。今彼不思如此, #21371 圖狄道城;其城垣堅固,急切難攻,空勞兵費力耳。吾今陳兵於項嶺 項嶺 ① 굵은 목줄기. ② 목. ③要害地(요해지)의 비유 ,然後進兵擊之,蜀兵必敗矣。” 태문계어등애 애왈 조수득승 약초강인지중 동쟁관롱 전격사군. 차오병지대환야. 금피불사여차 각도적도성. 기성원견고 급절난공 공로병비력이. 오금진병어항령 연후진병격지 촉병필패의. 진태가 등애에게 계책을 묻자 등애가 말했다. “조수에서 승리를 얻음은 만약 강의 사람을 불러서 동쪽으로 관롱을 다투며 격문을 네 군에 전합니다. 이는 우리 병사의 큰 근심입니다. 지금 저들이 이를 생각하지 않으면 적도성을 도모합니다. 성 담은 견고하며 급히 공격하기 어려우니 한갓 병사의 힘을 낭비할 뿐입니다. 제가 지금 항령에 병사를 나열한 연후에 병사를 진격하여 습격하면 촉나라 병사는 반드시 패배할 것입니다.” 陳泰曰:“ #30495 妙論也!” 진태왈 진묘론야! 진태가 말했다. “진짜 오묘한 논의요!” 遂先撥二十隊兵,每隊五十人,盡帶旌旗、鼓角、烽火之類,日伏夜行,去狄道城東南高山深谷之中埋伏; 수선발이십대병 매대오십인 진대정기 고각 봉화지류 일복야행 거적도성동남고산심곡지중매복. 곧 먼저 20부대 병사를 출발하고 매번 부대 50명이 모두 정기 북 뿔피리 봉화의 종류를 휴대하며 낮에는 잠복하고 야간에 가서 적도성 동남의 높은 산과 깊은 골짜기 속에서 매복하게 했다. 只待兵來,一齊鳴鼓吹角爲應,夜則 #33289 火放砲以驚之。 지대병래 일제명고취각위응 야즉거화방포이경지. 단지 병사가 오길 기다려서 일제히 북과 뿔피리를 불고 내응하니 야간에는 불을 들어 포를 쏘며 놀라게 했다. 調度已畢,專候蜀兵到來。 조도이필 전후촉병도래. 위나라는 조도를 이미 마치고 오로지 촉나라 병사가 이르길 기다렸다. 於是陳泰、鄧艾,各引二萬兵相繼而進。 어시진태 등애 각인이만병상계이진. 이에 진태 등애가 각자 2만명의 병사를 인솔하고 서로 이어져 진격하였다. #21371 說姜維圍住狄道城,令兵八面攻之,連攻數日不下,心中鬱悶,無計可施。 각설강유위주적도성 령병팔면공지 연공수일불하 심중울민 무계가시. 각설하고 강유는 적도성을 포위하고 병사를 시켜 8면으로 공격하게 하며 연달아 수일동안 공격하여도 함락하지 못하여 마음이 답답하여 시행할 계책이 없었다. 是日黃昏時分,忽三五次流星馬報說: 시일황혼시분 홀삼오차유성마보설. 이날 황혼시간에 갑자기 3~5차례의 유성마가 보고하여 말했다. “有兩路兵來,旗上明書大字:一路是征西將軍陳泰,一路是 #20823 州刺史鄧艾。” 유양로병래 기상명서대자 “두 길로 병사가 오며 기위에 밝은 큰 글자가 있었습니다. 한길은 정서장군 진태이며 한길은 연주자사 등애였습니다.” 維大驚,遂請夏侯 #38712 商議。 유대경 수청하후패상의. 강유가 크게 놀라서 곧 하후패를 청해 상의하였다. #38712 曰:“吾向嘗爲將軍言:鄧艾自幼深明兵法,善曉地理。今領兵到,頗爲勁敵 勁敵 경적(勍敵). 억센 대적. 강적 。” 패왈 오향상위장군언 등애자유심명병법 선효지리. 금령병도 파위경적. 하후패가 말했다. “나는 전에 일찍이 장군을 위해 말을 했습니다. 등애는 어려서부터 병법에 깊고 밝았고 잘 지리를 깨달았습니다. 지금 병사가 도달하니 강적일 것입니다.” 維曰:“彼軍遠來,我休容他住脚,便可擊之。” 유왈 피군원래 아휴용타주각 변가격지. 강유가 말했다. “저들 군사가 멀리 오니 나는 그를 머물게 하며 곧 공격할 것입니다.” 乃留張翼攻城,命夏侯 #38712 引兵迎陳泰。 내류장익공성 명하후패인병영진태. 강유는 장익을 남겨 성을 공격하게 하며 하후패에게 병사를 인솔하고 진태를 맞이하게 했다. 維自引兵來迎鄧艾。 유자인병래영등애. 강유 스스로 병사를 인솔하고 등애를 맞이하였다. 行不到五里,忽然東南一聲砲響,鼓角震地,火光沖天。 행부도오리 홀연동남일성포향 고각진지 화광충천. 행군이 5리가 안되어 갑자기 동남쪽에서 한소리의 포가 울리니 북과 뿔피리가 땅을 진동하며 화광이 충천하였다. 維縱馬看時,只見周圍皆是魏兵旗號。 유종마간시 지견주위개시위병기호. 강유가 말을 놓아 보니 단지 주위가 모두 위나라 병사의 기호였다. 維大驚曰:“中鄧艾之計矣!” 유대경왈 중등애지계의. 강유가 크게 놀라서 말했다. “등애의 계책에 맞았구나!” 遂傳令 #25945 夏侯 #38712 、張翼各棄狄道而退。 수전령교하후패 장익각기적도이퇴. 곧 명령을 전하여 하후패 장익이 각자 적도를 버리고 물러나게 했다. 於是蜀兵皆退於漢中。 어시촉병개퇴어한중. 이에 촉나라 병사는 모두 한중으로 물러났다. 維自斷後,只聽得背後鼓聲不 #32085 ,維退入劍閣 劍閣 중국(中國) 장안에서 촉으로 가는 길인 대검(大劍)ㆍ소검(小劍)의 두 산(山)의 요해(要害) 之時,方知火鼓二十餘處,皆虛設也。 유자단후 지청득배후고성부절 유퇴입검각지시 방지화고이십여처 개허설야. 강유 스스로 뒤를 끊고 단지 배후에 북소리가 끊이지 않음을 듣고 강유는 검각에 물러날 때 바로 불과 북이 20여곳에 남이 모두 헛되게 설치함을 알았다. 維收兵退屯於鍾提。 유수병퇴둔어종제. 강유가 병사를 거두어 종제에 물러나 주둔하였다. 且說後主因姜維有 #27950 西之功,降詔封維爲大將軍。 차설후주인강유유조서지공 강조봉유위대장군. 각설하고 후주는 강유가 조서를 얻은 공로를 원인하여 조서를 내려 강유를 대장군으로 봉했다. 維受了職,上表謝恩畢,再議出師伐魏之策。 유수료직 상표사은필 재의출사벌위지책. 강유가 직책을 받고 표를 올려서 은혜에 감사를 마치고 다시 군사를 내어 위나라를 정벌할 대책을 내었다. 正是:成功不必添蛇足,討賊猶思奮虎威 虎威[h #468 w #275 i] 1.호랑이의 위풍[위세]. 2.장수의 위풍[위엄]. 3.늠름한 기개 。 정시 성공불필사첨족 토적유사분호위. 바로이와 같다. ‘성공은 반드시 사족을 더함이 아니며 적을 토벌함에 호랑이와 같은 위엄을 떨칠 생각을 하다.’ 不知此番北伐如何,且看下文分解。 부지차번북벌여하 차간하문분해. 이번에 북벌이 어떠할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 문장 부분의 해설을 들어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7회 108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胤曰:“朝廷爲太傅軍回,不曾面敍,故特設宴相召,兼議大事。太傅雖感貴恙,還當勉 #24375 一行。” 윤왈 조정위태부군회 부증면서 고특설연상소 겸의대사. 태부수감귀양 환당면강일행. 등윤이 말했다. “조정에 태부께서 군에서 돌아와도 아직 대면하지 못하니 그래서 특별히 잔치를 열어서 서로 초대하며 겸하여 대사를 논의합니다. 태부께서 비록 병에 느껴져도 다시 강제로 한번 가십시오.” 恪從其言,遂同孫峻、 #28373 胤入宮,張約亦隨入。 