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는 내 딸 매실은 내 아들 2

아름다운 농사꾼 홍쌍리 자전시집

홍쌍리 | 스타북스 | 2023년 03월 10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6,800원

전자책 정가 12,000원

판매가 10,800원 (10%)

도서소개

광양 매화마을 청매실농원의 아름다운 농사꾼
홍쌍리 명인, 시의 공식을 깬 자전적 인생시집
이 시는 값을 따질 수 없는 귀한 삶의 기록이다

“저 악산을 꽃천국 만드느라 인간불도저로 살아온 홍쌍리는
매화꽃 심고 가꾸다 죽어서도 거름밥이 되어 내 딸 매화꽃 에미가 될 것입니다”

‘꽃방석에 앉아 꽃노래 하며 꽃반지 만들어 청년 손에 채워 주거라 / 자연이 내 마당이요 / 자연이 내 집 안방이요’ 등등의 읊조림은 어느 작가의 필끝에서 나오겠습니까? 좋았습니다. 시청자 모두가 그렇게 살기를 염원했으리라 봅니다. 건강만 하이소.
- 최불암(배우)

제발이지 좀 쉬라고. 저 위에서 오라면 갈 시간 이자 얼마 안 남았다고 뛰지 말고 쉬라꼬 제발... 성 몸도 생각 좀 해주라고 제발. 주인 잘못 만나 우리 성 몸은 엄청시리 고생한다. 성, 내는 무슨 인연으로 이런 큰 성을 알게 되었는고... 성, 언제까지나 사랑한데이......
- 고두심(배우)

시인의 옷에는 꽃이 있다. 시인의 밥상에는 목소리가 있고, 시인의 문장에서는 땀냄새가 난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시인의 인생은 나를 두고 먼저 떠난 보고 싶은 우리 엄마가 된다.
- 김재원(아나운서, KBS 아침마당 진행)

이 시집에는 잠시도 쉬지 않는 농부 홍쌍리 인생이 기록돼 있다. 홍쌍리가 내뱉은 한숨과 닦아낸 눈물과 두 손을 나무껍질처럼 거칠게 만든 돌무더기들이 기록돼 있다. 그녀가 사는 법이 이 시집에 가득하다.
- 박종인(조선일보 선임기자)

세상을 살아갈 때는 도전적으로 진솔하며 진정성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포기하지 말며 이웃을 돌아보며 살아라. 쌍리처럼 살아봐라. 참 좋더라.
- 진운찬(촬영감독)

『매화는 내 딸 매실은 내 아들』은 홍쌍리 명인의 헤아릴 수 없이 힘들고 독한 삶들의 인생역경을 시로 풀어낸 자서전에 더 가까운 시집이다. 홍쌍리 명인이 피땀으로 이룬 청매실농원은 섬진강을 바라보며 백운산을 뒤로한 땅에 매화마을을 조성하여 영화촬영과 매화축제의 장소로 만들어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하는 탁월한 친화력의 소유자다. 그곳에서 명인은 농민들이 장사할 수 있도록 터도 제공해주고 주변의 어려운 사람들도 돕는 선한 마음과 행동은 고스란히 글에도 담겨있다. 아름다운 농사꾼이라고 불리는 것을 가장 좋아하는 홍쌍리 명인은 농사를 짓는 농군은 절대 사람을 속이면 안 된다는 말을 늘 입에 달고 산다. 따라서 ‘사람’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만들겠다는 신념으로 키워낸 농산물에도 자식처럼 애정을 쏟는다. 이 책은 정직하게 농사를 짓는 그녀의 경험과 인생역경의 희노애락이 담겨 있는 시의 공식을 깬 시집이다. 또한 한평생을 매실에 바쳐온 ‘매실 명인’이자 땅을 살리는 환경농법을 실천하는 농사꾼인 홍쌍리 명인의 자연과 어울리는 건강법과 매실을 담구는 요령과 밥상이 약상이 되게 하는 방법들이 시어 속에 녹아있으며 청매실농원의 아름다운 사진과 함께 보는 즐거움도 만끽할 수 있는 책이다.

저자소개

1943년 밀양에서 태어나 1965년 스물 셋에 전남 광양 백운산 섬진강변으로 시집갔다. 가업이 망하면서 빚쟁이들에게 시달렸고, 남편은 화병을 얻어 몸져누웠으며, 자신도 머슴처럼 일하느라 만신창이가 됐다. 그러면서도 오랜 세월 ‘매화는 내 딸, 매실은 내 아들’이라 여기며 매화나무를 심고 매실 먹거리를 연구했다.
1994년 청매실농원을 설립하고, 1997년에는 매실 명인으로 선정됐으며, 1998년에는 대통령상을 받았다. 1995년 이후 매년 매화축제를 열어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TV와 잡지 등 다양한 매체에 ‘밥상의 푸른 보석’ 매실을 알려왔다. ‘매실=홍쌍리’라는 등식은 그렇게 만들어졌다.
일하는 틈틈이 글을 쓰고 시를 지었다. 어떤 글은 편지가 돼 지인의 손에 쥐어졌고, 어떤 시는 노래가 돼 사람들 앞에서 불렸다. 그간 지은 책으로는 『행복아 니는 누하고 살고 싶냐』 『홍쌍리의 매실 해독 건강법』 『밥상이 약상이라 했제!』 『인생은 파도가 쳐야 재밌제이』 등이 있다.

