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5년 우라늄과 플루토늄의 폭발로 사십만 이상의 일반 시민들이 한순간에 학살을 당하고 말았다.
그 방사능의 무덤 위에 세워진 백기로, 죽음으로부터 쫓기던 젊은이들, 동양의 각지로 뿔뿔이 흩어진 그들은 저마다 귀향의 배를 타고 또 육로를 걸어왔다.
그리하여 생환과 해후의 기쁨은 저 태극기로 무수히 올리며, 끊이지 아니하는 것이었다.
그 쯤 우리와 함께 이 기쁨을 누릴 수 없는 빈자리들이 얼마나 많았는가를 기억한다.
저항도 없이 사라져간 그들의 무명묘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짐짓 만질 수 없는 육신과 들리지 않는 음성들이 얽히어 지나가는 하늘가에 우리들은 살벌한 적자를 무엇이라 부르면 좋았는가.
전쟁. 제국주의. 왜인.
우리에게 귀향하지 못하는 육신에 대해 우리에게 귀향할 수 있는 혼령의 영원을 믿는 자 그 몇인가!
그해 2워 16일 후쿠오카 형장에서 쓰러진 시인 윤동주는 아직도 스물여덟 못가는 젊은 학도였다.
불령선인 운동참가.
그는 명령대로 열심히 자작시의 일역을 계속하며 형의 앞에서 강한 독성 주사를 거역하지 못했다.
시인 윤동주는 의식의 양극을 부여잡고 자신의 결백에 다만 울었을 뿐이다.
그러나
얼마가지 않아 의식의 한 극은 무너지기 시작하여 강한 독성은 차차 만신으로 끌어 넘쳤다.
그의 정본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이러한 결심에 이르고야 말자는 운명적인 예고를 처음부터 내재화 시키면 탄생한 것이다.