각종기언 수동손준 등윤입궁 장약역수입. 제갈각이 그의 말을 따라서 곧 손준 등윤과 함께 궁궐에 들어가니 장약도 또한 따라 들어갔다. 恪見吳主孫亮,施禮畢,就席而坐。 각견오주손량 시례필 취석이좌. 제갈각은 오나라 군주인 손량을 보고 예의를 베풀고 자리에서 앉았다. 亮命進酒,恪心疑,辭曰:“病軀不勝盃酌。” 량명진주 각심의 사왈 병구불승배작. 손량이 술을 내오라고 하니 제갈각의 마음이 의심되어 사양하여 말했다. “병든 몸으로 술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孫峻曰:“太傅府中常服藥酒,可取 #39154 乎?” 손준왈 태부부중상복약주 가취음호? 손준이 말했다. “태부께서 집에서 항상 약주를 드신다니 술을 가져와 마실수 있겠습니까?” 恪曰:“可也。” 각왈 가야. 제갈각이 말했다. “가능합니다.” 遂令從人回府取自製藥酒到,恪方 #32404 放心 #39154 之。 수령종인회부취자제약주도 각방재방심음지. 제갈각은 곧 시종을 시켜 집에 돌아가서 스스로 만든 약주를 가져오게 하며 제갈각은 바로 방심하고 술을 마셨다. 酒至數巡,吳主孫亮託事先起。 주지수순 오주손량탁사선기. 술이 몇잔 돌고 오나라 군주 손량이 일을 핑계로 먼저 일어났다. 孫峻下殿,脫了長服,着短衣,內披環甲 環甲 바탕이 되는 옷에 쇠고리를 빽빽하게 박아 붙인 갑옷 ,手提利刃,上殿大呼曰:“天子有詔誅逆賊!” 손준하전 탈료장복 착단의 내피환갑 수제이인 상전대호왈 천자유조주역적! 손준이 대전을 내려가고 긴 복장을 벗고 짧은 옷을 입고 안에 갑옷을 입고 손에 날카로운 칼을 들고 대전에 올라서 크게 소리쳤다. “천자께서 조서로 역적을 베라고 하였다!” 諸葛恪大驚,擲杯於地,欲拔劍迎之,頭已落地。 제갈각대경 척배어지 욕발검영지 두이락지. 제갈각이 크게 놀라서 땅에 잔을 떨어뜨리니 검을 뽑아서 맞이하려고 하나 머리가 이미 땅에 떨어졌다. 張約見峻斬恪,揮刀來迎。 장약견준참각 휘도래영. 장약이 손준이 제갈각을 벰을 보고 칼을 휘두르며 와서 맞이하였다. 峻急閃過,刀尖傷其左指。 준급섬과 도첨상기좌지. 손준이 급히 돌리다가 칼의 뾰쪽한 것으로 좌측 손가락을 손상시켰다. 峻轉身一刀, #30733 中張約右臂。 준전신일도 감중장약우비. 손준이 몸을 돌려 한칼로 장약의 우측 팔뚝을 베었다. 武士一齊擁出, #30733 倒張約, #21057 #21057 (자를 타 #12049 -총8획 duo) 爲肉泥。 무사일제옹출 감도장약 잉위육니. 무사가 일제히 나오니 장약을 베고 넘어뜨려서 썰어 살덩어리로 만들었다. 孫峻一面令武士收恪家眷,一面令人將張約 #20006 諸葛恪屍首,用蘆席包 #35065 ,以小車載出,棄於城南門外石子崗建業의 북쪽에는 현무호(玄武湖). 서쪽에는 장강 기슭의 연자기(燕子磯). 남쪽에는 석자강(石子崗)이라는 명소가 있어서 다섯 개의 언덕이 연이어지고 복숭아나 자두 꽃이 흐드러지게 피며 작은 새들이 노래함 亂塚坑內。 손준일면령무사수각가권 일면령인장장약병제갈각시수 용노석포과 이소거재출 기어성남문외석자강난총갱내. 손준이 한편으로 무사를 시켜 제갈각의 가속을 수습하게 하며 한편으로 사람을 시켜 장약과 제갈각의 시체와 머리를 갈대자리로 싸서 작은 수레로 싣고 나가며 성남문밖의 석자강의 무덤구덩이 안에 버렸다. #21371 說諸葛恪之妻正在房中 心神恍惚,動止不寧,忽一婢女入房。 각설제갈각지처정재방중 심신황홀 동지불녕 홀일비녀입방. 각설하고 제갈각의 처가 바로 방중에서 마음과 정신이 황홀하여 동작이 편안치 않으니 갑자기 한 시녀가 방에 들어왔다. 恪妻問曰:“汝遍身如何血臭?” 각처문왈 여편신여하혈취? 제갈각의 처가 물었다. “너는 온 몸에서 어찌 피 비린내가 나는가?” 其婢忽然反目切齒,飛身跳躍,頭撞屋樑,口中大叫:“吾乃諸葛恪也!被奸賊孫峻謀殺!” 기비홀연반목절치 비신도약 두당옥량 구중대규 오내제갈각야! 피간적손준모살! 시비가 갑자기 눈을 뒤집고 이를 갈고 몸을 날려 뛰며 머리로 집 대들보를 부딪치며 입으로 크게 소리쳤다. “내가 제갈각이다! 간사한 도적 손준이 음모로 날 살해하였다!” 恪合家老幼,驚惶 경황 놀라고 두려워 어리둥절하며 허둥지둥함 號哭。 각합가노유 경황호곡. 제갈각의 집의 노인과 어린이는 놀라고 당황하여 통곡하였다. 不一時,軍馬至,圍住府第 府第[f #468 di] (귀족·관료 등의) 관저. 관사. 저택. =府邸(f #468 d #464 ) ,將恪全家老幼,俱縛至市曹斬首。 불일시 군마지 위주부제 장각전가노유 구박지시조참수. 2시간이 안되어 군마가 이르러 집을 포위하니 제갈각의 온 집안의 노인과 아이가 모두 묶여서 시장에서 참수되었다. 時吳建興二年冬十月也。 시오건흥이년동시월야. 이 때 오나라 건흥 2년(253년 癸酉) 겨울 음력 10월이었다. 昔諸葛瑾存日,見恪聰明盡顯於外,嘆曰:“此子非保家之主也!” 석제갈근존일 견각총명진현어외 탄왈 차자비보가지주야! 예전에 제갈근이 존재할 때 제갈각의 총명이 밖에 다 드러나서 한탄하여 말했다. “이 아이는 집의 주인을 보장할 수 없다.” 又魏光祿大夫張緝 緝(낳을 집 #12151 -총15획 j #299 q #299 ) ,曾對司馬師曰:“諸葛恪不久死矣。” 우위광록대부장집 증대사마사왈 제갈각불구사의. 또 위나라의 광록대부인 장집은 일찍이 사마사에게 대하여 말했다. “제갈각은 오래지 않아 죽을 것입니다.” 師問其故,緝曰:“威震 威震[w #275 izhen] 위협하다. 으르다. 협박하다. 윽박지르다. 엄포 놓다. 其主,何能久乎?” 사문기고 집왈 위진기주 하능구호? 사마사가 이유를 묻자 장집이 대답했다. “위엄이 군주를 진동하니 어찌 오래가겠습니까?” 至此果中其言。 지차과중기언. 이에 이르니 과연 그 말이 적중하였다. #21371 說孫峻殺了諸葛恪,吳主孫亮封峻爲丞相、大將軍、富春侯,總督中外諸軍事。 각설손준살료제갈각 오주손량봉준위승상 대장군 부춘후 총독중외제군사. 각설하고 손준은 제갈각을 죽이고 오나라 군주인 손량은 손준을 승상 대장군 부춘후 안팎의 군사를 총감독을 하게 했다. 自此權柄 權柄 권력(權力)으로써 사람을 마음대로 좌우(左右)할 수 있는 힘 盡歸孫峻矣。 자차권병진귀손준의. 이로부터 권력의 자루가 모두 손준에게 돌아갔다. 且說姜維在成都,接得諸葛恪書,欲求相助伐魏,遂入朝,奏準後主,復起大兵,北伐中原。 차설강유재성도 접득제갈각서 욕구상조벌위 수입조 주준후주 부기대병 북벌중원. 각설하고 강유는 성도에 있어서 제갈각의 글을 접하여 서로 도와서 위나라를 정벌하려고 곧 조정에 들어가서 후주에게 상주하며 다시 대병을 일으키어 중원을 북벌하려고 하였다. 正是:一度興師未奏績,兩番討賊欲成功。 정시 일탁흥사미주적 양번토적욕성공. 바로 이와 같았다. ‘한편으로는 군사를 일으켜서 아직 공적을 상주하지 못하니 두 번 적을 토벌하여 성공하려고 한다.’ 未知勝負如何,且看下文分解。 미지승부여하 차간하문분해. 