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첫날처럼(문학동네시인선191)

김용택 | 문학동네 | 2023년 05월 31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2,000원

전자책 정가 8,400원

판매가 8,400원

도서소개

“지금이 아니면 언제 또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사랑하게 될까”

허리를 숙이는 일, 몸을 낮추는 일, 겸허해지는 일…
시력(詩歷) 41년, 김용택 시인이 온 생을 다해 골몰해온 일에 대하여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안의 보편적 삶의 모습을 절제된 언어와 서정적 인식으로 담아 오랜 시간 독자의 삶을 다정히 어루만져온 김용택 시인. 그의 열네번째 시집 『모두가 첫날처럼』이 문학동네시인선 191번째 시집으로 출간되었다. 한국문학의 기념비적 성과를 이루었다 평가받는 첫 시집 『섬진강』 이후 ‘섬진강 시인’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한국 서정시를 대표하는 이름으로 자리한 지 올해로 41년, 짧지 않은 시력(詩歷)은 열네 권의 시집과 더불어 『너 내가 그럴 줄 알았어』 『콩, 너는 죽었다』 등의 동시집과 8권으로 이루어진 산문집 『김용택의 섬진강 이야기』, 촌철살인의 시 감상평을 담아 시의 장르적 문턱을 낮춘 『시가 내게로 왔다』, 필사 시집 『어쩌면 별들이 너의 슬픔을 가져갈지도 몰라』 등 시를 ‘쓰는’ 사람이자 시를 ‘살고’ 또 ‘알리는’ 사람으로 살아온 그의 삶을 엿볼 수 있는 목록들로 촘촘히 채워져 있다.
『나비가 숨은 어린나무』 이후 2년 만에 펴내는 이번 시집에서는 고희를 훌쩍 넘긴 시인의 삶에 대한, 앎에 대한 통찰을 한층 깊이 있게 만날 수 있다. 깊어진다는 것은 진실하고 소박하고 소탈해진다는 것과 그리 멀지 않다는 것을, 혼잣말 같기도, 편지 같기도, 때로 기도 같기도 한 55편의 시편은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시를 기다리지 않는다
봄비 걱정을 하고
이웃집 근심도 같이 나누면서
밭을 고르는 선량한 농부 곁에
서 있다 간다
그가 허리를 펴고 서서
시는 잘 써지냐고 내게
묻는다
그렇게 잠깐 서서
비의 기별을 기다리며
쉬시라고
하였다
_‘시인의 말’ 전문

“사람들은 왜 모를까 봄이 되면/ 손에 닿지 않는 것들이 꽃이 된다는 것을”(「사람들은 왜 모를까」, 1998년 소월시문학상 수상작)이라 쓰며 인간사의 부박함을 잘 비추던 때로부터 “나무야/ 봄은 오고 있다/ 너를 올려다본다/ 내 나이 일흔여섯이다/ 이제 생각하니/ 나는 작고 못났다/ 그런데다가/ 성질도 못됐다/ 나무야/ 근데 내가 인자/ 어찌하면 좋을까”(「나무에게」)라고 쓴 지금에 이르기까지, 시인은 숭고한 자연 앞 작은 존재로서의 인간과 그 짧은 한 생을 그리는 데 천착했다.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들면서 절절히 느끼게 되는 겸허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쑥불쑥 솟는 여러 번민들이 곳곳에 스민 이번 시집은 결국 우리가 삶에 대해, 세계에 대해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이야말로 가장 중요하며, 거기서부터 삶은 진정으로 시작되리라 예감하게 한다.

“아는 일로 기울어질 때 관조(觀照)는 재확인으로 싱겁게 끝나지만, 모르는 일로 방향을 틀면 관조는 빛나는 발견으로 이어진다. 시인은 안다고 생각했으나 몰랐던 장면, 알아서 모르는 척했던 풍경, 알 듯 모를 듯한 수수께끼를 사방에서 줍고 다닌다. 줍는 일은 허리를 숙이는 일, 몸을 낮추는 일, 겸허해지는 일이다. 그의 시편에 깨달음 뒤에 찾아오는 물음과, 물음이 물고 오는 깨달음이 가득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물음과 깨달음이 반복되는 삶은 한시도 지루할 새가 없다.”
_오은 시인, 발문 「나—비(非)의 순리 잡기」에서

