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집애가 논어를 배워 어디에 쓰려고?”
“저는 누군가의 딸, 아내, 어미로만 살지 않을 거예요. 제게도 꿈이 있어요.”
홍 판서 댁 외동딸 홍조이는 한양에서 소문난 못난이다. 작은 게 미덕인 시대에 키는 물론, 눈코입이 다 커서 박색이라고 불릴 정도다. 시대를 잘못 타고난 현대판 서구형 미인인 셈이다. 게다가 여자가 글을 아는 것조차 흉이 되던 시대, 재주라고는 글재주와 책 읽는 재주뿐이다. 그런 조이에게 쓸데없다고 타박하거나 못생겼다고 흉보지 않고 예쁘다고 말해 주는 사람은 오라비의 친구인 윤 도령뿐이다. 조이도 윤 도령을 좋아하지만 윤 도령은 첩의 자식, 즉 서자라서 둘 사이에는 신분의 벽이 가로막혀 있다.
양반댁 규수에서 관비로, 관비에서 다모로……
조선 시대 평범하지만 특별한 한 소녀의,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은
주체적 인간상으로의 변화를 그린 동화
그러던 어느 날, 조이에게 엄청난 사건이 닥친다. 성균관 유생인 오라비가 벽서 사건에 휘말리면서 집안이 풍비박산이 나고, 조이는 하루아침에 좌포청 관비가 된 것이다. 다모인 분이네 집에 얹혀살게 된 조이는 잡초처럼 살아남으라는 오라비의 당부를 떠올리며 꿋꿋하게 버텨 나간다. 하지만 책 읽는 재주밖에는 없다 보니 여기저기서 구박받는 천덕꾸러기 신세이다. 그러나 조이는 절망에 빠져 있기만 하지는 않았다. 분이를 보고 다모를 꿈꾸게 되고, 살아가는 희망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당시 한양을 발칵 뒤엎은 검은 말 도적단 사건을 겪으며 꿈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된다.
조이와 윤 도령은 억압적인 시대를 개척하고자 하는 인물들이다. 이야기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성별과 신분의 벽을 뛰어넘기 위한 그들의 노력이다. 조이는 조선시대 여성으로서 배우기 어렵던 글을 공부하며 꿈을 향해 노력한다. 윤 도령은 서자로서 차별받던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름의 방식으로 싸워 나간다. 현실의 한계에 굴복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역경을 극복하는 두 사람의 노력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어린이 독자들에게도 큰 울림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