승부가 어떠한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 문장 부분의 해석을 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5회 106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5회 106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不一日,曹爽請魏主曹芳去謁高平陵,祭祀先帝。 불일일 조상청위주조방거알고평릉 제사선제. 하루가 안되어 조상은 위나라 군주인 조방에게 고평릉에 간다고 하며 선제에게 제사지낸다고 했다. 大小官僚,皆隨駕出城。 대소관료 개수가출성. 대소의 관료는 모두 어가를 따라서 성을 나왔다. 爽引三弟, #24182 心腹人何晏等,及御林軍護駕正行,司農桓范叩馬諫曰:“主公總典禁兵,不宜兄弟皆出。 #20504 城中有變,如之奈何?” 상인삼제 병심복인하안등 급어림군호가정행 사농환범고마간왈 주공총전금병 불의형제개출. 당성중유변 여지내하? 조상은 세 아우를 인솔하고 심복인 하안등에게 어림군에게 어가를 보호하고 가게 하며 바로 가려는데 사농인 환범은 말을 두드리고 간언하였다. “주공께서 금병을 총괄하여 형제가 모두 나감이 마땅치 않습니다. 혹시 성안에 변고가 있으면 어찌합니까?” 爽以鞭指而叱之曰:“誰敢爲變!再勿亂言!” 상이편지이질지왈 수감위변? 재물난언! 조상이 채찍으로 가리켜 꾸짖으며 말했다. “누가 감히 변고를 일으키는가? 다시 어지러운 말을 말라!” 當日,司馬懿見爽出城,心中大喜, #21363 起舊日手下破敵之人, #24182 家將數十,引二子上馬,徑來謀殺曹爽。 당일 사마의견상출성 심중대희 즉기구일수하파적지인 병가장수십 인이자상마 경래모살조상. 당일에 사마의는 조상이 성을 나감을 보고 마음이 크게 기뻐서 예전의 수하의 적을 깬 사람을 일으켜서 집안 장수 십수명으로 두 아들을 인솔하고 말에 올라서 곧장 조상을 죽일 음모를 하러 왔다. 正是:閉戶忽然有起色,驅兵自此逞 逞(굳셀 령{영} #12193 -총11획 ch #283 ng) 雄風 雄風 영웅 혹은 수컷의 기상 。 정시 폐호홀연유기색 구병자차령웅풍. 바로 이와 같다. ‘사마의가 지게문을 닫고 갑자기 일어난 기색이며 병사를 몰아서 이로부터 영웅의 풍모를 날리다.’ 未知曹爽性命如何,且看下文分解。 미지조상성명여하 차간하문분해. 조상의 생명이 어찌할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문장부분의 해설을 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3회 104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3회 104회 한문 원문 및 한글 번역 해설 예시문 懿自引軍當先,追到山 #33139 下,望見蜀兵不遠,乃奮力追 #36245 。 의자인군당선 추도산각하 망견촉병불원 내분력추간. 사마의 스스로 군사를 인솔하고 앞에 가서 산다리에 추격을 하니 촉나라 병영이 멀지 않음을 보고 힘을 다하여 추격하였다. 忽然山後一聲砲響,喊聲大震,只見蜀兵俱回旗返鼓,樹影中飄出中軍大旗,上書一行大字曰:“漢丞相武 #37129 侯諸葛亮”。 홀연산후일성포향 함성대진 지견촉병구회기반고 수영중표출중군대기 상서일행대자왈 한승상무향후제갈량. 갑자기 산뒤에서 한 포소리가 울리며 함성이 크게 울리니 단지 촉나라 병사가 깃발을 흔들고 북을 치며 나무 그림자가 표연히 중군에 큰 기가 나오며 위에 크게 글씨로 씌여 있었다. ‘한나라 승상 무향후 제갈량’ 懿大驚失色 대경실색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변(變)하는 것을 이르는 말 。 의대경실색. 사마의는 크게 놀라 실색하였다. 定睛 定睛[dingj #299 ng] 주시하다. 응시하다. 눈여겨보다. 시선을 집중하다. 看時,只見中軍數十員上將,擁出一輛四輪車來 #65108 정정간시 지견중군수십원상장 옹출일량사륜거래. 눈동자를 고정해 주시해 보니 단지 중군에 수십명의 상장이 한 수레 사륜거를 옹위하고 나왔다. 車上端坐孔明: 거상단좌공명. 수레 위에 단정히 제갈공명이 앉아 있었다. 綸巾羽扇,鶴 #27653 #30338 #32091 。 윤건우선 학창조조. 윤건과 새깃으로 만든 부채와 학창의 검은 띠였다. 懿大驚曰:“孔明 #23578 在!吾輕入重地 重地[zhongdi] 매우 중요한 땅. 요충지. ,墮其計矣!” 의대경왈 공명상재! 오경입중지 타기계의! 사마의가 크게 놀라서 말했다. “제갈공명이 아직 살았구나! 내가 가벼이 요충지에 들어가니 계책에 빠졌다.” 急勒回馬便走。 급륵회마변주. 사마의는 급히 말을 돌려 달아났다. 背後姜維大叫:“賊將休走! #20320 中了我丞相之計也!” 배후강유대규 적장휴주! 니중료아승상지계야! 배후에 강유가 크게 소리쳤다. “적장은 달아나길 멈추라. 너는 내 승상의 계책에 맞았다.” 魏兵魂飛魄散,棄甲 #19999 #19999 (갈 던져 버리다 주 #12032 -총6획 di #363 ) #30420 , #25291 戈 #25735 #25735 (닦을 흔들다 치다 별 #12095 -총15획 pi #275 pi #283 ) 戟,各逃性命,自相踐踏,死者無數。 위병혼비백산 기갑주회 포과별극 각도성명 자수천답 사자무수. 위나라 병사가 혼비백산하여 갑옷을 버리고 투구를 던저버리고 과와 극창을 포기하고 각자 생명을 도망하며 스스로 서로 밟고 죽은 자가 무수하였다. 司馬懿奔走了五十餘里,背後兩員魏將 #36245 上, #25199 住馬嚼環叫曰:“都督勿驚。” 사마의분주오십여리 배후양원위장간상 차주마작환규왈 도독물경. 사마의는 오십여리를 달아나서 배후에 두 위나라 장군이 추격하니 말을 멈추고 고리를 씹으며 말했다. “도독께서는 놀라지 마십시오.” 懿用手摸頭曰:“我有頭否?” 의용수막두왈 아유두부? 사마의가 손으로 머리를 쓰다듬으며 말했다. “내 머리는 어디에 있는가?” 二將曰:“都督休 #24597 ,蜀兵去遠了。” 이장왈 도독휴파 촉병거원료. 두 장수가 말했다. “도독께서는 두려워하길 멈추시고 촉나라 병사가 멀리 가 버렸습니다.” 懿喘息半 #26188 ,神色 神色 표정. 안색. 기색. 얼굴빛. 神色 #24778 慌 표정이 몹시 놀라고 당황하다. 方定 #65108 의천식반향 신색방정. 사마의가 한참 숨차하며 정신과 색이 바로 안정되었다. #30556 目視之,乃夏侯 #38712 、夏侯惠也 #65108 쟁목시지 내하후패 하후혜야. 사마의가 눈을 크게 뜨고 보니 하후패 하후혜였다. 乃徐徐按 #36705 ,與二將尋小路奔歸本寨,使衆將引兵四散哨探。 내서서안비 여이장심소로분귀본채 사중장인병사산초탐. 