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래 시전집

박용래 | 문학동네 | 2023년 02월 1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25,000원

전자책 정가 17,500원

판매가 17,500원

도서소개

‘눈물의 시인’ 박용래 문학세계의 모든 것

1960~70년대 한국적 서정의 독보적 경지를 선보이며 한국문학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긴 박용래 시인의 시전집과 산문전집, 평전이 나란히 출간되었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울타리 밖」을 비롯해 「겨울밤」 「저녁눈」 「점묘」 등의 명시들로 확고한 문학사적 평가를 얻고 후배 시인들의 사랑을 받는 시인이지만, 그의 문학성이 온전히 갈무리된 전집이 미비한 점은 오랜 아쉬움으로 남아 있었다. 『정본 백석 시집』 등의 작업으로 시 정본 연구의 면밀함을 인정받은 고려대 고형진 교수가 수년간의 자료 조사와 연구 끝에 내놓은 『박용래 시전집』 『박용래 산문전집』, 그리고 그의 문학적 일대기를 담은 『박용래 평전』은 시인이 생전에 발표한 시와 산문 작품, 미발표 원고, 편지 등을 망라하고 시인에 대한 전기적 사실과 증언 등을 두루 참조하여 박용래 시인의 문학세계를 폭넓게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

박용래 시인은 1925년 충청남도 강경에서 태어났다. 그는 명문인 강경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은행(현 한국은행)에 입사했으나 은행 업무에 대한 환멸과 시에 대한 열망으로 3년 만에 그만두었고, 그뒤 몇 차례의 짧은 교직 생활을 제외하고는 줄곧 시쓰기에 전념했다. 1955년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 6월호에 「가을의 노래」, 1956년 1월호와 4월호에 「황토길」과 「땅」을 발표하며 시단에 나온 그는 등단 13년 만에 첫 시집 『싸락눈』을 간행하고 이듬해 제1회 현대시학작품상을 수상했으며, 1975년 두번째 시집 『강아지풀』, 1979년 세번째 시집 『백발의 꽃대궁』을 펴냈다.
박용래의 시는 짧은 시행 안에 풍경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면서도 한 폭의 아름다운 그림과 같이 다가온다. 여기에는 함축적인 이미지와 엄격한 언어 조탁에서 비롯된 그의 독특한 회화적 형식미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를 박용래 시인은 스스로 ‘점묘의 기법’이라고 부른 바 있다.


박용래 시세계의 길잡이

『박용래 시전집』에는 시인이 생전에 발표한 작품과 그의 사후에 발표된 유고작, 그리고 시작 노트에 메모된 미발표 작품 등 모두 208편의 시가 실렸다. 1980년대에 출간된 시전집에는 실리지 않았던 등단 전후의 발표작과 미발표 유고작 등 지금까지 확인된 박용래 시인의 작품 전체를 망라한 완전한 형태의 시전집이다. 전집의 본문은 첫 시집 『싸락눈』을 비롯해 『강아지풀』과 『백발의 꽃대궁』에 수록된 작품을 각각 1~3부에, 첫 시집 이후의 발표작 가운데 시집으로 묶이지 않은 작품을 4부에 실었다. 시 창작뿐 아니라 시집 발간 과정에서도 엄격한 기준에 따라 시를 선별한 시인의 의도를 존중하여, 그가 첫 시집을 묶으면서 제외한 등단 이전과 직후의 발표작들은 미발표작과 함께 부록으로 따로 묶었다. 1부 ‘싸락눈’을 시집의 차례에 따르지 않고 시인이 『강아지풀』에 재수록한 작품을 앞세운 것도 그와 같은 맥락이다.
『박용래 시전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시인의 최종 수정본을 정본으로 삼되 수정 전의 모든 판본을 부록에 싣고 수정 대목을 명시해 그 개작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한 점이다. 박용래 시인은 문예지 등에 발표한 시를 시집에 묶거나 다른 지면에 재수록할 때마다 크고 작은 수정을 가했고, 때로는 원 작품이 거의 흔적으로만 남을 정도로 새로 쓰다시피 한 경우도 있다. 그러한 작품의 수정 내력을 한눈에 살펴봄으로써 극도로 단출한 형태를 중시한 박용래 시인의 시적 지향을 엿보는 동시에 한 편의 시가 어떻게 완성도를 높여가는지를 흥미롭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지은이 박용래
1925년 충청남도 강경에서 태어나 강경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은행에 입사했다. 1946년 정훈, 박희선과 함께 『동백』지를 창간했으며, 1947년 조선은행을 사직하고 시쓰기에 전념했다. 1955년 『현대문학』 6월호에 「가을의 노래」, 1956년 1월호와 4월호에 「황토길」과 「땅」이 박두진 시인에 의해 추천되어 시단에 나왔다. 1969년 첫 시집 『싸락눈』을 간행하고 이듬해 제1회 현대시학작품상을 수상했으며, 1975년 두번째 시집 『강아지풀』, 1979년 세번째 시집 『백발의 꽃대궁』을 펴냈다. 1980년 11월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사후에 제7회 한국문학작가상을 수상했다. 전통적인 서정시의 가락에 섬세한 언어로 세공한 독자적인 형식을 입힌 그의 시는 전후 한국 현대시사에 중요한 자취로 새겨져 있다.

