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기적 실험으로서의 「과도기」 손정수 1. 「과도기」의 발생사적 맥락과 텍스트의 존재방식 2. 「과도기」의 작품 분석 3. 「과도기」의 문학사적 의미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적 형상화와 그 의미 김양선 ‘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중심으로 1. 서론 2. 한국 근대문학과 ‘노라’ 3. 여성이 체험한 식민지 근대의 모순 4.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화와 그 한계-성적 주체와 계급적 주체의 이원화 5. 결론 교환의 정치경제학과 증여의 윤리학 류보선 ‘탁류’론 1. ‘탁류’의 문제성, 혹은 ‘탁류’ 다시 읽기의 문제성 2. 미두장의 무대화 혹은 이식된 교환경제의 발견 3. 두 개의 몰락, 두 번의 몰락-세계경제체제와 매독 4. 상징적 자살, 어머니되기, 증여의 윤리-‘탁류’ 속의 희망 5. 증여(의 윤리)의 아포리아와 ‘증여의 사회’라는 매혹 부르주아 자유주의의 심연 차원현 ‘태평천하’ 읽기의 한 방식 1. 풍자와 아이러니, ‘태평천하’의 문제성 2. 윤직원 혹은 부르주아 자유주의의 자가당착과 그로테스크 이미지 3. 끝맺는 말-풍자의 역사 의식 ‘황금광 시대’에 대한 절반의 리얼리즘 공종구 ‘금의 정열’ 1. 들어가는 말 2. 창작동인으로서의 황금광시대 3. 절반의 리얼리즘 4. 나오는 글 주체의 ‘분열’과 ‘욕망’ 한수영 「냉동어」와 ‘친일’의 정신구조 1. 「냉동어」의 문제성 2. 주체분열의 기원과 사회역사적 상상력의 구조 3. 스미꼬, 혹은 또다른 ‘주체’의 욕망 4. 신체제, 혹은 새로운 ‘절대진리’로의 전이(轉移) 복종과 복수의 서사 이경훈 「아름다운 새벽」에 대한 몇 가지 고찰 1. 전집 텍스트의 문제 2. 명령과 복종, 운명의 구조 3. ‘생활’의 탐구 4. 무서운 어머니와 내지의 어머니, 결론을 대신하여 통속과 친일, 이종동형(異種同形)의 서사논리 심진경 ‘여인전기’론 1. ‘여인전기’의 상호텍스트성 2. 여성수난 이야기와 ‘못된’ 시어미의 통속문법 3. 심신일체로서의 내선일체 4. 통속적 친일 혹은 친일이라는 통속 해방 전후의 채만식과 좌우합작론의 소설적 형상화 방민호단편소설 「역로」에 관하여 1. 들어가면서 2. 예기치 못한 해방을 전후로 한 채만식의 내면 풍경 3. 자기 비판 및 성찰에의 요구와 「역로」의 해결 방식 4. 당대 사회상이 압축적 기록과 좌익 양보의 좌우합작론 5. 나오면서 ‘옥랑사’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현실인식 황국명 1. 들머리 2. 시간 모험과 ‘우리’의 발견 3. 민중의 역사적 주변성과 비관주의 4. 사회단계의 역행과 심리적 퇴행 5. 역사의 교훈과 상황서술 6. 맺음말 작가의 존재와 자기 처벌, 혹은 대속 한형구 「민족의 죄인」 1. 머리말-‘해방 공간’의 열림과 그 지평 변환의 의미 2. 작품의 주변-실증적 사안들 3. 채만식 문학의 자의식적 형질, 혹은 비극적 형질 4. 「민족의 죄인」의 내면 구조 5. 결어-자기 처벌과 작가적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