서서히 고삐를 잡고 두 장수는 좁은 길로 본부영채를 돌아오면서 여러 장수를 시켜 병사를 인솔하고 사방으로 흩어져 탐색하게 했다. 過了兩日, #37129 民奔告曰:“蜀兵退入谷中時,哀聲震地,軍中揚起白旗:孔明果然死了,止留姜維引一千兵斷後。前日車上之孔明,乃木人也。” 과료양일 향민분고왈 촉병퇴입곡중시 애성진지 군중양기백기. 공명과연사료 지유강유인일천병단후. 전일거상지공명 내목인야. 2일이 경과하여 향촌의 사람은 급하게 고하였다. “촉나라 병사가 골짜기로 물러나 들어가며 애통한 소리가 땅을 진동하며 군중에 백기가 올라갔습니다. 제갈공명은 과연 죽었고 단지 강유를 시켜 1천명의 병사를 인솔하여 뒤를 끊게 하였습니다. 전일에 수레위의 제갈공명은 나무조각사람입니다.” 懿嘆曰:“無能料其生,不能料其死也!” 의탄왈 무능료기생 불능료기사야! 사마의가 한탄하며 말했다. “그의 생도 생각하지 못하고 죽음도 생각하지 못했다.” 因此蜀中人諺 諺(상말 속어 언 #12180 -총16획 yan) 曰:“死諸葛能走生仲達。” 인차촉중인언왈 사제갈능주생중달. 이에 촉나라 사람이 속담으로 말했다. “죽은 제갈량이 산 사마중달을 달아나게 한다.” 後人有詩嘆曰: 후인유시탄왈 후대 사람이 시로써 한탄하였다. 長星半夜落天樞,奔走還疑亮未 #27522 #27522 (죽을 조 #12109 -총9획 cu) 。 장성반야락천추 분주환의량미조. 장성이 야간에 천추에 떨어지니 분주하게 달아나다가 다시 제갈량은 아직 죽지 않았다 關外至今人冷笑,頭 #39025 頭 #39025 (머리뼈 로{노} #12212 -총25획 lu) 머리. 두개골 猶問有和無! 관외지금인랭소 두로유문유화무! 관문 밖에 지금 사람이 냉소하니 사마의가 두개골이 있는지 없는지를 묻다! 司馬懿知孔明死信已確,乃復引兵追 #36245 。 사마의지공명사신이확 내부인병추간. 사마의가 제갈공명의 죽은 소식을 이미 확신하고 다시 병사를 인솔하고 추격하려고 했다. 行到赤岸坡 赤岸坡 현재의 陝西省 褒水 연안에 위치해 있었던 곳이라 하기도 하고 전설상의 지명 또는 南極 ,見蜀兵已去遠,乃引還,顧謂衆將曰:“孔明已死,我等皆高枕無憂 高枕無憂 베개를 높이 베고 아무 근심없이 잠을 잠 矣!” 행지적안파 견촉병이거원 내인환 고위중장왈 공명이사 아등개고침무우의! 사마의의 행군이 적안파에 이르러 촉나라 병사가 이미 감을 보고 돌아와서 여러 장수를 돌아보고 말했다. “제갈공명이 이미 죽었으니 우리들은 모두 베개를 높이하고 근심이 없겠다!” 遂班師回。 수반사회. 사마의는 곧 군사를 돌려 돌아왔다. 一路上見孔明安營下寨之處,前後左右,整整 整整[zh #283 ngzh #283 ng] 온전히. 꼬박. 有法,懿嘆曰:“此天下奇才 奇才 ①기이(奇異)한 재주 ②또는 이를 갖춘 사람 也!” 일로상견공명안영하채지처 전후좌우 정정유법 의탄왈 차천하기재야! 한 길에서 제갈공명이 영채를 세운 곳의 전후좌우가 엄정하고 법이 있으니 사마의가 한탄하였다. “이는 천하의 기이한 천재로다!” 於是引兵回長安,分調衆將,各守隘口。 어시인병회장안 분조중장 각수애구. 사마의는 이에 병사를 인솔하고 장안에 돌아와서 여러 장수를 나눠서 각자 험한 입구를 지키게 했다. 懿自回洛陽面君去了。 의자회낙양면군거료. 사마의는 스스로 낙양에 돌아와 주군을 대면하러 갔다. #21371 說楊儀、姜維排成 排成[paicheng] 줄 서다. 陣勢,緩緩退入棧閣 棧閣 =棧道 험한 벼랑 같은 곳에 낸 길 道口,然後更衣發喪,揚幡擧哀。 각설양의 강유배성진세 완완퇴입잔각도구 연후갱의발상 양번거애. 각설하고 양의와 강유는 진의 세력을 배열하고 천천히 물러나 잔각의 도입구로 물러난 연후에 옷을 갈아입고 초상을 하며 기를 들어 애도를 거행했다. 蜀軍皆撞跌 撞跌(zhuan #609 di #275 ),1.撞頭 #36346 (발 구를 타 #12188 -총13획 duo) #33139 。形容悲痛不能自制。 2. ... 王西 #24421 《古屋》第二部二:“接著又聽到一個東西在張開著的 #29627 璃 #31383 上輕輕撞跌了幾下。” 而哭,至有哭死者。 촉군개당질이곡 촉나라 군사는 모두 머리를 치고 발을 구르며 통곡하니 곡해서 죽는 사람도 있었다. 蜀兵前隊正回到棧閣道口,忽見前面火光沖天,喊聲震地,一彪軍 #25876 路。 촉병전대정회도잔각도구 홀견전면화광충천 함성진지 일표군난로. 촉나라 병사가 앞 부대의 잔각도의 입구에 도달하여 갑자기 전면에서 불빛이 충만하며 함성이 땅을 흔들며 한 군사가 길을 막음을 보았다. 衆將大驚,急報楊儀。 중장대경 급보양의. 여러 장수가 크게 놀라서 급히 양의에게 보고하였다. 正是:已見魏營諸將去,不知蜀地甚兵來。 정시 이견위영제장거 부지촉지심병래. 바로 이와 같았다. ‘이미 위나라 군영의 여러 장수가 떠남을 보니 촉나라 땅에서 어떤 병사가 올지 알지 못한다.’ 未知來者是何處軍馬,且看下文分解。 미지래자시하처군마 차간하문분해. 모두 어떤 곳의 군마인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 문장의 해석을 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1회 102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101회 102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해석 예시문 孔明又喚張 #23991 分付曰:“汝引五百軍,都扮作六丁六甲神兵,鬼頭獸身,用五彩塗面, #22941 作種種怪異之狀 #65108 一手執繡旗,一手仗寶劍 #65108 身 #25346 葫蘆,內藏烟 煙(연기 연 #12117 -총13획 y #257 n y #299 n)의 원문은 烟(연기 연 #12117 -총10획 y #257 n y #299 n)이다. 火之物,伏於山傍。待木牛流馬到時,放起煙火,一齊擁出,驅牛馬而行。魏人見之,必疑是神鬼,不敢來追 #36245 。” 공명우환장의분부왈 여인오백군 도분작육정육갑신병 귀두수신 용오채도면 장작종종괴이지상. 일수집수기 일수장보검 신괘호로 내장연화지물 복어산방. 대목우유마도시 방기연화 일제옹출 구우마이행. 위인견지 필의시신귀 불감래추간. 제갈공명이 또 장의를 불러서 분부하여 말했다. “너는 오백 군사를 인솔하고 모두 6정6갑의 신병으로 분장하며 귀신 머리와 짐승 몸으로 5채색을 사용하어 얼굴에 칠하고 분장을 각종 괴이한 모습으로 하라. 한손으로는 수놓은 기를 잡고 한 손으로는 보검을 잡으라. 몸에는 호리병을 걸고 안에는 인화성물건을 감추며 산 곁에 잠복하라. 목우와 유마가 지날 때 연기와 불을 놓아서 일제히 나와서 우마를 몰아가라. 위나라 병사가 보고도 반드시 귀신으로 여기며 감히 추격하지 못한다.” 張 #23991 受計引兵而去。 장의수계인병이거. 장의는 계책을 받고 병사를 인솔하고 갔다. 