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박완서 문학의 백미는 우리 주변의 일상 속에 깊이 파고들어 소름끼칠 정도로 예리하게 그 단면을 싹둑 잘라서는 우리네 인간들이 갖고 있는 온갖 거짓과 그리고 가슴아플 정도로 소중한 진실들을 드러내 보여주는 데 있다.
이즈음 신세대 작가들의 발랄한 상상력과 때로는 환상적일 정도로 색다른 세계의 이야기가 아니라 너무나 우리에게 익숙한 등장인물들이 등장하고 그러한 상황들이 출현하면서 아무런 거리감없이 순식간에 그의 소설 속으로 빠져들어가게 된다.
40이 되어서야 문단에 등장한 그에게 남다른 점이 있었다면 처녀 시절부터 넘쳐나도록 싱싱하게 그의 오감을 채우고 있었던 감수성과 자의식이라고나 할까. 그의 삶은 순탄함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지만, 그 시절을 살아온 그 세대의 사람들 치고 그만한 파란곡절을 겪지 않은 사람은 또 얼마나 될까.
개성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서울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박완서에게 한국전쟁은 평생 잊을 수 없을 만큼 참절한 아픔의 기억으로 남아 있다. 의용군으로 나갔다가 총상을 입고 거의 폐인이 되어 돌아온 `똑똑했던` 오빠가 `이제는 배부른 돼지로 살겠다`던 다짐도 헛되이 여덟달 만에 죽어 나가고, 1.4후퇴의 서울에서 먹을 것을 찾아 남의 집 물건에까지 손을 대야 했던 시절을 그는 살아내야 했다.
배고팠던 그 시절의 우리네 일상과는 너무나 달랐던 별천지, 미군 피엑스에서 넘쳐나는 미군 물자와 문화에 비굴하게 길들여져 가던 시절도, 같은 피엑스 직원이었던 남자와 첫사랑에 빠져 결혼에 이르던 아름다운 시절도, 그 남자가 끝내 암으로 세상을 떠났던 시절도, 뒤이어 1년 만에 아들을 가슴에 묻었던 시절도, 이제는 그의 가슴 속에서 정화되고 또 정화되어 박완서 문학의 거대한 봉우리 하나하나로 솟아나 있다.
이제는 천주교에 귀의하고 거처까지 한강을 내려다 보는 한적한 근교의 마을에 잡아 놓은 그에게 먼저 떠난 남편과 아들은 `저승길의 든든한 빽`으로 다시금 그의 삶 속에 돌아와 있다.
기쁨도 슬픔도 즐거움도 아픔도, 그리고 일상의 사소한 부딪힘이나 삐그덕거림마저도 모두다 문학이 되어 나오는 그의 `신기`는 나이를 먹을수록 그 진가를 더해간다. 삐그덕거리고 찌그덕거리며 살아가는 모든 소시민들에게 박완서 문학은 여전히 변함없는 길동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