목차소개

박종인 추천사
김재원 추천사
고두심 추천 시 | 아름다운 농군
진운찬 추천 시 | 쌍리처럼만 II
머리말

1. 학처럼 날고 싶다
고난이 힘들고 지쳐도 | 책 | 천 냥 빚 | 철 따라 곱게 핀 꽃 | 자식 사랑하는 법 | 청춘아 | 초년고생 노후 행복 | 친손자 외손자 | 텅 빈 항아리야 | 통시문과 쥐새끼 | 토란은 염증 치료약 | 하얀 눈 | 하얀 매화꽃 | 학처럼 날고 싶어라 | 한 세상 그렇게 살걸 | 할미꽃 여왕 | 행복 | 행복한 보리 | 행복한 엄마 | 호박꽃 | 김상옥 실장님 | 이병훈 군수님 | 법정 스님 I | 법정 스님 II | 법정 스님 III | 법정 스님 IV | 법정 스님 V | 눈감고 3년 | 조상님의 밥상 | 돈 있다고 으시대지 마라 | 피신한 아버지 | 자식 같은 매실 | 눈물 바우 | 아버지

2. 헝클어진 내 운명
내가 숨 쉬고 살 수 있는 이곳 | 엄마 품 같은 바우돌 | 내만큼 식구 많나 | 내 하나의 희생 | 황순경 선생님 | 아기 가졌을 때 | 밥 | 아픔 | 어둠 속에 숨어 있는 돈 | 잘 살 때는 | 우리 할매 | 헝클어진 내 운명 | 혼자서 | 가을 들꽃 단풍 | 국민학생 아들 딸 | 물 나무 사람 | 들꽃 | 배추 농사 | 소쿠리 들고 어데 가노 | 어머님 감사합니다 | 엄마 같은 아부지 | 불씨 | 정해진 목적도 없이 | 10년을 빌어도 | 무명 몸빼 | 88 다랑지 | 논에는 거름밥 | 논밭을 아껴야 | 여름 놀이터 | 첫 손자 사랑 | 고기보다 더 좋은 청국장 | 무명 이불

3. 들꽃이 만개하면
각탕 시절 | 대쪽처럼 곧은 삶 | 된장과 간장 | 세상에 제일 아픈 류마티스 | 명품이 될 사람 | 사랑하는 사람아 | 물에 빠진 생쥐 같은 삶 | 성실한 자에게 | 들꽃이 만개하면 | 맑은 마음 | 뻐꾹새야 | 산비탈에 | 함박꽃 같은 삶 | 꾸겨진 들꽃 | 엄마 없는 배고픔 | 없어서 | 우리 동네 사람들 | 그 사람 | 매화꽃 내 딸 | 우리 농민들 | 매화나무야 | 일 있어 내 살았제 | 주인이 춤추면 | 운명아 | 행복아 니는 누하고 살고 싶냐 | 내 마음 | 촌 부잣집 아들 | 파란만장한 삶 우리 아버지 | 부모는 | 섬진강물 | 즐거운 일은 | 그 손

4. 통시가 무서워서
내 인생 새벽이 | 통시가 무서워서 | 자연이나 사람이나 | 가난을 | 고생 | 꽃과 열매 | 때밀이 이름표 | 무담시 | 사랑아 | 얄궂은 세상 | 우리 동네 성님들요 | 잡초도 꽃 | 부모 | 고향 | 소중한 자식 | 목숨 걸고 일하지 말 것을 | 꽃가시나 | 나를 버리지 않고 | 시아버님 김?오?천 | 니 이름이 뭐고 | 맥문동 | 세월 나이 앞에 | 실패의 징검다리 | 예쁜 내 젊음 | 오늘 하루 | 이 또한 지나가리라 | 장미꽃 가시 | 짭짤한 강된장 | 행복한 밥상 | 꽃다운 나이에 | 봄 꽃 | 101살 아지매

5. 자연의 대가족
내 이웃 | 복 받은 여인 | 논고동 | 내 새끼들 | 내 허리 | 우리 동네 할매들 | 오는 봄 | 자연의 대가족 | 절망 속에서도 | 한 맺힌 삶을 | 내 청춘아 | 부지런한 사람 | 걸뱅이 같은 삶 | 내가 선택한 삶 | 들국화 | 삶의 노예 | 바윗돌 총각 | 산에서 | 은하수는 나의 별 | 친구야 | 험한 산길 | 내 서방나무 | 다이너마이트 | 독불장군 없는데 | 내 삶 | 삶의 이유 | 새야새야 파랑새야 | 흙무지 돌무지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