孔明又喚魏延、姜維分付曰:“汝二人同引一萬兵,去北原寨口接應木牛流馬,以防交戰。” 공명우환위연 강유분부왈 여이인동인일만병 거북원채구접응목우유마 이방교전. 제갈공명이 또 위연 강유를 불러 분부하였다. “너희 두 사람은 1만 병사를 인솔하고 북원 영채 입구에서 목우와 유마에 접응하여 교전을 방지하여라.” 又喚廖化、張翼分付曰:“汝二人引五千兵,去斷司馬懿來路。” 우환요화 장익분부왈 여이인인오천병 거단사마의래로. 제갈량은 또 요화와 장익을 불러 분부하였다. “너희 두 사람은 5천명의 병사를 인솔하고 사마의의 올 길을 끊으러 가라.” 又喚馬忠、馬岱分付曰:“汝二人引二千兵去渭南 #25638 戰。” 우환마충 마대분부왈 여이인인이천병거위남닉전. 제갈량은 또 마충 마대를 불러서 분부하였다. “너희 두 사람은 2천명의 병사를 인솔하고 위수 남쪽에 가서 싸움을 돋우라.” 六人各各遵令而去。 육인각각준령이거. 6사람이 각자 명령을 따라서 갔다. 且說魏將岑 岑(봉우리 잠 #12077 -총7획 cen) 威引軍驅木牛流馬,裝載 裝載 짐을 꾸려 배나 수레에 실음 糧米,正行之間,忽報前面有兵巡糧。 차설위장잠위인군구목우유마 장재양미 정행지간 홀보전면유병순량. 각설하고 위나라 장군인 잠위가 군사를 인솔하고 목우 유마를 몰아서 식량쌀을 포장하여 싣고 바로 가려는데 갑자기 전면에 병사가 식량을 순찰함을 보고가 왔다. 岑威令人哨探,果是魏兵,遂放心前進。 잠위령인초탐 과시위병 수방심전진. 잠위는 사람에게 탐색하게 명령을 내리니 과연 위나라 병사이며 방심하며 전진하였다. 兩軍合在一處。 양군합재일처. 양쪽 군사는 한 곳에 합쳤다. 忽然喊聲大震,蜀兵就本隊裏殺起,大呼:“蜀中大將王平在此!” 홀연함성대진 촉병취본부리살기 대호 촉중대장왕평재차! 갑자기 함성이 크게 울리며 촉나라 병사가 본부대를 인솔하고 습격하며 크게 말했다. “촉나라 대장인 왕평이 이에 있다!” 魏兵措手不及,被蜀兵殺死大半。 위병조수불급 피촉병살사대반. 위나라 병사가 조치하지 못하고 촉나라 병사에게 태반이 죽었다. 岑威引敗兵抵敵,被王平一刀斬了,餘皆潰散 궤산 ①허물어져서 흩어짐. 무너져서 흩어짐 ②(군대(軍隊)가)싸움에 패(敗)하여 도망(逃亡)함 。 잠위인패병저적 피왕평일도참료 여개궤산. 잠위는 패잔병을 인솔하고 적을 막다가 왕평의 한칼에 베어지니 나머지는 모두 궤멸되어 흩어졌다. 王平引兵盡驅木牛流馬而回。 왕평인병진구목우유마이회. 왕평은 병사를 인솔하고 모두 목우와 유마를 몰아서 돌아왔다. 敗兵飛奔報入北原寨內。 패병비분보입북원채내. 패잔병이 빨리 북원의 영채안에 들어오라고 보고하였다. 郭淮聞軍糧被劫,疾忙 疾忙 급하다 引軍來救。 곽회문군량피겁 질망인군래구. 곽회는 군량이 겁탈을 당했다고 들어서 바삐 군사를 인솔하고 구원하러 왔다. 王平令兵 #25197 轉木牛流馬舌頭,皆棄於道上,且戰且走。 왕평령병뉴전목우유마설두 개기어도상 차전차주. 왕평은 병사를 목우와 유마의 혀를 뽑아 돌리며 모두 도로에 버리고 또 싸우고 또 달아났다. 郭淮 #25945 且莫追,只驅回木牛流馬。 곽회교차막추 지구회목우유마. 곽회는 또 추적하지 말라고 하며 또 목우와 유마를 몰아 돌리려 했다. 衆軍一齊驅 #36245 , #21371 那裏驅得動? 중군일제구간 각나리구득동? 여러 군사가 일제히 몰아 추격하려 하니 어떻게 몰아가겠는가? 郭淮心中疑惑,正無奈何,忽鼓角喧天,喊聲四起,兩路兵殺來,乃魏延、姜維也。 곽회심중의혹 정무내하 홀고각훤천 함성사기 양로병살래 내위연 강유야. 곽회는 마음속에 의혹이 있고 바로 어찌할 수 없어서 갑자기 북과 뿔피리가 하늘을 울리며 함성이 사방에서 일어나니 두 길로 병사가 습격해 오니 위연 강유였다. 王平復引兵殺回。 왕평부인병살회. 왕평은 다시 병사를 인솔하고 돌아왔다. 三路夾攻,郭淮大敗而走。 삼로협공 곽회대패이주. 3길로 협공하니 곽회는 대패하고 달아났다. 王平令軍士將牛馬舌頭,重復 #25197 轉,驅 #36245 而行。 왕평령군사장우마설두 중복뉴전 구간이행. 왕평은 군사를 시켜 우마의 혀를 장치하며 다시 돌리며 몰아 추격해 갔다. 郭淮望見,方欲回兵再追,只見山後烟雲突起,一隊神兵擁出,一個個手執旗劍,怪異之狀,驅駕木牛流馬如風擁而去。 곽회망견 방욕회병재추 지견산후연운돌기 일부신병옹출 일개수집기검 괴이지상 구가목우유마여풍옹이거. 곽회가 바라보고 바로 병사를 돌려 다시 추격하는데 다시 산뒤에 연기가 갑자기 일어나니 한 부대의 신병이 나오니 개개가 손으로 기와 검을 잡고 괴이한 형상이니 수레와 목우 유마를 바람이 옹위하여 가듯이 몰아갔다. 郭淮大驚曰:“此必神助也!” 곽회대경왈 차필신조야. 곽회가 크게 놀라서 말했다. “이는 반드시 신의 도움이다.” 衆軍見了,無不驚畏不敢追 #36245 。 중군견료 무불경외불감추간. 위나라의 여러 군사가 보니 경외로워서 감히 추격하지 못했다. #21371 說司馬懿聞北原兵敗,急自引軍來救。 각설사마의문북원병패 급자인군래구. 각설하고 사마의는 북원에서 병사가 패배함을 듣고 급히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구원하러 왔다. 方到半路,忽一聲砲響,兩路兵自險峻處殺出,喊聲震地。 방도반로 홀일성포향 양로병자험준처살출 함성진지. 바로 도중에서 갑자기 한 포소리가 울리며 양쪽 길에 병사가 험준한 곳에서 쇄도해 나오니 함성이 땅을 진동하였다. 旗上大書:“漢將張翼廖化”。 기상대서 한장장익요화. 깃발 위에 크게 씌여 있었다. ‘한나라 장수 장익과 요화이다.’ 司馬懿見了大驚。 사마의견료대경. 사마의가 보고 크게 놀랐다. 魏軍大慌,各自逃竄。 위군대황 각자도찬. 위나라 군사는 크게 당황하여 각자 스스로 달아났다. 正是:路逢神將糧遭劫,身遇奇兵 奇兵 기습(奇襲)하는 군대(軍隊) 命又危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99회 100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99회 100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각주 해설 예시문 의왈 수연여차 공명다모 여언난신. 여능위아간일건대공 오나시주회천자 보여위상장. 사마의가 말하길 “비록 이와 같으나 제갈공명이 꾀가 많아서 네 말을 믿기 어렵다. 너는 나에게 한 건의 큰 공을 줄기가 되면 나는 이 때 천자께 상주하여 너를 상장으로 삼겠다.” 安曰:“但有甚事, #21363 當效力。” 안오라 단유심사 즉당효력. 구안이 말했다. “단지 어떤 일이 있으면 힘을 다하겠습니다.” 懿曰:“汝可回成都布散 布散 펴서 확산시킴 流言,說孔明有怨上之意,早 #26202 欲稱爲帝,使汝主召回 召回[zhaohui] 소환(召還)하다. 불러들이다. 회수(리콜)하다. 孔明: #21363 是汝之功矣。” 의왈 여가회성도포산유언 설공명유원상지의 조만욕칭위제 사여주소회공명 즉시여지공의. 