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하는 여자
입춘
뻐꾸기 날리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
묵언(??)
아줌마
서리 내린 들에 홀로 핀 꽃, 노아
작품 해설: 아줌마, 그 욕망과 나르시시즘의 속내(장석주)
작가의 말
수록 작품 소개
한국 교육 현실을 그린 〈뻐꾸기 날리다〉,
소시민의 일상 속 폭력을 담아낸 〈빨래하는 여자〉,
'아줌마'에게 위세를 부리다 양심의 가책에 빠지는 이야기 〈아줌마〉…….
우리의 삶과 다를 바 없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에서 받는 위로와 공감!
《엘리베이터 타는 여자》와 《굿바이, 굿바이》 이후 직지소설문학상 우수상과 ‘절세미인 노아’ 중편소설공모전 우수상을 받은 김우남 작가의 세 번째 소설집 《뻐꾸기 날리다》가 출간되었다. 일곱 편의 단편 작품 중 공모 수상작인 두 편의 중편소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서리 내린 들에 홀로 핀 꽃, 노아〉를 제외하고 〈빨래하는 여자〉, 〈입춘〉, 〈뻐꾸기 날리다〉, 〈묵언〉, 〈아줌마〉는 모두 흔들림 없이 우리 주변의 이야기, 개연성이 높은 “끔찍하되 숫된 거대한 괴물”인 현실이 지어내는 이야기를 풀어낸다. 새로울 것도 경이로울 것도 없는, 폭력과 불행이 은폐적 층위에 숨어서 일상의 삶을 덮칠 찰나를 노리는 세계, ‘비슷해지려는 욕망’으로 소비의 쾌락과 환멸 속을 오가며 희로애락에 몸을 맡긴 세계, 그 낯익은 일상성의 리얼리티 속에서 우리가 살아내는 삶의 비루함과 하찮음을 일러바친다. 독자들은 김우남 작가가 그려낸 일상의 이야기를 읽으며, 자신의 고만고만한 삶이 놓인 조건을 더듬어보고 이것을 지탱하는 윤리의 나침판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돌아보게 될 것이다.
단편 소개
김우남 작가의 미시 서사에는 중산층 화자들의 자기 환멸과 정직한 자기 돌아봄의 시간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평화로운 소시민의 일상 저편에 숨은 폭력이 어떻게 그 악마적 속성을 드러내며 삶을 짓밟는가를 보여주는 〈빨래하는 여자〉, 배다른 형제들과 함께 계모의 장례를 치르며 고인의 유골이 사라지는 소동을 통해 가족의 의미를 묻는 작품 〈입춘〉, “사교육비 때문에 등골이 휘고 너무나 불투명한 우리의 교육현실”로 인해 생기는 학부모의 불안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학력 위조자가 벌인 고액 과외 사기 소동의 전말을 그린 이야기 〈뻐꾸기 날리다〉, 묵언 수행을 통해 내면의 변화를 그린 〈묵언〉, 돈 주고 부른 파출부가 보여주는 교양과 값비싼 소지품으로 인해 “자신이 초라하게 내동댕이쳐진 느낌”과 함께 위세를 부리다가 양심의 가책에 빠지는 이야기 〈아줌마〉가 그러하다. 이 다섯 작품과 결이 다른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은 《직지》의 ‘어머니’라 불리는 박병선 박사의 부고를 접한 주인공이 그녀가 《직지》를 발견해낸 과정을 쫓으며 《직지》가 우리에게 남긴 의미를 찾는다. 〈서리 내린 들에 홀로 핀 꽃, 노아〉는 조선시대 한 마을의 총명한 아가씨 노아가 기지를 발휘해 아버지를 구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우리 실존의 현재를 비춰보게 하는 사실주의적 이야기
‘아줌마’의 삶을 담은 김우남 작가의 이야기들은 여성 서사의 한 측면에서 읽혀야 마땅하겠지만, 그보다 먼저 우리 시대 인정세태의 리얼리즘 소설 계보로 정리할 수도 있을 테다. ‘사실주의’라는 개념이 품은 함의는 꽤 두터운 것인데, 여기서는 삶의 구체적 국면을 중시하고, 그것의 시시콜콜함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다는 의미에서 김우남 작가 소설의 한 측면을 대변한다. 그녀가 즐겨 빚는 아줌마의 유쾌한 수다는 세속화된 사회에서 일상을 살아내고, 그것을 버텨내는 작중인물이 겪는 미시적 이야기들이다. 그 이야기에는 이 시대 아줌마들의 욕망과 나르시시즘, 분노와 슬픔, 좌절과 피로감 따위의 구체적 사실감이 풍부하다. 또한, 김우남 작가의 작가적 개성이 잘 구현된 미시 서사는 잘 닦인 거울인 듯해서 우리 실존의 현재를 비춰보게 된다. 그녀가 채집한 세속 사회에서의 일상 서사는 이 시대의 세태와 풍속의 결을 드러내고, 우리는 그 속에서 자주 자신을 돌아보며 ‘나는 잘 살고 있는가?’를 묻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