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상식문답(연극편) 6

최남선 | 온이퍼브 | 2017년 07월 22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4,000원

판매가 4,000원

도서소개

이 책은 1946년에 발간한 《조선상식문답》 속편으로 1947년 저자가 운영하던 ‘동명사’에서 발간하였다.
이전에 1937년 ‘매일신보’에 게재하였던 것을 묶어 ‘국호(國號)’를 비롯하여 10개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이후 속편에서는 학술과 문학, 조각, 건축, 일반 공예 등 8개 분야별로 하여 좀 더 깊이 있는 접근을 통해 재구성하였다.
1965년 일본에서 《조선상식문답(조선문화의 연구)(宗高書房)》이라는 제목으로 또한 출간하였다. 상장청(相場清) 번역으로 일한친화회(日韓親和會)에서 발간되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 통역관과 외무이사관, 문부성 교과용 도서검정조사위원, 전국 경찰 외국어 기능검정시험위원을 역임했던 인물이다.
서문 집필자는 일한친화회 스즈키 하지메(鈴木一) 일본 육사 출신으로 구한말 한일군사관계사 연구가로 활약했던 인물이 적고 있다.
이 책은 분야별로 모두 8권으로 구성하였으며, 본문은 원전에 따라 충실하도록 했고 관련 삽화와 주해, 한자를 병기하였다.

<서평>

-본문 중에서
초기의 연극은 신도(神道)를 섬기는 이가 신령을 즐겁게 하려고 그 앞에 가무(歌舞)하고 여러 가지 재주를 부리는 신성한 의식이었습니다. 그 흘러온 여운(餘韻)이 지금 무당의 굿에 남아 있습니다.
무당의 굿에 여러 ‘거리’가 있어 ‘거리’마다 복색을 달리하고 이런 짓 저런 짓을 하며 작도(斫刀)(작두)를 탄다. ‘동잇전을 밟는다’ 하는 등의 재주를 부리는 것은 모두 원시적 연극의 잔재가 미쳐오는 것입니다.

대체로 반도 음악의 일본 전래는 눌지왕 37년(일본 왕 ‘윤공왕允恭王’ 42년, 458)(신라 19대)에 신라 악공 80명이 일본에 가서 여러 가지 악기와 가무를 보여준 데서 시작하였다. 이만큼 무릴 지었던 것으로 보아 그 내용이 풍부하리라 짐작할 수 있다.

조선에서는 옛날에 처용이라는 비상한 인격이 있어서 온역신이 무서워하였다는 민간에서 행해지는 미신적인 신앙 관습을 행하여 이런 나(儺)를 주체로 하는 가면의 부용을 베풀었다. 이에 역신(疫神) 및 화악(禍惡)의 세력을 몰아냈습니다. 이 행사를 처용무(處容舞)라고 하였습니다.

근래에 ‘꼭두각시’라고 하면 박첨지(朴僉知), 홍동지(洪同知)를 주인(主人)이나 부 주인으로 하고 ‘꼭두각시’를 영웅으로 하여 양반 사회를 욕보이는 테마를 연출하는 일종 사회극을 가르치는 것이 되어 있습니다.

저자소개

최남선(崔南善)(1890~1957) 호는 육당
역사가, 시인, 사상가
와세다 대학에 유학. 귀국 후 이광수와 함께 신문화 운동의 선구적 활동
1919년 삼일 독립선언서를 기초
조선총독부 관하 조선사편수위원회 위원
1938년 ‘만주국’ 건국대학 교수
1949년 반민족 행위 처벌법에 따라 수용되지만, 질병으로 석방
잡지는 한국 최초의 자유시(산문시)를 발표하였고 고서를 수집, 고전연구, 역사 연구에 노력
저서는 시조집, 단군론, 조선역사, 조선유람기, 고사통 등

목차소개

저자소개
서문
제1장
연극을 나타내는 국어
제2장
고대 연극의 특색
제3장
조선 연극의 기원
제4장
조선 고대극의 재료
제5장
삼국유사에 전하는 고대극
제6장
고구려 시대의 극 종류
제7장
백제의 유명한 극곡
제8장
신라의 극곡
제9장
사선악부란 무엇인가?
제10장
신라의 향악 숭배
제11장
처용무란 어떤 것인가?
제12장
향악 5종이란 무엇인가?
제13장
고려 시대 희극의 발달
제14장
조선 왕조 희극의 존재
제15장
나례도감의 재인 역할은?
제16장
덧보기란 무엇인가?
제17장
꼭두각시란 어떤 것인가?
제18장
사지춤은 어떠한 것인가?
제19장
나례(儺禮) 이외의 희극은?
제20장
창극이란 무엇인가?
제21장
희대(戱臺) 무대의 탄생과 쇠퇴
제22장
화산대란 무엇인가?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