사마의가 말했다. “너는 성도에 돌아가서 유언비어를 풀고 제갈공명이 주상을 원망할 뜻이 있다고 설명하여 조만간 황제가 되길 칭한다고 하여 네 군주가 제갈공명을 부르게 하라. 즉시 네 공이다.” 苟安允諾 允諾yunnuo 허락(하다). 승낙(하다). 欣然~ 흔쾌히 승낙하다 ,逕回成都,見了宦官,布散流言,說孔明自倚大功,早 #26202 必將 #31713 國。 구안윤락 경회성도 견료환관 포산유언 설공명자의대공 조만필장찬국. 구안은 허락하고 곧장 성도에 돌아가서 신하를 보고 유언비어를 살포하며 제갈공명이 스스로 대공에 의지하여 조만간 반드시 나라를 찬탈한다고 말했다. 宦官聞知大驚, #21363 入內奏帝,細言前事。 환관문지대경 즉입내주제 세언전사. 환관은 듣고 매우 놀라서 안에서 황제에게 상주하여 앞의 일을 자세히 말했다. 後主驚訝曰:“似此如之奈何?” 후주경아왈 사차여지내하? 후주가 놀랍고 의아하여 말했다. “이와 같다면 어찌해야 하오?” 宦官曰:“可詔還成都,削其兵權,免生叛逆。” 환관왈 가조환성도 삭기병권 면생반역. 환관이 말했다. “조서로 성도에 돌아가게 하여 병권을 삭탈하고 반역을 함을 막아야 합니다.” 後主下詔,宣孔明班師回朝。 후주하조 선공명반사회조. 후주[유선]가 조서를 내려서 제갈공명을 불러 군사를 물리고 조정에 돌아오게 했다. 蔣琬出班奏曰:“丞相自出師以來,累建大功,何故宣回?” 장완출반주왈 승상자출사이래 루건대공 하고선회? 장완이 반을 나와 상주하였다. “승상께서 스스로 군사를 내어 온 이래로 여러차례 대공을 세웠는데 어떤 이유로 불러 돌아오게 하십니까?” 後主曰:“朕有機密事,必須與丞相面議。” 후주왈 짐유기밀사 필수여승상면의. 후주가 말하길 “짐이 기밀의 일이 있어서 반드시 승상과 대면해 상의해야 하오.” #21363 遣使齎詔星夜宣孔明回。 즉견사재조성야선공명회 후주는 사신을 보내 조서를 가지고 야간에도 달려 제갈공명을 돌아오게 했다. 使命逕到祁山大寨,孔明接入,受詔已畢,仰天嘆曰:“主上年幼,必有 #20318 臣在側!吾正欲建功,何故取回?我如不回,是欺主矣。若奉命而退,日後再難得此機會也。” 사명경지기산대채 공명접입 수조이필 앙천탄왈 주상년유 필유녕신재측! 오정욕건공 하고취회? 아여불회 시기주의. 약봉명이퇴 일후재난득차기회야. 사신은 곧장 기산의 대채에 가서 제갈공명을 접하고 조서를 받길 끝내자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여 말했다. “주상께서 나이가 어려서 반드시 아첨하는 신하가 곁에 있다! 내가 바로 공을 세우려는데 어떤 이유로 돌아오게 하는가? 내가 만약 돌아가지 않으면 주군을 속임이다. 만약 명령을 받들고 물러나면 이 날 뒤에 다시 이 기회를 얻기 어렵다.” 姜維問曰:“若大軍退,司馬懿乘勢掩殺,當復如何?” 강유문왈 약대군퇴 사마의승세엄살 당부여하? 강유가 물었다. “만약 대군이 물러나면 사마의가 기세를 타고 습격하면 어찌 회복합니까?” 孔明曰:“吾今退軍,可分五路而退。今日先退此營,假如營內一千兵, #21371 掘二千 #31432 #31432 (부엌 조 #12147 -총21획 zao) ,明日掘三千 #31432 ,後日掘四千 #31432 :每日退軍,添 #31432 而行。” 공명왈 오금퇴군 가분오로이퇴. 금일선퇴차영 가여영내일천병 각굴이천조 명일굴삼천조 후일굴사천조. 매일퇴군 첨조이행. 제갈공명이 말했다. “내가 지금 군사를 물림을 5길을 나눠 물러나겠다. 금일 먼저 이 군영을 물린다. 가령 군영의 안에 일천 병사가 있으면 2천 아궁이를 만들고 내일은 3천 아궁이를 만들고 뒷날은 4천 아궁이를 만든다. 매일 군사를 물림에 아궁이를 더하여 간다.” 楊儀曰:“昔孫 #33231 擒龐涓 손빈(孫 #33231 ) 손무의 후예로서 병법가이다. 제나라의 병법가로서 위를 격파하였고 후일에는 조나라를 도와 위를 격파하였다. 방연(龐涓) 손빈과 함께 병법을 공부했지만 손빈의 재능을 시기하여 그를 빈형에 처해지게 한 인물 ,用添兵減 #31432 之法而取勝 #65108 今丞相退兵,何故增 #31432 ?” 양의왈 석손빈금방연 용첨병감조지법이취승. 금승상퇴병 하고증조? 양의가 말하길 “예전에 손빈이 방연을 사로잡을 때 병사를 더하고 아궁이를 없애는 방법으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지금 승상께서 병사를 물릴 때 어떤 이유로 아궁이를 더하십니까?” 孔明曰:“司馬懿善能用兵,知吾兵退,必然追 #36245 #65108 心中疑吾有伏兵,定於舊營內數 #31432 #65108 見每日增 #31432 ,兵又不知退與不退,則疑而不敢追。吾徐徐而退,自無損兵之患。” 공명왈 사마의선능용병 지오병티 필연추간. 심중의오유복병 정어구영내수조. 견매일증조 병우부지퇴여불퇴 즉의이불감추. 오서서이퇴 자무손병지환. 제갈공명이 말하길 “사마의는 잘 용병을 하니 애가 병사가 물러남을 아고 반드시 추격할 것이다. 마음속에 복병이 있을까 의심하며 예전 군영안에 아궁이 수를 정산할 것이다. 매일 아궁이가 더해가면 병사가 또한 물러날지 물러나지 않는지 알지 못한다.” 遂傳令退軍。 수전령퇴군. 제갈량이 곧 명령을 내려서 군사를 물린다. #21371 說司馬懿料苟安行計停當,只待蜀兵退時,一齊掩殺。 각설사마의료구안행계정당 지대촉병퇴시 일제엄살. 각설하고 사마의는 구안이 헤아리길 계책을 정당하게 시행하였다고 하며 단지 촉나라병사가 물러날 때 일제히 습격하려고 했다. 正躊躇間,忽報蜀寨空虛,人馬皆去。 정주저간 홀보촉채공허 인마개주. 바로 주저하는 사이에 갑자기 촉나라 영채가 비며 사람과 말이 모두 갔다고 보고가 왔다. 懿因孔明多謀,不敢輕追,自引百餘騎前來蜀營內踏看 踏看takan 현지에 가서 보다. , #25945 軍士數 #31432 ,仍回本寨 #65108 의인공명다모 불감경추 자인백여기전래촉영내답간 교군사수조 잉회본채. 사마의는 제갈공명이 꾀가 많아서 감히 가벼이 추격하지 못하고 스스로 백여명 기병을 인솔하고 앞서서 촉나라 영채로 가서 보니 군사를 시켜 아궁이 수를 세게 하며 본영채로 돌아오게 했다. 次日,又 #25945 軍士 #36245 到那個營內, #26597 點 #31432 數。 차일 우교군사간도나개영내 사점조수. 다음날에 또 군사를 시켜 이런 군영을 추격하며 아궁이 수를 조사하고 점검하게 했다. 回報說:“這營內之 #31432 ,比前又增一分。” 회보설 저영내지조 비전우증일분. 보고가 돌아 오길 “이 군영안에 아궁이는 전날에 비교하여 또 한번 증가했습니다.” 司馬懿謂諸將曰:“吾料孔明多謀,今果添兵增 #31432 ,吾若追之,必中其計 #65108 不如且退,再作良圖。” 사마의위제장왈 오료공명다모 금과첨병증조 오약추지 필중기계 불여차퇴 재작양도. 