엮은이 고형진
고려대 국어교육과와 동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UC 버클리 객원교수를 지냈고, 현재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 『시인의 샘』 『현대시의 서사지향성과 미적 구조』 『또 하나의 실재』 『백석 시 바로 읽기』 『백석 시를 읽는다는 것』 『백석 시의 물명고』 등이, 엮은 책으로 『정본 백석 시집』 『정본 백석 소설·수필』이 있다. 2001년 김달진문학상을 수상했다.

목차소개

책머리에

1부 싸락눈

겨울밤
설야雪夜

가을의 노래
황토黃土길
코스모스
엉겅퀴
뜨락
울타리 밖
잡목림雜木林
추일秋日
고향故鄕
엽서葉書
가학리佳鶴?
산견散?
모과차木瓜茶

옛 사람들
모일某日
고추잠자리
저녁눈
삼동三冬
수중화水中花
그늘이 흐르듯
두멧집
고향 소묘故鄕素描
종鍾소리
장갑
정물靜物
한식寒食
작은 물소리
둘레

2부 강아지풀
그 봄비
강아지풀
들판
소감小感
손거울
담장
울안
능선稜線
공산空山
공주公州에서
낮달
먼 곳
하관下棺
고도古都
낙차落差
자화상自畵像 1
창포
댓진
고월古月
천千의 산山
서산?山
취락聚落
귀울림
별리別離
미음微吟
샘터
반 잔盞
시락죽
차일遮日
불도둑
연시軟?
요령?鈴
나부끼네
할매
자화상自畵像 2
꽃물
소나기
탁배기濁盃器
우중행雨中?
솔개 그림자
점묘點描
경주慶州 민들레
해바라기 단장斷章
현弦
겨울 산山

3부 백발의 꽃대궁
건들 장마
누가
눈발 털며
우편함郵便函
풀꽃
면벽面壁 1
불티
구절초九節草
제비꽃
월훈月暈
얼레빗 참빗
목련木蓮
콩밭머리
군산항群山港
먹감
유우流寓 1
풍경風磬
동요풍童謠風
민들레
나비
가을
원두막
나뭇잎
나귀 데불고
장대비
유우流寓 2
진눈깨비
해시계
폐광 근처廢鑛近處
참매미
곡? 5편篇
여우비
마을
대추랑
황산黃山메기
어스름
은버들 몇 잎
산문山門에서
성城이 그림
미닫이에 얼비쳐
홍시紅? 있는 골목
오늘은
면벽面壁 2
영등할매
행간?間의 장미
곡?
막버스
쇠죽가마
목침木枕 돋우면
액자 없는 그림
동전銅錢 한 포대布袋
상치꽃 아욱꽃
Q씨의 아침 한때
소리
풍각장이

4부 먼 바다
고흐
뺏기
자화상自畵像 3
곰팡이
접분接分
만선滿船을 위해
처마밑
계룡산鷄龍山
학鶴의 낙루落淚
난蘭
사역사使役詞

논산論山을 지나며
바람 속
오호
연지빛 반달형型
밭머리에 서서
제비꽃 2
물기 머금 풍경 1
저물녘
물기 머금 풍경 2
겨레의 푸른 가슴에 축복祝福 가득
부여扶餘
버드나무 길
보름
앵두, 살구꽃 피면
열사흘
명매기
점 하나
손끝에
먼 바다
음화陰?
육십의 가을
첫눈
마을
초당草堂에 매화梅花
오류동五柳洞의 동전銅錢
감새
꿈속의 꿈
뻐꾸기 소리
때때로
나 사는 곳

부록
수정 전 판본
시집에 싣지 않은 등단 이전과 직후의 발표작
노트에 메모된 미발표작

박용래 시 연보
박용래 연보
작품 색인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