‘모른다’로 가득찬 겸허한 자세의 삶은 새로운 발견과 벅찬 감동을 선사한다. 몸을 낮추어 “어느 날도/ 오늘 같은 날이 없다는 것을”(「어느 날도 오 늘 같은 날은 없다」) 깨달을 수 있다면, ‘모두가 첫날처럼’ 이 삶을 마주할 수 있다면, “언제 보아도// 완성되어 있고// 언제 보아도 다르”며 “경계가 없어서// 자기에게 오는 모든 것들을// 받아들여 새로운 정부를 세”우는 나무와 같이 살 수 있으리라. 그렇게 “바람의, 눈송이들의, 새들의// 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새들의 시」)
수십 번 반복된 사계와 수만 번 찾아온 하루를 ‘모두가 첫날처럼’ 새로이 마주하는 일. 어쩌면 그것은 능력이고, 노력과 훈련을 거듭하며 계발되기도 하는 재능이다. 그 훈련의 첫 단계는 “허리를 숙이는 일, 몸을 낮추는 일, 겸허해지는 일” 삼요소로 이루어진바, 민달팽이가 길을 건너는 “외롭고 고독한 시간”을 살피고 곧이어 그것이 “그들의 오랜 역사를 내가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그렇게 내 생각대로 말”한 것이라 부연하는 것(「슬픈 역사」), 누군가의 발길에 무람없이 밟히고 말았을지 모를 구체적이고 생생한 풍경을 “어린 쑥들이 마른 풀밭 잔돌 곁에서 돋아”나고 “서리가 녹아 돌도 쑥도 젖”었다 씀으로써 시에 담아 보존하는 것(「등이 따뜻해질 때까지」), “산을 넘어온 달이 강을 건너 마을로 오”는 매일의 반복을 “시의 길”로 받아들이는 것(「달이 다니는 길」)은 고행의 결과나 득도의 경지가 아니기에 더욱 인간적으로 느껴진다. 느릿한 민달팽이부터 뜨고 지는 달까지, 이 시집 한 권이 관통하는 존재들의 거리감은 이렇듯 시인의 맑은 감각과 목소리로 개별성을 확보하고 아름답게 확장된다.

오늘은 어제보다 조금 멀리 갔다는 것을 깨달을 때
나는 발걸음을 멈추고
되돌아 마을로 옵니다
마을로 돌아올 때 나는
뉘우칩니다
우리는 이렇게 살다 죽고 오랜 세월이 흐르고
그때도 새들은 날고 나뭇가지들은 바람에 흔들릴 텐데
사랑이 무엇인지 알고 뒤돌아보며 슬퍼하지요
슬픔으로 아름다움을 설명할 수 있는 별들의 표정을 나는 알아요
한숨을 땅에 묻으면 새싹이 돋아나는 아픔이 인생이라는 것을 압니다
_「슬픔으로 아름다움을 설명할 수 있는 별들의 표정을 나는 알아요」에서

삶의 유한함과 어쩔 수 없는 무상함은 슬픔과 후회를 가져온다. 덧없는 세상에서 덧없이 살지 않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시인은 “슬픔으로 아름다움을 설명할 수 있”길 바란다. “새싹이 돋아나는” 데 아픔이 있고 그것이 인생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라 권한다. 그때 비로소 차오를 온기, ‘모두가 첫날처럼’이라는 불가능한 소망을 간절히 붙든 시인이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그 온기일 것이다.

저자소개

지은이 김용택
1948년 전북 임실에서 태어났다. 1982년 『꺼지지 않는 횃불로』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섬진강』 『맑은 날』 『꽃산 가는 길』 『강 같은 세월』 『그 여자네 집』 『나무』 『그래서 당신』 『수양버들』 『키스를 원하지 않는 입술』 『울고 들어온 너에게』 『나비가 숨은 어린나무』 등이 있으며, 동시집 『너 내가 그럴 줄 알았어』 『콩, 너는 죽었다』 등과 산문집 『김용택의 섬진강 이야기』(전 8권) 등을 펴냈다. 김수영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윤동주상 문학대상 등을 수상했다.

목차소개

시인의 말

1부 새들은 부러질 나뭇가지로 날아가지 않는다
등이 따뜻해질 때까지/ 쓸 만하다고 생각해서 쓴 연애편지/ 나무에게/ 산앵두꽃/ 오후에는 비가 내렸다/ 기쁜 농부의 노래/ 그 어떤 생각 같다/ 살구를 따서 먹다/ 꽃이 나를 보고 있다/ 마음을 담아 걷다/ 네 별이 다칠라/ 현재의 온도/ 시인의 집/ 우리들의 집/ 내 얼굴/ 조금 더 간 생각/ 아니다, 나비가 잠을 잔다고는 말 못 한단다/ 모르는 얼굴/ 겨울이 왔구나

2부 딸은 내가 밤에 읽은 시를 아침에 읽는다
가을이라고 말 못 해서 겨울로 왔어요/ 새들의 시/ 이끼가 사는 곳/ 생의 순간들/ 슬픔으로 아름다움을 설명할 수 있는 별들의 표정을 나는 알아요/ 아침에 인사/ 가을에서 온 사람/ 명랑한 식탁/ 미소를 보내주세요 내가 날 수 있도록/ 그렇게 말해놓고/ 모두가 첫날처럼/ 웃으면서 한 걸음 더/ 지금이 아니면 언제 또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사랑하게 될까/ 기억의 노란 날개/ 칸트의 배경/ 우산/ 참새 머리로 들이받기/ 달이 다니는 길

3부 말이 싫은 시가 나는 아름답습니다
봄비/ 이 마음/ 우리들의 꽃밭/ 시인/ 시집/ 아름다운 균형/ 독립된 자유/ 슬픈 역사/ 나비하고 놀다/ 속날개가 다 마를 때까지/ 어디다가 정든 집을 지을까/ 정의의 결과/ 그것은 아름다운 변화/ 그들 곁으로 걸어가다/ 어느 날도 오늘 같은 날은 없다/ 내 아침의 그쪽/ 달과 걷다/ 다시는, 다시는

발문|나—비(非)의 순리 잡기_오은(시인)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