사마의가 여러 장수에게 말했다. “내가 생각건대 제갈공명이 꾀가 많으니 지금 과연 병사를 더하고 아궁이를 늘려서 내가 만약 추격하면 반드시 계책에 맞을 것이다. 또 물러나 다시 좋은 방도를 만듦만 못하다.” 於是回軍不追。 어시회군불추. 이에 군사를 돌아가게 하며 추격하지 않았다. 孔明不折一人,望成都而去 後(뒤 후 #12091 -총9획 hou)의 원문은 去(갈 거 #12059 -총5획 qu)이다. 。 공명부절일인 망성도이거. 제갈 공명은 한 사람도 꺽이지 않고 성도를 바라보고 후퇴하여 갔다. 次後,川口土人來報司馬懿,說孔明退兵之時,未見添兵,只見增 #31432 。 차후 천구토인래보사마의 설공명퇴병지시 미견첨병 지견증조. 다음에 서천에 주민이 사마의에게 보고하여 제갈공명이 병사를 물릴 때 병사를 더하지 않고 단지 아궁이수만 늘렸다고 설명하였다. 懿仰天長嘆曰:“孔明效虞 #35425 虞(헤아릴 우 #12172 -총13획 yu) #35425 (자랑할 후 #12180 -총13획 x #468 ) 후한 말기 우후의 군사가 진창(陳倉) 효곡에서 강족(羌族)의 저지를 받게 되었다.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된 우후는 구원병을 청하고 그들이 도착하면 전진을 계속하겠다는 포고문을 내걸었다. 강족은 이 기미를 알고 구원병이 오기 전에 패를 나누어 근방 고을을 습격 재물을 약탈하게 했다. 이렇게 강족이 군사를 분산시키는 것을 본 우후는 즉시 군사를 몰아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하루 백리 이상이나 전진해 갔다. 거기에 쉴 때마다 군사들에게 명하여 밥짓는 곳을 두 배로 만들어 날마다 군사가 불어나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이것을 본 강족은 구원병이 온 걸로 알고 아예 공격을 포기하였고 우후는 봉쇄를 뚫고 강족을 대파하였다. 이때 우후가 구원병의 도착을 기다렸다가 전진한다고 포고문을 낸 것은 강족을 꾀어들여 분산시켜서 재물을 약탈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밤낮으로 군사를 강행군시킨 것은 강족으로 하여금 피곤하게 만들기 위해서였고 또 밥 짓는 것을 두 배로 늘려간 것은 강족을 현혹시켜 구원병이 온 것으로 착각시키기 위해서였던 것이다. 之法,瞞過吾也!其謀略吾不如之!” 의앙천장탄왈 공명효우후지법 만과오야! 기모략오불여지! 사마의가 하늘을 우러러 길게 한탄하여 말했다. “제갈공명이 우후의 방법을 본받아 나를 속였다. 이 계략은 내가 그만 못함이다.” 遂引大軍還洛陽。 수인대군환낙양. 사마의는 곧 대군을 인솔하고 낙양에 돌아왔다. 正是:棋逢對手대수 敵手 재주나 힘이 서로 비슷해서 상대가 되는 사람 難相勝,將遇良才 良才[liangcai] 훌륭한 인재. 우수한 인재. 不敢驕。 정시 깁ㅇ대수난상승 장우량재불감교. 바로 이와 같다. ‘바둑에서 상대 국수가 서로 이기기 어려우니 좋은 재주 가진 사람을 만나서 감히 교만하지 못하네.’ 未知孔明退回成都,竟是如何,且看下文分解。 미지공명퇴회성도 경시여하 차간하문분해. 제갈공명이 성도에 돌아온 일이 마침내 어떻게 될지 알지 못하니 또 아래 문장부분의 해석을 보자.
구매가격 : 900 원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97회 98회
도서정보 : 나관중 | 2012-11-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관중 삼국지 삼국연의 95회 96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예시문 第九十七回 討魏國武侯再上表 破曹兵姜維詐獻書 제구십칠회 토위국무후재상표 파조병강유사헌서. 삼국연의 97회 위나라를 토벌하는 제갈무후는 다시 표를 올리고 조의 병사를 깬 강유는 글 올리길 허락하다. 却說蜀漢建興六年秋九月,魏都督曹休被東吳陸遜大破於石亭,車仗馬匹,軍資器械, #24182 皆 #32580 盡 #32580 盡 = #32580 竭 돈이나 물건 따위가 바닥이 나 다 없어짐 。 각설촉한건흥육년추구월 위도독조휴파동오육손대파어석정 거장마필 군자기계 병개경진. 각설하고 촉한 건흥 6년[228년] 가을 9월에 위나라도독 조휴는 동오의 육손에게 석정에서 대파를 당하고 수레의 의장 마필과 군자금과 무기를 모두 다 잃었다. 休惶恐之甚,氣憂成病,到洛陽,疽發背而死。 휴황공지심 기우성질 도낙양 저발배이사. 조휴는 황공함이 심하고 기가 근심하여 병을 생성하여 낙양에 이르러서 저[腫氣]가 등에 발생하여 죽었다. 魏主曹叡 叡(밝을 임금 예 #12060 -총16획 rui) #25941 令厚葬。 위주조예칙령후장. 위나라 군주인 조예는 칙령을 내려 두터이 장례하게 했다. 司馬懿引兵還,衆將接入問曰:“曹都督兵敗, #21363 元帥之干系 干系[g #257 nxi] (책임이나 분쟁을 유발할 수 있는) 관계. 관련. 책임. ,何故急回耶?” 사마의인병환 중장접입문왈 조도독병패 즉원수지간계 하고급회야? 사마의가 병사를 인솔하고 돌아와서 여러 장수를 들어오게 하며 물었다. “조휴 도독의 병사가 패배하여 원수의 연계되는데 어찌 급하게 돌아오십니까?” 懿曰:“吾料諸葛亮知吾兵敗,必乘虛來取長安。 #20504 #38580 西緊急,何人救之?吾故回耳。” 의왈 오료제갈량지오병패 필승허래취장안. 당롱서긴급 하인구지? 오고회이. 사마의가 말하길 “나는 제갈량이 우리 병사가 패배함을 알고 반드시 허한 틈을 타고 장안을 취하러 올 것임을 생각한다. 혹시 농서에 긴급함이 있다면 어떤 사람이 구원하겠는가? 내가 그래서 돌아왔을 뿐이다.” 衆皆以爲懼怯, #21698 #21698 (비웃을 신 #12061 -총9획 sh #283 n) 笑而退。 중개이위구겁 신소이퇴. 여럿이 모두 사마의가 두려워하고 겁낸다고 생각하고 비웃으며 물러갔다. 却說東吳遣使致書蜀中,請兵伐魏, #24182 言大破曹休之事: 각설동오견사치서촉중 청병벌위 병언대파조휴지사. 각설하고 동오의 파견한 사신이 촉에 서신을 이르게 하며 병사를 청해 위나라를 정벌케 하니 조휴를 대파한 일을 말했다. 一者顯自己威風 위풍 위엄(威嚴)이 있는 풍채(風采)나 모양(模樣) ,二者通和會之好。 일자현자기위풍 이자통화회지호. 사신은 첫 번째로 자기의 위풍을 현시하고 둘째로 화친의 우호를 통하자고 했다. 後主大喜,令人持書至漢中,報知孔明。 후주대희 령인지서지한중 보지공명. 후주[유선]는 매우 기뻐서 사람을 시켜 편지를 지니고 한중에 이르게 하며 제갈공명에게 보고하여 알렸다. 時孔明兵 #24375 馬壯,糧草 #35920 足,所用之物,一切完備,正要出師。 시공명병강마장 양초풍족 소용지물 일체완비 정요출사. 