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世宗) 때에 판사(判事)의 벼슬을 최종으로 다시 관에 오르지 못하고 녹록한 세월을 보내고 있던 윤기무(尹起畝)의 따님이 성종(成宗)의 비(妃)로 책립되어 궁중에 들게 된 후부터 평화로운 궁중에는 때아닌 풍파가 자주 일기 시작하였다.
윤 비(尹妃)로 말하면 어제까지 비록 궁항에서 가난한 살림을 하는 빈족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다지 혁혁한 문벌가도 아닌 집안의 딸로, 꿈에도 예기할 수 없었을 국모(國母)의 높은 자리에 올랐은즉 마땅히 언행을 삼가며 덕을 닦아 자기 스스로의 행운을 길이 빛나게 할 것이며, 또 하나는 딸의 덕으로 임금의 장인으로서 부원군(府院君)이란 영화스런 자리에 오른 아버지로 하여금 국구(國舅)다운 체례를 지닐 수 있게 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 아닌가.
그러나 윤 비에게는 불행하게도 그러한 교양이 없었다. -{본문에서}
윤백남은 금융인으로 출발하여 언론인ㆍ연극인ㆍ교육자ㆍ문인ㆍ영화인ㆍ만담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활동을 펼쳤다. 특히 그는 영화계에 선구적 공적을 남겼고 연극인으로서도 초창기에 극단을 주재하고 희곡을 쓰는 등 신파극을 정화하려고 노력하였다.
그의 작품은 초기에는 계몽주의적·인도주의적 경향을 띠었으며, 또한 경향 소설적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점차 역사소설이나 야담류로 흘렀고, 후기에는 본격적인 야담가로 나섰다.
대부분 정사(正史)를 바탕으로 한 숨겨진 역사의 뒷이야기나, 구전설화, 시대를 대표하는 풍자적, 해학적 이야기들이 흥미롭게 펼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