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ㆍ봄

김유정 | 포레스트 위즈덤 | 2024년 02월 15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9,800원

판매가 9,800원

도서소개

순진한 화자의 관점을 통해 뭉뚱그림으로써 해학적인 웃음을 작품의 주된 정조로 그려낸 소설!!
내 아내가 될 점순이는 16살이다. 나는 데릴사위로 작정된 채 3년 7개월이나 돈 한푼 안 받고 일을 했지만 심술 사나운 장인 영감은 점순이가 아직도 덜 자랐다고 성례를 미루기만 한다. 「봄·봄」의 장인은 엄격하게 말하면 악인이다. 그는 마름이라는 신분으로 자신의 사나운 욕심을 채우려고 마을 사람들한테 횡포를 부리고, 품삯을 아끼기 위해 데릴사위라는 허울좋은 명목으로 총각들을 불러들여 새경 안 주는 머슴으로 계속 부려먹는 사람이다.
첫 딸의 경우엔 무려 열 번이나 사람을 갈아들일 정도였다. 또한 욕필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입도 험하고, 걸핏하면 지게작대기를 휘두르며 폭력을 행사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이처럼 악인의 조건을 골고루 갖춘 인물인데도 작가는 그를 드러냄에 있어 결코 비판하거나 고발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부정적 인물이나 현상에 대한 예리한 풍자적 시선이 아니라, 욕심 많고 무지한 인물이 벌이는 우스꽝스런 행태를 해학적으로 그리고 있다.

김유정의 소설세계
김유정의 작품들은 대부분 희극적인 상황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소설 속에서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은 우직하고 순박해서 늘 약삭빠른 존재들에게 이용당하는 ‘바보’ 같은 인물들이다. 그들은 대부분 현실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채 경직된 반응만을 보이거나,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하여 아이러니컬한 상황에 빠지게 된다. 독자들은 이러한 저급한 인물들을 바라보면서 웃음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웃음은 현실을 망각하는 방향이 아니라 당대의 비참한 농촌 현실을 상기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소낙비」의 춘호, 「만무방」의 응칠이, 「금따는 콩밭」의 수재, 「노다지」의 꽁보, 「땡볕」의 덕순이 부부가 보여주듯이 일제의 가혹한 수탈 정책으로 말미암아 고향에서 쫓겨나 유랑하고 있는 농민들을 소설적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참한 현실 속에서도 지속되고 있는 하층계급의 끈질긴 생명력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김유정의 웃음은 고전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학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소개

김유정(金裕貞 1908. 2. 12. ~ 1937. 3. 29.)
소설가, 수필가, 시인. 아명은 멱서리
1930년 연희전문 문과에 입학하였으나 2개월이 좀 지나서 제명되기도 했다. 이 무렵 판소리 명창 박녹주에 대한 구애가 끝내 거절당하자 춘천에 내려가 들병이들과 어울려 방랑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1년 다시 보성전문에 입학했으나 곧 퇴학당했다. 같은 해 고향 실레마을에서 야학당을 개설하였고, 이듬해 금병의숙으로 개칭하면서 간이학교로 인가받기도 했다.
1933년부터 서울에 올라가 창작에 전념하던 김유정은 1933년 『산골 나그네』와 『총각과 맹꽁이』를 발표한다. 하지만, 그의 본격적인 문학활동은 193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소낙비』가 1등 당선되고 《조선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노다지』가 가작으로 입선되면서 시작된다. 이후 ‘구인회’의 후기 동인으로 가담하여 활동하면서 『금 따는 콩밭』(1935), 『봄·봄』(1935), 『만무방』(1935), 「『동백꽃』(1936), 『땡볕』(1937), 『따라지』(1937) 등 30여 편의 소설과 10여 편의 수필을 발표하였다. 1937년 3월 29일에 병이 악화되어 사망했다.

목차소개

봄ㆍ봄
동백꽃
따라지
야앵
가을
산골
산골 나그네
연기
두꺼비
생의 반여(伴侶)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