이 때 제갈공명의 병사가 강하고 말이 건장하며 식량과 풀이 풍족하여 소용되는 물건이 일체 완비되어 바로 군사를 내려고 했다. 聽知此事, #21363 設宴大會諸將,計議出師。 청지차사 즉설연대회제장 계의출사. 제갈공명이 이 일을 들어서 살고 잔치를 열어서 여러 장수를 크게 모아서 계책을 내어 군사를 냄을 논의하였다. 忽一陣大風,自東北角上而起,把庭前松樹吹折。 홀일진대풍 자동북각상이기 파정전송수취절. 갑자기 한 바탕 큰 바람이 불어서 동북쪽위에서 일어나며 뜰 앞의 소나무를 잡고 끊어 버렸다. 衆皆大驚。 중개대경. 여럿이 모두 놀랐다. 孔明就占一課,曰:“此風主損一大將!” 공명취점일과 왈 차풍주손일대장. 제갈공명이 점을 치고 말했다. “이 바람에 한 대장이 손상해 죽겠구나!” 諸將未信。 제장미신. 여러 장수는 아직 믿지 않았다. 正 #39154 酒間,忽報 #37806 南將軍趙雲長子趙統、次子趙廣,來見丞相。 정음주간 홀보진남장군조운장자조통 차자조광 래견승상. 바로 술을 마시는 사이에 갑자기 진남장군 조운의 장자인 조통과 차남인 조광이 제갈승상을 알현하러 왔다. 孔明大驚,擲杯於地曰:“子龍休矣!” 공명대경 척배어지왈 자룡휴의. 제갈공명이 크게 놀라서 잔을 땅에 던지고 말했다. “조자룡이 죽었구나!” 二子入見,拜哭曰:“某父昨夜三更病重而死。” 이자입견 배곡왈 모부작야삼경병중이사. 두 아들이 들어와 알현하고 절하며 통곡하고 말했다. “제 아버지가 어제 밤 3경[밤 11시-새벽1시]에 병이 위중하여 돌아가셨습니다!” 孔明跌足 跌足[di #275 zu] (슬픔·절망·후회 등으로) 발을 동동거리다[동동 구르다]. 而哭曰:“子龍身故 身故[sh #275 ngu] 죽다. 사망하다. ,國家損一棟樑 棟(용마루 동 #12106 -총12획 dong)樑(들보 량{양} #12106 -총15획 liang) ,吾去一臂 일비 ①한 팔 ②얼마 안 되는 도움 ③도움이 되는 사람 也!” 공명질족이곡왈 자룡신고 국가손일동량 오거일비야! 제갈공명이 발을 동동 구르고 통곡하였다. “조자룡의 몸이 죽거 국가에서는 한 동량을 잃으며 내 한 팔을 제거했도다!” 衆將無不揮涕。 중장무불휘체. 여러 장수는 눈물을 떨어뜨리지 않음이 없었다. 孔明令二子入成都面君報喪。 공명령이자입성도면군보상. 제갈공명은 조운의 두 아들을 성도에 들어가서 군주를 대면하고 상례를 보고하게 했다. 後主聞雲死,放聲大哭曰:“朕昔年幼,非子龍則死於亂軍之中矣!” 후주문운사 방성대곡왈 짐석년유 비자룡즉사어난군지중의. 후주는 조운이 죽음을 듣고 방성대곡을 하고 말했다. “내가 예전에 어렸을 때 조자룡이 아니면 어지러운 전쟁[당판파]중에 죽을뻔했다.” #21363 下詔追贈大將軍,謚封順平侯, #25941 葬於成都錦 #23631 山之東 #65108 즉하조추증대장군 시봉순평후 칙장어성도금병산지동. 후주는 곧 조서를 내려 대장군으로 추증하며 시호로 순평후로 봉하며 칙령을 내려서 성도 금병산의 동쪽에 장례를 치르게 했다. 建立廟堂,四時享祭。 건립묘당 사시향제. 사당을 건립하고 사계절동안 조운의 제사를 지내게 했다. 後人有詩曰: 후인유시왈 후대 사람이 시로써 말했다. 常山有虎將,智勇匹關 張: 상산유호장 지용필관장. 상산에 호랑이 같은 장수[조운]가 있으니 지혜와 용기가 관우 장비에 필적하네. 漢水功勳 勛(공 훈 #12050 -총12획 x #363 n)의 원문은 勳이다. 在,當陽姓字彰 #37155 (나라 이름 막아내다 장 #12194 -총14획 zh #257 ng)의 원문은 彰(밝을 창 #12090 -총14획 zh #257 ng)이다. 。 한수공훈재 당양성자장. 조운은 한수에 공로가 있으니 당양에서 성명을 드날렸다. 兩番扶幼主,一念答先皇。 양번부유주 일념답선황. 두 번 어린 군주[후주 유선]를 도와주니 한번 생각에 선대 황제[유비]에 보답한다. #38738 史 청사 역사(歷史). 기록(記錄) 書忠烈,應流百世芳。 청사서충렬 응유백세방. 청사[역사]의 기록에 충렬이 있으니 응당 유방백세 流芳百世 환온(312~373)은 선성(宣城) 태수를 지낸 환이(桓彛)의 아들로 자는 원자(元子)이다. 동진 명제(明帝)의 사위가 되었고 여러 차례에 걸쳐 북방 이민족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동진의 실권자가 되었다. 환온은 오랫동안 권력을 장악하자 스스로 황제가 되고자 하는 욕심이 싹텄다. 어느 날 그는 베개를 쓰다듬으며 "꽃다운 이름을 후세에 전할 수 없다면 더러운 이름인들 만세에 남길 수 있겠는가(不能流芳後世 不足復遺臭萬載邪)?"라고 탄식하였다. 하다. 却說 後主思念趙雲昔日之功,祭葬甚厚 #65108 각설 후주사념조운석일지공 제장심후. 각설하고 후주는 조운이 예전의 공로를 생각하고 제사와 장례가 매우 두터웠다. 封趙統爲虎賁中 #37070 ,趙廣爲牙門將,就令守墳。 봉조통위호분중랑 조광위아문장 취령수분. 조운의 아들인 조통을 호분중랑으로 조광을 아문장으로 봉하며 무덤을 지키게 했다. 二人辭謝而去。 이인사사이거. 두 사람은 사례하고 갔다. 忽近臣奏曰:“諸葛丞相將軍馬分撥已定, #21363 日將出師伐魏。” 홀근신주왈 제갈승상장군마분발이정 즉일장출사벌위. 갑자기 근처 신하가 상주하였다. “제갈량 승상께서 장차 군인과 말이 이미 출정을 함을 결정하니 곧장 군사를 내어서 위나라를 정벌하려고 합니다.” 後主問在朝諸臣,諸臣多言未可輕動。 후주문재조제신 제신다언미가경동. 후주는 조정의 여러 신하에게 물으니 여러 신하는 많이 아직 감히 가벼이 움직일 수 없다고 했다. 後主疑慮未決。 후주의려미결. 후주는 의심하고 염려하며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忽奏丞相令楊儀齎[出師表]至。 갑자기 승상의 상주로 양의를 시켜 출사표를 가지고 이르렀다고 했다. 後主宣入,儀呈上表章。 후주선입 의정상표장. 후주가 양의를 들어오게 하니 의식으로 표장을 올렸다. 後主就御案上 #25286 視,其表曰: 후주취어안상탁시 기표왈 후주가 책상에서 찢어 보니 출사표는 다음과 같았다. 先帝慮漢、賊不兩立,王業不偏安 偏安 시골에 살며 평안한 마음으로 지냄(중원을 잃고) 겨우 남은 작은 영토에서 일시적인 안일을 탐하다. 일부 지방에 안거함을 만족해하다. 偏安一隅 조그만 영토에 안거함을 만족해하다. ,故託臣以討賊也。 선제려한 적불량립 왕업불편안 고탁신이토적야. ‘선제[유비]께서는 한나라가 적[魏]과 양립하지 못함을 염려하시며 왕업은 조금 치우친 곳에서 안일할 수 없으므로 신에 의탁하여 적을 토벌하게 하셨습니다.’ 以先帝之明,量臣之才,故知臣伐賊,才弱敵 #24375 也。 이선제지명 량신지재 고지신벌적 재약적강야.
구매가격 : 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