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廉想涉)이 지은 단편소설. 작품 분량 때문에 중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작자의 첫 단편소설로, 1921년 8월부터 10월까지 3회에 걸쳐 『개벽 開闢』(14∼16호)에 연재되었다. 한국 최초의 자연주의 수법에 의하여 쓰여진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단순히 자연주의 경향의 작품으로만 볼 수는 없다는 평가가 내려진 가운데 근대적 문예사조가 혼류된 다양성을 지닌다는 새로운 시각이 있다. 염상섭이 확립한 사실주의 문학의 기점으로서 재조명되기도 한다.
이 작품에는 3·1운동 직후의 패배주의적 경향과 우울 속에 침체되어 있는 지식인의 고뇌가 당대의 식민지 현실을 투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며 시퍼런 면도날을 보면 공포 의식마저 느낄 정도로 신경증에 시달리는 ‘나’는 어딘가로 멀리 떠나고 싶어하던 중 H의 권유로 남포(南浦)로 길을 떠난다. 기차를 갈아타러 내린 평양에서 부벽루로 나간 ‘나’는 한 장발객을 보게 되고, 휴식 도중의 낮잠 끝에는 목이 졸리는 꿈을 꾸기도 한다.
남포에 도착한 ‘나’는 Y와 A로부터 삼원 오십전에 삼층집을 지었다는 광인의 이야기를 듣게 되고, 실제로 그를 만나는 순간 중학교 시절 실험실의 박물 선생을 연상하고 전율한다.
북극의 철인(哲人)이며 남포의 광인으로 통하는 김창억에게 감동된 ‘나’는 자유와 오뇌의 정수, 욕구를 구현한 자유민이며 승리자인 그에 대하여 서울에 있는 P에게 편지를 쓰기도 한다.
부모의 갑작스런 죽음과 잇달은 아내의 죽음, 교편을 잡던 중 뜻하지 않게 겪은 4개월의 옥고 및 재취한 아내의 배신으로 인하여 광인이 되었다.
그리고 구주대전의 종전을 계기로 ‘동서친목회’의 가상적 설립을 통하여 절대자유를 향유하는 김창억의 사연은, 남포를 떠나 뿔뿔이 헤어진 두 달 후 삼원 오십전짜리 궁전의 소화(燒火)와 김창억의 실종을 알리는 Y의 편지로 이어지면서 ‘나’에게 정신적 상처와 고뇌를 반추시킨다.
R동 언덕에서 본 상여집과 삼층짜리 집과의 연상이나 김창억의 실종과 대동강가에서 만났던 장발객과의 연루를 통하여 김창억의 실종이 결코 좌절일 수 없음을 암시하며 작품은 끝을 맺는다.
광인 김창억의 탐방기와 김창억의 후일담으로 서술된 이 작품은 ‘나’의 신경증과 김창억의 광기를 중복시킴으로써 당대의 암울한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자연주의적인 수법으로 식민지 사회의 음지를 보여주면서 이를 저주하고 이로부터 탈출하고 싶은 의지와 함께 거부하는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나’의 우울증의 원인이 선명하지 못하다거나 김창억의 광기의 원인이 개인적 불운에 전적으로 기인한다는 등의 현실 인식에 관한 문제와, ‘나’의 이야기와 김창억의 일화가 계기적 상관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등의 구조적 미숙성이 문제시된다.
하지만, 허무주의적 절망과 시대적 아픔의 해소를 은유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젊은 지성인의 번민이 북구적인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 묘사되었으며, 자연주의적 색채를 띠었다는 점에서 당대의 문단에서는 충격을 준 새로운 경향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