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기원과 전통의 심층 이태준 문학의 기원 탐색:아동 서사물 1. 서론 2. 장르 구분에 따른 작품의 특성 3. 형식의 진화와 작가 의식의 성장 4. ‘모성(母性)’에서 확장된 ‘자연(自然)’ 5. 결론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유곽’의 의미 1. 서론 2. 유곽의 도래와 전통의 사멸 3. 유곽에 대한 이중 시선 4. 결론 이태준의 ??황진이??에 나타난 ‘고려’의 성격 1. 서론 2. ??황진이??에서 ‘고려’가 구현되는 두 가지 방식 3. ??황진이??에서 고려 유적과 고려 시가 간의 상응 -옛 왕조에 대한 회한과 낭만적 사랑의 교차 4. 인간을 압제하는 일체의 규율과 위선에 대한 부정 5. 결론 언어 민족주의 이태준의 ?고향?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1. 서론 2. ‘양(洋)’의 이입과 ‘향(鄕)’에 대한 자각 3. 근대문학에 나타난 ‘고향(故鄕)’의 의미-물리적 실체로서 ‘가족’과 ‘고향산천’ 4. 고향(故鄕), ‘민족의 과거’를 소환해 내는 언어 내셔널리즘의 구현 5. 결론 이태준의 근대소설에 반영된 식민지 어문정책과 민족어의 성격 1. 서론 2.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언어정책과 조선어의 운명 3.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민족어’의 성격-‘박제된 전통’으로서 ‘조선적인 것’ 4. 결론 이태준의 해방후 소설에 나타난 국어의식 1. 서론 2. 해방공간 남북한 ‘국어 정립’의 대두 3. 해방이후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조선어’의 양가성과 ‘국어’의 정립 4. 해방직후 이태준의 언어 민족주의와 국어의식 5. 결론 소설 수사학 이태준의 ??문장강화??에 나타난 소설의 수사학 1. 서론 2. ??문장강화??의 구성과 ‘문장(文章)’에 대한 인식 3. 개인의 문체 정립과 소설의 언어 4. 소설 창작방법으로서 이태준의 문체 5. 결론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 문장론의 배경과 문학적 형상화 1. 서론 2. 문장론의 배경 3. 표현 방법과 문학적 형상화 4. 결론을 대신하며-주관적 정서와 개인에 대한 인식 이태준 장편소설에 나타난 ‘편지’의 기능과 한계 1. 서론 2. 소설의 문체로서 소설 속 편지의 특수성 3. 이태준 장편소설에 나타난 편지의 성격 4. 사건의 전환점으로서 ‘편지’의 근대성과 한계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